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인간 복막에 발현하는 Leucine Rich Repeat Neuronal 4 (LRRN4) 단백 연구를 위한 동물모델 연구동향
- 등록일2025-07-30
- 조회수324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생명과학
-
자료발간일
2025-07-18
-
출처
BRIC
- 원문링크
-
키워드
#복막투석#루신-풍부 반복 신경 단백-4#복막#복막질환#복막 섬유증
인간 복막에 발현하는 Leucine Rich Repeat Neuronal 4 (LRRN4) 단백 연구를 위한 동물모델 연구동향
◈본문
1. 서론
2024년 대한신장학회 신장학연구재단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인 9명 중 1명은 만성신장병을 앓고 있다. 만성신장병이 진행하여 말기신질환에 이르면, 신장기능을 대체하기 위하여 투석 혹은 신장 이식이 필요하며, 이 중 복막투석(peritoneal dialysis)은 말기신장질환 환자의 신대체요법 중 하나이다. 한편, 매번 새로운 투석기를 적용하여 일정 투석 효율을 유지하는 혈액투석과는 달리, 복막투석은 환자의 기존 복막을 평생 매일 투석에 이용하므로, 투석시간 경과에 따른 투석효율 저하가 기능적으로 문제 될 수 있다. 따라서 복막투석 치료 환자에서 수분과 요독 성분의 제거능력이 유지되도록 건강한 복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본 연구 동향은 신대체요법으로써 복막투석의 의의와 역할 그리고 복막질환의 치료에 관한 연구 중심적인 내용을 다루었으며, 복막질환 극복을 위한 국내/외 연구동향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복막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복막에 존재하는 루신-풍부 반복 단백4(Leucine Rich Repeat Neuronal 4, 이하 LRRN4)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희소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본 연구 동향은 다가오는 미래의 국내/외적 복막질환 연구에서 교육적 기대효과뿐만 아니라 사회적 활용방안이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2. 복막의 기능
2.1. 복막이란 무엇인가?
복막(peritoneum) 또는 복강막(peritoneal membrane)은 복강 및 복강 내 장기를 둘러싸는 조직으로써, 그 크기는 신체 표면적과 유사하다. 복막은 장측 복막(visceral peritoneum)과 벽측 복막(parietal peritoneum)의 두 층으로 구성되며, 장측 복막은 복강 내 장기를 덮고 벽측 복막은 횡격막과 복벽의 전체 부위를 감싸고 있다 [1]. 구조적으로 복막은 단일층의 중피세포(mesothelial cells)로 이루어져 있으며, 섬유아세포(fibroblasts), 지방세포(adipocytes),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s), 신경(nerves) 및 림프관(lymphatic vessels) 등이 포함된 젤(gel) 형태의 기질을 가진 간질(interstitial tissue)과 밀집한 미세혈관망(microvascular network)으로 구성된다 (그림 1). 복막 모세혈관의 내피(endothelium)는 복막을 통한 용질(solutes) 및 체액(fluid)의 이동을 조절하는 장벽 역할을 하며, 확산(diffusion), 삼투(osmosis), 대류(convection) 등의 기본적인 물질 이동 과정이 이루어지는 장소이다.
그림 1. 복막의 구조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