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중국, 세계 최초 돼지 다기능, 단백질 공학의 새로운 도전 등..
- 등록일2009-07-10
- 조회수8427
- 분류종합 > 종합
[월간 2009-5호] BioWatch 국가별 최신 BT동향
BioMonthly는 국외의 R&D 환경변화 및 최신 BT동향을 모니터링하여 매월 제공합니다.
<첨부 자료는 5월중순부터 6월중순까지의 동향을 제공합니다>
목차
1. 중국, 세계 최초 돼지 다기능 줄기세포 생성 성공
2. 프랑스 정부, 바이오텍 분야 지원 강화
3. EU, 의약시장 과다경쟁에 대한 바이오텍사의 반발
4. 천연자원을 바탕으로 한 칠레 바이오텍산업 부흥
5. 48,000불에 인간 전체 유전자 서열 분석
6. 줄기세포연구의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제언
7. 유전자 특허 허용여부에 대한 명확한 원칙 필요
8. 단백질 공학의 새로운 도전 현황
1. 중국, 세계 최초 돼지 다기능 줄기세포 생성 성공
※ 출처 : Oxford University Press, 2009년 6월 2일
□ 연구 개요
○ 돼지의 체세포로부터 다기능성 줄기 세포 (pluripotent stem cell)로 전환 유도 성공
- 다양한 전사 인자를 이용하여 돼지의 귀와 골수에서 채취한 체세포를 다기능성 줄기 세포로 형질
전환
-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사 인자를 체세포에 도입하여 배아 세포와 유사한 성질을 가지는
세포군 형성
- 세포군은 배아 세포와 마찬가지로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으로 분화 가능
○ Journal of Molecular Cell Biology 잡지에 6월 3일 online 출판
- Dr. Lei Xiao (Shanghai Institute of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 연구 학문적 의의
○ 유제류의 체세포를 이용한 세계 첫 번째의 성공
○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른 유제류로부터 배아 줄기 세포를 쉽게 유도 가능
○ 유도된 다기능성 줄기 세포에 유전자 조작을 가하는 연구 수행 가능
○ 그러나 임상에 활용하기까지는 몇 년이 더 걸릴 것으로 예상
□ 향후 연구 활용 방안
○ 인간 유전병에 대한 질환 동물 모델 개발
- 돼지의 다기능성 줄기 세포의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인간의 유전병과 같은 유전병을 가지는 돼지
개발 가능
○ 인간의 장기 이식을 위한 유전자 변형 동물 개발
- 돼지의 장기는 인간의 장기와 크기가 상당히 유사하므로 유도된 돼지의 다기능성 줄기 세포의 유
전자 조작을 통하여 인간으로 장기 이식 시 면역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이종 장기 생성 가능
○ swine flu 등 질병에 내성을 가지는 동물 개발
- 다기능성 줄기 세포의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바이러스 등의 감염에 필수적인 수용체를 제거하면
바이러스 내성을 가진 돼지 개발 가능
○ 축산업 측면에서 돼지의 성장 조절 가능
- 돼지의 성장 관련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돼지의 생장 조절 가능
원문보기 클릭~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