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국가 과학기술로 바라보는 RE100의 전략적 접근
- 등록일2025-01-16
- 조회수463
- 분류기술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4-12-29
-
출처
한국과학기술한림원
- 원문링크
-
키워드
#과학기술#RE100#전략
국가 과학기술로 바라보는 RE100의 전략적 접근
차세대리포트 2024-01호
◈ 목차
I. RE100 이니셔티브 국내외 현황
1. 참여 대상과 범위
2. 주요 이행 수단
3. 국내외 참여 기업 현황
II. RE100 이니셔티브의 국내 산업 파급 효과
1. 국내 기업의 RE100 이행 여건과 경쟁력 변화 전망
2. 국내 재생에너지 보급 현황과 한계
III. RE100 이니셔티브와 재생에너지 정책
1. 국내 재생에너지 정책 현황
2. 국내 재생에너지 정책 전망 및 한계
3. 재생에너지 지원 국외 사례
IV. 정책 제언
1. RE100 이행 수단 활용도 제고
2. 재생에너지 투자 및 RE100 참여 환경 개선
3. 재생에너지 R&D 정책
4. 재생에너지 활용을 위한 보급 정책
◈본문
I. RE100 이니셔티브 국내외 현황
1. 참여 대상과 범위
RE100의 참여 대상은 에너지 생산기업이 아닌 소비기업으로, 이들의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 수요를 확대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전 세계 전력 수요의 70%가 산업과 상업 부문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RE100은 재생에너지의 사업적·경제적 이익을 알려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기업들의 탄소중립 사회로의 전환을 이끄는 매우 효과적인 접근이다. 이에 주관사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CDP)는 국제적 인지도가 높거나 사업장의 연간 전력 소비량이 100GWh 이상인 기업들에게 RE100에 자발적으로 참여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RE100에 참여하는 기업은 미래의 특정 시점까지 재생에너지 기반 전력 100% 사용을 공개 선언하고, 다음 세 가지를 이행해야 한다. 첫째,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원에서 조달한다. 둘째, RE100 달성을 위한 일정 및 명확한 전략을 수립한다. 셋째, 가입 후 12개월 이내에 RE100 달성을 위한 구체적인 로드맵을 작성한다.
재생에너지 전력 비중에 대한 연도별 목표는 기업이 자율적으로 설정하는데, 예를 들어 2030년 60%, 2040년 90% 달성을 거쳐 2050년까지 100% 달성 등을 목표로 설정할 수 있다. 참여 기업은 매년 CDP가 제시하는 기술 수준을 준수하여 재생에너지로 전력을 조달한 이행 실적과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이행 실적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제3자 검증 및 추적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CDP 위원회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한 연례보고서를 통해 기업들의 이행 실적을 공개하고 있다.
2. 주요 이행 수단
RE100에서 인정하는 재생에너지원은 태양광, 풍력, 지열, 바이오매스, 수력이며, 이러한 재생에너지원을 직접 발전하거나 구매한 경우의 실적만을 인정한다. 전력 구매의 형태에는 공급자와의 직접 계약, 계통이 연계된 외부 발전시설로부터의 구매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 PPA),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newable Energy Certificate, REC) 구입 등이 있다. 단, 탄소배출권 등 기타 제도와 연계된 실적은 인정하지 않는다. 주요 조달 방식은 아래 <표 1>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표 1> RE100 참여 기업의 재생에너지 조달 옵션
출처: 한국ESG연구소, 쉽게 활용하는 ESG 핸드북(2023) 보고서를 토대로 저자가 정리
3. 국내외 참여 기업 현황
2024년 3월 기준으로 전 세계 428개 기업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RE100 이니셔티브에 참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2020년 SK그룹 계열사들의 참여를 시작으로 현대자동차, 기아, 삼성전자, KB금융그룹, LG전자 등 36개 대기업이 RE100에 동참하고 있다.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 위원회의 ‘2023 RE100 연례보고서’에 따르면, 382개 참여 기업의 2022년 전력 소비량은 481TWh로, 이는 전 세계 전력 소비량의 1.7%에 해당하며 프랑스의 연간 전력 소비량을 상회한다. 이 중 재생에너지 전력 소비량은 240TWh로, 총 전력 소비량의 50%를 차지한다. 반면, 국내 기업들의 재생에너지 전력 소비 비율은 약 9%로 국제적인 수준에 한참 못 미친다. <표 2>는 RE100 참여 기업들의 산업별 현황을 보여준다. 특히 참여 기업 수가 많고 전력 소비량이 가장 큰 제조업의 경우 재생에너지 비중도 상대적으로 낮고 평균 RE100 달성 목표 연도 또한 다른 산업에 비해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전 세계 RE100 참여 기업들의 산업부문별 현황
출처: RE100(2023)의 내용을 토대로 저자가 국문으로 정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이전글
- 뇌와 세상의 소통
-
다음글
- 식중독균 자원센터 소식지 제10호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