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분획 분석]
- 등록일2025-05-29
- 조회수281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5-04-30
-
출처
신의료기술평가사업본부
- 원문링크
-
키워드
#다라투무맙#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다발골수종#안전성#유효성
- 첨부파일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분획 분석]
신의료기술평가 보고서
◈본문
신청기술 :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분획분석]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분획분석] (Daratumumab-specific protein immunofixation electrophoresis)은 다발골수종 환자 중 다라투무맙 약제 투여 환자의 혈청 검체에서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으로 다라투무맙 밴드의 위치를 이동시켜 내인성 M-단백질의 밴드와 정성적으로 구별하여 다라투무맙 간섭 여부 확인을 통해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로 의료법 제53조 및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제3조의 규정에 따라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면역고정 전기영동 검사”라는 기술명으로 2024년 8월 19일에 신청되었다. 이후 소위원회에서는 신청기술의 특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기술명을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분획분석]”로 변경하였다.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 및 소위원회 운영
2024년 제9차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2024. 9. 27.)에서는 동 기술이 현재 건강보험요양급여비용 목록에 등재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기술로 진단검사의학과(진단혈액, 임상화학 전공) 3인, 혈액종양내과 3인, 근거기반의학 1인의 총 7인의 전문가로 구성된 소위원회를 통해 안전성 및 유효성에 대해 평가하도록 심의하였다.
소위원회에서는 2024년 11월 28일부터 2025년 2월 4일까지 총 3회의 회의를 통해 선택된 연구의 결과에 따라 동 기술을 평가하고 검토결과를 제출하였으며, 2025년 제2차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2025. 2. 28.)에서 해당 내용을 토대로 동 기술을 최종 심의하였다.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분획분석] 평가
평가목적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분획분석]은 다발골수종 환자 중 다라투무맙 약제 투여 환자의 혈청 검체에서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으로 다라투무맙 밴드의 위치를 이동시켜 내인성 M-단백질의 밴드와 정성적으로 구별하여 다라투무맙 간섭 여부 확인을 통해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로, 본 평가의 목적은 동 기술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확인하는 데 있다.
평가방법
동 기술의 평가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진행하였다. 안전성은 대상자의 체외에서 이루어지는 검사로, 검체채취 과정 이외에는 인체에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지 않으므로 검사 수행에 따른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유효성은 의료결과에의 영향에 대한 세부 지표인 i) 판독 보고서 변경 비율, ii) 완전 관해 추가 식별 비율, iii) 부분 관해에서 완전 관해 추가 식별 비율로 평가하였다. 연구 유형은 비교군 연구로 제한하였다. 문헌검색은 KoreaMed를 포함한 5개 국내 데이터베이스와 Ovid-MEDLINE, Ovid-EMBASE 및 Cochrane Library의 국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였다. 문헌선택은 문헌검색전략에 의해 검색된 문헌 총 378편(국외문헌 377편, 국내문헌 1편) 중에서 중복 검색된 문헌 52편을 제외한 326편을 대상으로 선택 배제를 진행하였고, 중재검사를 수행하지 않은 연구, 적절한 의료결과가 하나 이상 보고되지 않은 연구, 적절한 비교검사가 수행되지 않은 연구 등을 배제하여 총 4편의 문헌(국외 문헌 3편, 국내 문헌 1편)을 최종 선택하였다. 문헌검색부터 선택기준 적용 및 자료추출까지 각 단계는 모두 소위원회 및 2명의 평가자가 독립적으로 수행하였다. 문헌의 질 평가는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의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이에 따라 질 평가 결과와 근거의 수준을 선정하여 평가결과를 기술하였다.
평가결과
동 기술의 유효성은 총 4편의 진단법 평가 연구에 근거하여 평가하였다. 대상자 선정 관련하여 일부 항목에서 비뚤림 위험이 있었으나 그 외 항목에 대해서는 수용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하여 문헌의 질은 모두 ‘2+’로 평가하였다.
유효성
총 4편의 연구에 근거하여 의료결과에의 영향에 대한 세부 지표인 i) 판독 보고서 변경 비율, ii) 완전 관해 추가 식별 비율, iii) 부분 관해에서 완전 관해 추가 식별 비율로 평가하였다. 이와 관련된 지표의 구체적인 정의와 산식은 소위원회에서 논의하여 결정하였다. 판독 보고서 변경 비율은 다라투무맙 약제로 인한 간섭을 나태내는 지표로, 산식의 분자에 M-단백질 밴드의 패턴이 달라진 경우로 제시하였다. 분자에 해당하는 부분은 비교검사에서 확인된 M-단백질의 종류와 위치가 중재검사에서 변경되었거나, 비교검사에서 M-단백질 밴드가 확인되었는데 이후 중재검사로 다라투무맙 밴드임이 확인되었던 경우에 해당한다.
판독 보고서 변경 비율은 4편에서 보고되었으며, 32.5 ~ 70.0%였다.
완전 관해 추가 식별 비율은 2편에서 16.7 ~ 67.6%로 보고되었다. 부분 관해(PR)에서 완전 관해(CR) 추가 식별 비율은 1편(Shirouchi et al., 2024)에서 보고되었으며, 아주 좋은 부분 관해(VGPR, very good partial response)에서 엄격한 완전 관해(sCR, stringent complete response)로 추가 식별 비율은 50%(2/4명)였다.
소위원회는 동 기술은 M-단백질 밴드 패턴의 변동을 확인할 수 있고 완전 관해의 추가 식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임상적으로 의미 있으며, 다라투무맙으로 인한 간섭을 확인할 수 있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다라투무맙 간섭 여부 확인을 통해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는 의견이었다.
결론
따라서, 소위원회는 현재 문헌적 근거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검토 결과를 제시하였다.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분획분석]은 다발골수종 환자 중 다라투무맙 약제 투여 환자의 혈청 검체에서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으로 다라투무맙 밴드의 위치를 이동시켜 내인성 M-단백질의 밴드와 정성적으로 구별하여 다라투무맙 간섭 여부 확인을 통해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기술로 평가하였다(근거의 수준 C).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는 신의료기술평가에 관한 규칙 제3조11항에 의거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분획분석]”에 대해 다음과 같이 심의하였다(2025.2.28.).
다라투무맙 간섭 제거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 검사[분획분석]은 다발골수종 환자 중 다라투무맙 약제 투여 환자의 혈청 검체에서 단백면역고정전기영동으로 다라투무맙 밴드의 위치를 이동시켜 내인성 M-단백질의 밴드와 정성적으로 구별하여 다라투무맙 간섭 여부 확인을 통해 치료 경과를 모니터링하는 데 있어,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있는 기술이다(근거의 수준 C).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의 심의결과는 소위원회의 검토 결과와 함께 2025년 3월 19일 보건복지부장관에게 보고되었으며, 2025년 5월 14일 개정 고시되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25-83호, 2025. 5. 14.).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자가증폭 mRNA 백신 연구 동향
-
이전글
- 글로벌 CAR-T 세포 치료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