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노화(Ageing)와 장수(longevity)의 멀티오믹스적 변화 및 최신 연구 동향
- 등록일2025-07-09
- 조회수13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5-06-20
-
출처
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노화#장수#멀티오믹스
노화(Ageing)와 장수(longevity)의 멀티오믹스적 변화 및 최신 연구 동향
◈본문
요약문
노화는 점차 되돌릴 수 없는 운명이 아니라, 조절 가능한 생물학적 과정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멀티오믹스 접근의 발전으로, 연구자들은 노화에 수반되는 복합적인 분자 상호작용을 해독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동향 보고서에서는 유전체, 후성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대사체, 마이크로바이옴의 여섯 가지 주요 오믹스 층위를 아우르며, 노화가 시스템 수준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리고 서로 다른 계층에서 개인 간 장수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종합적으로 조명하였다. 각 오믹스 층위에서 노화와 관련한 고유한 특징이 나타나는데, 최근에는 이들을 통합한 분석을 통해 이들 층위를 연결하는 인과 경로와 피드백 루프가 드러나면서, 노화가 다차원적 네트워크 과정이라는 새로운 이해가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전자 조절, 노화세포 표적 치료, 식이 제한, 후성유전 리프로그래밍 등 주요 노화 경로를 겨냥하는 최신 개입 전략이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분석 및 시스템 생물학이 노화 경로를 예측하고 개인화된 개입 전략을 설계하는 데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노화 치료 전략이 임상적 전환 단계로 진입함에 따라, 신뢰성 있는 노화 바이오마커 개발과 규제 체계 구축이 필수적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노화가 단순히 견뎌야 하는 과정이 아니라 측정하고, 관리하며, 조절할 수 있는 대상으로 전환되고 있는 미래를 전망한다. 이는 개인 맞춤형 장수 의학 시대의 도래를 의미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중국, 미국에 이어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임상시험 개시
지식
- BioINpro [2025 바이오 미래 유망기술(상)] 항노화 항체 치료제 연구 최신 동향 2025-05-21
- BioINwatch 다중오믹스 데이터 분석으로 뇌 노화 지표를 발굴하고, 기존 약물을 재창출 2025-05-16
- BioINwatch 노화 시계(aging clock)를 늦추는 당뇨병 치료제 2024-10-10
- BioINwatch 특정 줄기세포에 대한 항체로 노화된 면역체계의 회춘 가능성 제시 2024-05-09
- BioINpro [면역제어 기술]대사·후성유전학 기반 면역노화(immunosenescense)의 이해 2023-11-21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