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백서

2013 생명공학백서

2013 생명공학백서

  • 발행일 2014-01-07
  • 출처 생명공학백서2013(총서 제 214권)
  • 담당자 오민정 ( 042-879-8378 / mjoh@kribb.re.kr )
  • 조회수 26064
  • 키워드
    #생명공학백서
  • 첨부파일
  • 차트+

개요

미래창조과학부에서는 ‘2013 생명공학백서’를 발간하였습니다.

 

바이오의 국가 정책 비전

생명의 신비를 알고자 했던 인류의 오랜 기원과 노력이 21세기에 들어서 유전정보에 기반 하면서 타 기술과 융합한 바이오기술을 통해 사회 경제 전반적이 분야에 그 파급효과를 나타내면서, 제품을 생산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바이오산업이 차세대 가장 유망한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고부가가치 및 고성장 산업으로의 잠재성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될 뿐 아니라, 다른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이라는 예상 때문이다.


2013년 글로벌 바이오 산업시장은 2008년(2,163억 달러)보다 41.3% 증가한 3,05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국내 바이오산업 생산규모 역시 현재 23억 달러 규모로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연평균 23.2%씩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글로벌 경제 위기 등의 불안정한 요소에도 불구하고 바이오 분야의 성장세는 가파르게 이어져 가고 있다. 장년기로 접어든 국내의 바이오기술투자에 대한 성과확산을 위한 정책과 전략을 점검하고, 바이오투자전략을 재정립하여 비전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1. 바이오정책 - 창조경제 시대의 견인
2000년 6월 26일 미국의 빌 클린턴 대통령은 15년간 3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한 정책결정에 의해 1990년 시작된 인간게놈지도 초안 작성결과를 발표하였다. 또한 프로젝트의 완성이 임박했음을 알리는 기자회견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리더십을 세계에 과시하면서 생명공학 산업에서 미국의 선도적인 지위를 굳건히 하기 위한 포석을 공개하였다.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과에 대한 많은 불확실성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정책결정자의 안목과 전문가들의 노력에 의해 수행된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성과가 현 시점에 이르러 경제적 가치로 환산되어 발표되고 있다. 네이처(Nature)지는 2013년 6월 12일자 지면을 통해 미국 배틀메모리얼 연구소의 자료를 인용하며, 정확성에 대한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염기서열분석에 투자된 공적자금 1달러로부터 178달러의 경제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고 보도하였다. 여기에 사람들에게 돌아가는 보건혜택과 같은 가치평가가 어려운 효과까지 더하면 그 성과규모는 더욱 커질 수 있다고 평가된다...........계속

 

목차

특 집 :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바이오 추진전략

특집 1 미래창조과학부의 바이오경제시대를 위한추진전략 

특집 2 BT와 ICT 융복합을 통한 창조경제 실현  

 

제1장 생명공학의 비전과 전망

제1절 바이오 국가 정책 비전

제2절 국민행복 시대를 여는 바이오기술 

제3절 바이오경제시대 전망

제4절 종합조정 측면의 생명공학 육성정책

 

제2장 세계 주요국의 생명공학 동향

제1절 미국

제2절 일본

제3절 유럽연합(EU)

제4절 중국

 

제3장 국가 생명공학 육성 정책 및 지표

제1절 생명공학 육성 정책

1. 생명공학 연구개발 지원 정책

2. 생명공학산업 육성 정책

3. 생명공학 기초과학진흥 정책

4. 생명공학 인력양성 정책

5. 농식품분야 생명공학 육성 정책

6. 보건의료분야 생명공학 육성 정책

7. 환경분야 생명공학 육성 정책

8. 해양수산분야 생명공학 육성 정책

9. 생명자원 분야의 육성 및 관리

 

제2절 바이오 경쟁력 지표 현항

1. 투자 현황

2. 인력 현황

3. 특허 현황

4. 논문 현황

5. 산업 현황

 

제4장 생명공학 연구개발 및 산업 현황

제1절 생명과학 분야

1. 유전체연구

2. 단백질체연구

3. 세포체학

4. 대사체학

5. 시스템생물학

6. 구조생물학

7. 뇌과학

 

제2절 보건의료 분야

1. 합성신약

2. 바이오신약

3. 바이오장기

 

제3절 농림축산식품 분야

1. 농작물 생명공학

2. 식품 생명공학

 

제4절 산업공정/환경·해양수산 분야

1. 제조 및 생물공정

2. 환경 생명공학

2. 해양 생명공학

 

제5절 바이오 융합 분야

1. BT+ICT 연구의 개요

2. BT+NT(바이오나노기술)

 

제6절 생명자원(생명연구자원) 

제7절 생명공학 인프라

 

제8절 주요현안 분야

1. 법과학

2. 노화과학연구

3. 감염병

4 중독 

 

제5장 생명공학 관련 법제도 현황

제1절 바이오안전성 동향

제2절 생명윤리 동향

제3절 생명공학 지적재산권 제도 동향

제4절 생명공학 제품 인허가 현황과 과제

제5절 생명공학 기업 현황과 지원제도


 

부 록

1. 생명공학 연표

2. 생명공학 주요통계

3. 생명공학 관계법령

4. 생명공학 용어 정리

5. 생명공학의 정의 및 범위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