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세포소기관 이상질환과 치료전략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 등록일2025-04-25
- 조회수65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5-03-31
-
출처
한국연구재단
- 원문링크
세포소기관 이상질환과 치료전략_기초연구본부 선정 R&D 이슈 연구동향
[NRF R&D Brief-2025-16호]
◈본문
1 세포소기관 이상의 종류와 질환(Organelle dysfunction and diseases)
○ 초고령사회에서 만성 대사 질환 및 노화 관련 질환 증가로 질환 제어 기술 개발의 사회 경제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음. 특히 이들 질환은 세포소기관 항상성 파괴 및 기능 장애가 공통된 병태생리 기전이라 제시되고 있으나(그림 1) 이에 대한 병태생리 기전 이해 부족 및 연구 방법적 제약으로 인해 질환 제어 연구가 정체되고 있어, 새로운 연구기술개발 및 표적 발굴을 통한 창의적인 치료 전략 개발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음.
그림 1.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좌, Suomalainen et al., Nat. Rev. Mol. Cell. Biol., 2018) 및 소포체 스트레스(우, Lindholm et al., Front. Cell. Dev. Biol., 2017) 관련 만성 질환
○ 이와 함께 유전적 소인에 의한 세포소기관 질환에 대한 제어전략 개발 연구 역시 세포소기관 이상에 대한 명확한 병리기전 이해 부족과 연구 기술적 한계로 인해 현재는 대부분 대증적인 치료에 의존하는 상황임.
○ 세포소기관 사이 물리적 연결 및 신호 전달을 통한 상호작용은 정상적인 세포 생리에 중요하며, 최근 개별 세포소기관보다는 미토콘드리아-소포체 혹은 소포체-리소좀 간의 연결구조 및 신호 전달에 관한 연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음. 또한 만성 대사 및 노화 질환에서 세포소기관 접촉 부위(접촉면)의 이상이 중요한 병태생리임이 밝혀지고 있음. (표 1)
표 1. 세포소기관 별 접촉 부위(접촉면) 병태생리 연구 동향
○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에는 세포소기관들을 시스템으로 이해·접근하여 소기관들 사이의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세포 항상성 유지 분자기전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능 회복 표적을 발굴하는 연구로 확장되어 가고 있음. 특히 발굴되는 세포소기관 표적 단백을 유전자 이상 질환과 만성 대사 및 노화 관련 질환의 진단·예후 예측 및 치료 전략 개발 연구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늘어나고 있음.
2 왜 주목받고 있나?
○ 지금까지 질환 병태생리 기전 및 치료 표적 발굴에 사용되어 온 고전적인 연구 방법으로는 표적 단백이 세포 내에서 작용하는 공간적 정보를 얻기 힘들기 때문에 소기관 기능에 중요한 특정 단백을 제외하고는 세포소기관 관련성을 확인하는 데 한계가 있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