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글로벌 기술이전 동향 분석 - Licensing agreement
- 등록일2025-10-23
- 조회수118
- 분류기술동향 >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자료발간일
2025-10-15
-
출처
국가신약개발재단
- 원문링크
-
키워드
#글로벌#기술이전#Licensing agreement
글로벌 기술이전 동향 분석 - Licensing agreement
◈ 목차
1.서론
2.전체 글로벌 기술이전 현황
3.Licensing Agreement
◈본문
1.서론
국가신약개발사업단 출범 이후, 사업 초기와 비교하여 신약개발 관련 혁신 기술의 출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연구개발 역량 변화, 신약개발 환경 및 글로벌 기술이전 동향 변화 등 신약 개발의 패러다임에 다양한 변화가 발생하였다. 이에 2026년 국가신약개발 사업 2단계 착수에 앞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국내 신약의 개발을 도모하고 국가 신약개발 사업의 최종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대외환경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 신약개발과제의 글로벌 기술이전에 대한 동향 분석 내용을 2차에 나누어 공유하고자 한다. (1차 Licensing agreement, 2차 Partnership 및 M&A)
[동향 분석 기준]
• Drug type: 신약 기준 (개발단계 unknown, discontinued, inactive, withdrawn, marketed 제외)
• 국가신약개발사업의 지원범위에 포함되지 않는 감염병, 줄기세포, 백신 제외
• 기간: 2021년 ~ 2025년 5월
• 주 자료원: GlobalData (2025년 6월 추출)
• 자료 한계 및 해석 시 유의사항
: 치료군별, 모달리티별, 단계별 기술 이전 수의 합은 서로 상이할 수 있음
(파이프라인 기준)
- 하나의 기술이전 물질이 여러 질환군에 적용되는 경우 복수로 적용
- 하나의 Asset이 여러 적응증으로 다양한 개발단계 및 일부 비공개 경우 존재
- 모달리티별 분석의 경우 비공개 다수 존재. 전체 합계 보다 적음
2.전체 글로벌 기술이전 현황
2-1. 연도별 기술이전 건수 및 규모
• 계약 건수와 전체 계약 규모 반비례 추세 확인
- 계약 건수: M&A가 증가 추세, Licensing agreement와 Partnership은 감소 추세
- 전체 계약 규모: M&A가 감소 추세, Licensing agreement 와 partnership은 증가 추세
• 과거 대비 건수가 감소하는 대신 건강 거래 규모가 증가하고, 빅파마가 포트폴리오를 재조정하여 고성장 영역 중심으로 투자하는 트랜드와 일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파나마 의료기기 시장동향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