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HPV 예방백신 연구개발 동향 정보집 발간

  • 등록일2025-11-07
  • 조회수16
  • 분류기술동향 > 생명 > 보건의료학

 

 

HPV 예방백신 연구개발 동향 정보집

[생물의약품]

 

◈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HPV 바이러스 감염과 암의 발달


1. HPV 타입

2. 바이러스 구조

3. 바이러스 유전체 구성

4. 감염

5. 암의 발달


제3장. HPV 백신의 개요

1. 1세대 백신

2. 2세대 HPV 백신의 출현

3. 세계 자궁경부암 발병

4. 남성의 HPV 백신 접종

5. 주요 국가별 HPV 백신의 보급 정책


제4장. 차세대 HPV 백신의 개발 현황

1. L1 기반 차세대 백신

2. L2 기반 차세대 백신

3. L1-L2 기반 차세대 백신

4. 기타 (mRNA 차세대 백신)


제 5장. 백신 효능 평가 시스템

1. HPV 슈도바이러스를 이용한 in vitro / in vivo assay

2. HPV 슈도바이러스 리포터 시스템 발전

3. 백신의 면역원성 평가 방법

4. HPV 슈도바이러스 리포터 시스템의 차세대 후보

5. HPV 슈도바이러스를 이용한 차세대 in vitro / in vivo assay


제 6장. 맺음말

 

 

◈본문

제1장. 서론

 사람 유두종바이러스(Human papillomavirus, HPV)에 대한 백신의 개발은 현대 공중보건 분야에서 중대한 이정표로 평가되며, HPV 관련 질병의 예방과 관리에 획기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HPV는 자궁경부암을 비롯하여 구인두암, 항문암, 외음부암, 음경암 등 다양한 악성 종양의 주요 원인으로 잘 알려져 왔다. 2000년대 초반, 가다실(Gardasil)과 서바릭스(Cervarix)와 같은 HPV 백신의 도입은 고위험 HPV 유형(HPV16, 18 등)에 대한 강력한 보호력을 제공하며, HPV 감염과 그에 따른 전암 병변의 발생률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암 예방의 패러다임을 크게 변화시켰다.

현재 HPV 백신의 지속적 개선과 차세대 백신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보호 범위 및 효과를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가다실의 후속 제품인 9가 백신 가다실9(Gardasil 9)은 기존 백신 대비 보호 범위를 확대하여 고위험 7종을 포함한 총 9개의 HPV 유형에 대한 면역력을 제공한다.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백신 중에는 HPV 타입 간의 교차 보호된 서열을 표적으로 하는 L2 단백질 기반 백신이 주목받고 있으며, 이 L2 기반 백신은 보다 광범위한 HPV 유형에 대한 교차보호 효과를 제공할 가능성이 커 기존 백신의 한계를 보완할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백신의 제형 개선과 피내 접종, 비강 내 접종 등의 새로운 전달 방식 개발, 접종 대상 인구의 확대(남성 및 다양한 연령층)를 통한 백신 접종률 향상 등과 같은 전략들은 백신 효율성 및 공중 보건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부가적인 방안으로 각광 받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HPV의 구조 및 생애주기, 현재 사용되는 HPV 백신 현황, 차세대 HPV 백신 개발의 최신 동향을 상세히 살펴봄으로써 HPV 백신의 발전 방향과 글로벌 보건에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