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19-05-09
  • 조회수25057
  • 분류생명 > 생명과학,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BioINdustry No.136]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현황 및 전망

 

-헬스케어 분야를 중심으로-

 

 

 

 

※ 본 보고서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Frost & Sullivan에 의뢰한 보고서를 기반으로 작성하였으며, 이와 관련한 저작권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있음

 

[목 차]

 

1. 정의 및 범위

 

2.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현황 및 전망

1)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분류

2) 마이크로바이옴 분류별 시장현황 및 전망

 

3. 헬스케어분야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전망

1) 혁신을 가져온 마이크로바이옴 기술

2) 시장영향 요인

3)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적 기업활동

4) 주요기업 협력사



 정의 및 범위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은 미생물군집(마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과 유전체(지놈:genome)의 합성어


○ 주어진 환경에 서식하거나 또는 다른 생물과 공존하는 모든 미생물의 총체적인 유전정보 또는 미생물군 자체를 의미

 이크로바이오타(microbiota)는 마이크로바이옴에 비해 미생물 균주 그 자체에 중점을 둔 용어로 인간의 몸에 서식하며 공생의 관계를 가진 미생물


-  마이크로바이옴은 기존의 개별 미생물 분석 연구에서 벗어나 기주 생물(인체식물 등)미생물 간의 상호작용을 유전체학에 기반 한 연구 및 기술을 의미



○ 최근 초고속 대용량염기서열분석기술의 급격한 발달로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분석이 가능해지면서,


 

 -  다양한 오믹스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의 특성 및 미생물 생태계 작동기전 분석이 가능해지고새로운 기능작용에 대한 지식의 축적은 식품 및 제약 기업의 새로운 제품개발 트렌드 전환을 촉진

 

 글로벌 대형 식품기업(네슬레다논카길 등)과 제약기업(화이자듀폰얀센 등)은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제품개발 연구 확대


○  제2의 장기로 인식되어지는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미생물 군집의 복잡성 측면에서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핵심


 - ‘건강한 마이크로바이옴 건강한 신체라는 인식의 급격한 확산으로 인해 식품 선택의 기준변화 및 식품 시장의 새로운 소비경향 발생(http://humanfoodproject.com)


○  또한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생물 서식환경(농업기후변화식량안보 등)에서 존재하여 산업적으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


 - 다양한 생지화학적 프로세스(탄소질소황 등의 순환)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의 작용기작 및 상호작용을 활용하여 미생물 다양성의 자원화 가능

  * 마이크로바이옴의 불균형은 멕시코 걸프만 데드존과 같은 생태계 파괴농업 생산성 감소기후변화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 

  일본 교토대 연구진 페트병 분해 미생물 발견(Yoshida S et al, Science, ’16)


□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은 2019년 811억달러에서 연평균 7.6%로 성장하여 2023년 1,086.8억달러 규모를 보일 것으로 전망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로부터 도출되는 새로운 지식과 상업화 잠재력으로 연평균 7.6% 이상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그림 1]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전망(2019-2023)

출처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Global Microbiome Industry(Frost & Sullivan 분석), 2019.4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사이트 링크가 열리지 않을시 Bioin 담당자(042-879-8377, bioin@kribb.re.kr)에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