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24년 식품R&D 동향보고서(배양육 분야)

  • 등록일2025-01-08
  • 조회수1312
  • 분류기술동향 > 그린바이오 > 식품기술

 

 

2024년 식품R&D 동향보고서(배양육 분야)

 

◈ 목차


01. 새로운 미래식량: 세포 배양육의 등장
02. 배양육의 발전과 산업 현황
03. 배양육의 연구 및 투자 동향
04. 결론
05. 참고문헌

 

 

◈본문


01. 새로운 미래식량 : 세포 배양육의 등장


유엔식량농업기구(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FAO)는 세계 인구가 2050년까지 90억 명에 도달할 것이며, 이에 따른 육류 소비량 역시 현재의 304만 톤에서 매년 1.3%씩 증가하여 2050년에는 455만 톤에 이를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하지만, 인구 증가 외에도 지구온난화, 토지 부족 등의 문제로 인해 전통적인 축산업만으로는 식육 단백질의 공급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이현정 & 조철훈, 2019). 이러한 상황은 미래의 단백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육류산업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현재 지속 가능한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육류 유사식품(meat analogue)의 개발이 제안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식물성 고기, 식용 곤충, 배양육 등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Lee et al., 2022a). 이 중 배양육은 살아있는 동물체로부터 채취한 세포를 증식하여 생산하는 기술로서, 가축 사육 외 실제 식육의 제조가 가능한 유일한 방법이다(그림 1). 식물성 고기나 식용곤충 등의 다른 육류 유사식퓸과 달리, 실제 식육과 유사한 동물성 단백질 기반의 단백질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배양육은 경쟁력 있는 미래식량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1. 배양육 생산과정 모식도 (출처: 포츈코리아, 2024)


이러한 기대에 발맞춰 배양육 산업은 연평균 15.7%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점차 가속화되고 있 다(주선태, 2021). 그러나 산업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인 배양육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첫째, 어떤 가축의 세포를 이용하여 어떻게 대량생산할 것인지에 대한 기술적 문제. 둘째, 배 양육의 관능적 및 영양적 특성을 개선하고자 하는 제품화 문제. 셋째, 배양육 섭취에 대한 안전성 및 규제와 관 련한 문제가 이에 해당한다(Choi, 2020). 지금까지 발표되어 있는 배양육 연구와 산업관련 문헌들을 살펴보면, 배양육의 시장 진입에 있어서 가장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것은 마지막 단계인 안전성 문제로 판단된다. 안전성 문제는 생산자에게 경제적 손실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건강에도 직접적인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배양육의 안전성 평가 기반 마련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현재 전 세계적으로 추가적인 규정와 논의가 실정이다(Hong et al. 2021).

이에 본 산업지에서는 국내·외 배양육 산업, 그리고 안전 관리 및 인증 현황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