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골다공증 치료제 전망
- 등록일2011-07-20
- 조회수15865
- 분류제품 > 바이오의약
- 원문링크
-
발간일
2011-07-20
-
키워드
#골다공증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dustry-No.36] 골다공증 치료제 전망
※ 이 내용은 Datamonitor, ''Commercial Insight: Osteoporosis'', Datamonitor (2010. 6) ''Pipeline Insight: Osteoporosis'' (2010. 7), ‘R&D Trend Osteoporosis''(2011.4), Product Profiles Osteoporosis (2011. 6)를 참고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재가공한 내용임
□ 골다공증 개요
○ 골다공증이란?
- 미국립보건원(NIH)에 따르면, 골다공증이란 뼈가 약해져 골절이 되기 쉬운 상태에 있는 질환이며, 첫 골절이 일어나기 전까지 그 증상을 깨닫기 어려움. 골다공증은 주로 엉덩이 및 고관절(hip), 척추(spine), 그리고 손목(wrist) 등의 부위에서 자주 발견되는 질환임 (NIH;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11. 1)
-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2011)에 따르면, 골다공증(Osteoporosis) 연구란 뼈의 질량감소와 뼈 조직의 구조학적 퇴화를 특징으로 하며 뼈를 구성하는 미네랄(특히, 칼슘)과 기질의 감소 상태를 보이는 전신적인 진행성 골격질환으로 골절위험이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질환을 연구하는 것을 의미함
○ 골다공증 발생 원인
- 골다공증을 일으키는 골밀도의 감소는 뼈의 대사 즉, 새로운 뼈를 생성하는 골생성과 오래된 뼈를 제거하는 골소실 속도에서의 불균형(unbalance)에 기인함
- 대표적인 원인은 연령증가에 따른 자연적인 노화 과정으로 골손실에 비하여 골생성이 낮아짐으로써 발생되며, 특히 폐경기(menopausal) 후 여성에게 많이 나타남(노인성 골다공증과 폐경기후 골다공증)
○ 골다골증 진단
-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fracture)은 뼈의 강도(bone strength)가 약할 때 일어나며, 그 강도는 골밀도(bone density)와 뼈의 질(bone quality)에 의해 결정됨 (''Osteopenia and Osteoprosis'', Datamonitor 2008)
* 골밀도: 골 속 미네랄 함유량(grams of mineral per area)으로 측정
* 뼈의질: 미세구조(microarchitecture), 골교체율(turnover), 무기물화(mineralization) 및 손상 축적(damage accumulation) 정도에 따라 측정 / (아직 뼈의 질을 수치화할 수 있는 컨센서스된 방법은 없음)
○ 골손실(bone loss)에 따른 골다공증 분류(WHO, 1994)
- 골감소증(osteopenia), 골다공증(osteoporosis), 고도(심한) 골다공증(severe osteoporosis)
[그림1] 골감소(bone loss)에 따른 골다공증 분류(classification)
출처: WHO(World Health Organization) (1994)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