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비만 치료제 개발 동향
- 등록일2025-05-14
- 조회수493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5-04-18
-
출처
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비만#치료제#개발
비만 치료제 개발 동향
◈본문
요약문
비만 치료제 시장은 급증하는 글로벌 비만 인구로 인해 2030년 약 1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며, 현재는 GLP-1 계열 약물을 개발한 노보 노디스크와 일라이 릴리가 주도하고 있다.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와 일라이 릴리의 젭바운드/마운자로(티르제파타이드)는 뛰어난 체중 감량 효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두 기업은 대사질환 적응증 확장, 경구용 제제 개발, 다중 작용제 및 복합제 개발이라는 유사한 전략을 추구하고 있으나, 신규 혁신 기전 탐색에 있어 다소 차이를 보인다. 노보 노디스크는 세마글루타이드/카그릴린타이드 복합제인 카그리세마,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CB1 수용체 차단제 몬루나반트를 개발 중이며, 일라이 릴리는 GLP-1/GIP/Glucagon 삼중 작용제 레타트루타이드, 경구용 GLP-1 작용제 오포글리프론, 비마그루맙 등을 임상 개발 중이다. 두 회사가 양강 구도를 이루는 가운데, 로슈는 카못 테라퓨틱스 인수를 통해, 바이킹 테라퓨틱스는 피하 및 경구용 제제 동시 개발을 통해, 암젠은 4주 1회 투여되는 GLP-1 작용제/GIP 길항제 마리타이드 개발이라는 각기 다른 전략으로 시장 진입을 시도 중이다. 향후 비만 치료제 시장은 20-25% 이상의 체중 감량 효과, 빠른 효과 발현과 지속성, 위장관계 부작용 개선, 투여 편의성 향상, 비용 효율성이 핵심 경쟁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 BioINwatch AI 기반 De novo 단백질 설계를 통한 항독소 치료제 개발에 관한 연구 2025-03-11
- BioINwatch 맞춤형 ASO 치료제 개발에 유연성과 확장성을 제공하는 오가노이드 플랫폼 2025-02-06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중증 복합질환의 신약 개발 현황과 도전 과제: 멀티 모달리티 치료제의 역할 2025-01-15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장 면역 조절 연구 동향 2024-12-16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휴면세균 치료기술 연구동향 2024-11-12
동향
- 정책동향 복지부, 첨단재생의료 치료제도 시행으로 희귀·난치 질환자에게 새로운 치료기회 제공 (’25.2.19.) 2025-04-24
- 기술동향 식약처, ‘키메라 항원 수용체(CAR) T 치료제 개발 시 고려사항(민원인 안내서)’ 제정 (’24.12.20.) 2025-04-18
- 기술동향 차세대 플랫폼, 오가노이드 암, 희귀질환 연구, 약물 스크리닝에 독보적 활용 차세대 혁신 치료제로써, 오가노이드 주목 2024-10-07
- 산업동향 MASH 치료제 개발과 글로벌 시장 분석 2025-04-09
- 기술동향 유전자가위 기반 치료제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