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방사성의약품 연구 및 산업 동향

  • 등록일2025-11-24
  • 조회수244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 자료발간일
    2025-11-03
  • 출처
    한국바이오협회
  • 원문링크
  • 키워드
    #방사성의약품#radiopharmaceuticals#의약품#방사성 동위원소
  • 첨부파일

 

 

방사성의약품 연구 및 산업 동향

 

◈ 목차

■ 방사성의약품 연구개발 현황 (1)

■ 방사성의약품 산업 동향 (2)


 

◈본문

■ 방사성의약품 연구개발 현황 (1)

[개요]

방사성의약품(radiopharmaceuticals)은 한국 식약처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방사성동위원소를 함유하여 제조된 질병의 진단, 치료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이다. 방사성의약품은 의약품과 달리 전문 내 전문 인력에 의해서만 사용이 가능하며, 병원내 특정 장소에 국한되어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사성의약품은 최근 진단의 분야에서 치료의 분야로 넘어오기 시작했다. 이제 막 시작했지만 그 파급력은 매우 크다. 최근 큰 파급력을 보여주는 RLT(RadioLigandTherapy), RPT(RadioPharmaceuticalTherapy)등으로 불리는 방사성의약품들은 작은 분자, 펩타이드, 항체와 같은 벡터를 통해 방사성 동위원소를 표적암세포에 정확히 전달하여 치료하는 방사성의약품을 의미한다.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동위원소가 표적 세포에 정확히 침착되면, 방사선에 의해 암세포의 DNA가 단일 가닥 또는 이중 가닥의 손상이 유발되어 세포 사멸을 일으킨다. 외부 방사선원을 사용하는 기존 방사선치료와는 달리, 방사성의약품 치료는 방사선의 영향권을 표적 세포주위로 제한하여 비표적 세포에 대한 방사선 침습을 최소화하고, 정상장기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이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기존 치료 방식들과 비교할 때, 소량의 표적 벡터만으로도 충분한 방사선을 표적 암세포에 전달하여 세포를 사멸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전하고 경제적인 치료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몇 년간, 표적 벡터에 높은 결합 친화도를 갖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결합하는 기술과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의 대량 생산에 있어 상당한 진전이 이루어졌다. 본 브리프에서는 현재까지 승인된 방사성의약품, 임상시험 현황 및 연구개발 동향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 방사성의약품 산업 동향 (2) 

[개요]

방사성의약품(Radiopharmaceuticals)은 저분자, 펩타이드, 항체와 같은 의약품에 방사성 동위원소를 붙인 의약품으로 전 세계적으로 질병 진단과 치료에 사용이 확대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최근 고령화 및 암, 알츠하이머병, 심혈관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의 유병률이 크게 증가하고 있어 진단 및 치료 목적으로 핵의학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이다. 또한, 아스트라제네카, 릴리, 노바티스 등 글로벌 빅파마들과 기술이전, M&A 소식들이 전해지면서 방사성의약품 시장이 주목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노바티스의 전립선암치료제 ‘플루빅토’가 상업적으로 성공하면서 방사성의약품 기술 경쟁의 불씨였고, 2022년 3월 FDA 승인을 받으면서 출시 첫해 2억 7,100만 달러(약 3,600억 원), 지난해 9억 8,000만 달러(약 1조3,000억 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2028년에는 38억 7,000만 달러(약 5조 원)까지 성장해 글로벌 블록버스터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1). 방사성의약품 시장은 크게 전통적 방사선 치료, 진단용 및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으로 구분되며,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은 노바티스 2개, 바이엘 1개의 의약품을 보유하고 있고, 글로벌 빅파마 입장에서도 시작 단계이다. 방사성의약품을 연구개발 하는 국내 기업은 듀켐바이오, 퓨쳐켐, SK바이오팜 등이 있다. 듀켐바이오, 퓨쳐켐 기업은 판매 중인 진단용 방사성의약품을 보유하고 있으나, 치료용 방사성의약품은 아직 개발 초기 단계이고, SK바이오팜의 경우는 치료용 방사성의약품 분야에 적극적으로 집중하고 있다. 본 브리프에서는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방사성의약품 시장과 투자현황 및 국내·외 산업계 플레이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