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동향
생명공학과 정보기술의 결합
- 등록일2002-03-07
- 조회수10156
- 분류기술동향 >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출처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생명공학과 정보기술의 결합
1. 생물정보학의 개요
1. 1 생물정보학의 기원과 발전
□ 생물정보학(bioinformatics)은 생명공학과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생명체가 지닌 막대한 양의 정보를 수집, 저장, 분석, 가공하는 분야로, 이를 통해 가공된 정보들은 의약, 식품, 농업, 환경 등의 분야에 사용되어 부가가치를 창출한다.
□ 생물정보학은 1950년대 후반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결정이 가능해지면서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으나,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되고 정보기술과의 결합이이루어진 것은 1980년대에 들어서였다.1960~1970년대에 걸쳐 과학자들은 단백질 서열 데이터들을 발표하였는데,1980년대 초 미국국립생명의학연구재단(National Biomedical ResearchFoundation, NBRF)은 이 데이터들을 모아 NBRF 단백질 서열 데이터베이스 를 만들었다. 이는 1984년 NIH의 지원으로 설립된 단백질정보센터 (Protein Information Resource, PIR)로 발전하였다.PIR은 1988년 독일의 뮌헨 단백질서열정보센터(Munich InformationCenter for Protein Sequ ences, MIPS)와 일본의 국제단백질서열데이터베이스(Japanese International Protein Sequ ence Database, JIPID)와 협력관계를 맺고 PIR-국제단백질서열데이터베이스(PIR-International Protein Sequ enceDatabase)를 구축하였다.
□ 1970년대 말 DNA 염기서열 분석기술이 개발되어 염기서열 데이터들이 양산되자 생명공학에 정보기술의 도입은 더욱 절실해졌다.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미국 NSCEB, 국가전략기술로서의 생명공학 육성에 관한 전략 보고서 발간 2025-06-23
- BioINpro [이슈페이퍼] 『美신흥생명공학에 관한 국가안보위원회(NSCEB)』 전략 보고서 - 미국 생명공학의 미래 설계- 2025-06-02
- BioINpro [국내·외 BT 투자 및 정책 동향] 2025년 미국 정부 R&D 예산(안) 2025-02-19
- BioINwatch USDA, EPA, FDA, 생명공학 규제 조정 프레임워크에 따른 규제 개혁 계획 발표 2024-08-20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바이오파운드리, 합성생물학 연구의 자동화로 여는 생명공학의 미래 2024-07-01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