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

합성생물학의 시장 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21-10-13
  • 조회수9719
  • 분류플랫폼바이오 > 바이오기반기술,  플랫폼바이오 > 바이오융합기술



[BiolNdustry No.163] 합성생물학의 시장 현황 및 전망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임일권 연구원

김무웅 책임연구원


※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설리번’에서 발간한  ‘Emerging Opportunities in Synthetic Biology Platforms’(2019.3) 보고서를 참고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


1. 개요

2. 합성생물학의 범위

 1) 합성생물학 응용기술(application)의 환경분석

 2) 합성생물학의 도구 및 기술

3. 시장 현황 및 전망

 1) 전체 시장현황

 2) 분야별 시장전망

 3) 투자동향

4. 성장요인 및 저해요인

 1) 성장요인

 2) 저해요인

5. 주요 플레이어


[요약문]


□ (시장동향) 세계 합성생물학 시장은 2023년까지 높은 성장률(연평균성장률 19.7%)이 예상되며, 2023년에는 104억 9,000만 달러로 증가를 예상

 

○ 획기적인 유전자편집 도구와 양자컴퓨팅 등 융합기술의 발전은 전세계 합성생물학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음

- 분야별로는 스마트 테라퓨틱스 분야가 2018년 한해 약 13억 달러의 가장 높은 수익률과 23.1%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그 뒤로 재생에너지, 농업, 환경 등이 따르고 있음


[그림 ] 글로벌 매출 전망 (2018-2023년 )

합성생물학 플랫폼의 시장 현황 및 전망.png

 

출처 프로스트앤설리번, ‘Emerging Opportunities in Synthetic Biology Platforms’. 2019.3. 재구성


 

□ (성장기회) 새로운 유전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합성생물학이 새로운 가치가 나타나고 있다고 밝혀

 

○ 합성생물학의 유전자 관련 기술의 발전이 대표적인 성장요인으로 꼽고 있음

- 가장 큰 저해요인으로는 합성생물학 기술을 통한 생명체 조작 및 생성 등의 ‘생명윤리’로 밝혔으며, ‘공학적 해결을 위한 표준화’, ‘대규모 제조’, ‘정부의 규제’ 등이 있다고 밝힘


<표 > 합성생물학 성장의 성장요인과 저해요인

성장요인

저해요인

수준

주요특징

수준

주요특징

매우 높음(5.5)

저렴한 DNA 시퀀싱 분석

매우높음(5.5)

윤리 및 생명보안 문제

대체로 높음(4.5)

게놈 편집 기술의 발전

약간 높음(3.5)

표준화 및 역량

약간 높음(3.5)

녹색 혁신의 책임

약간 높음(3.5)

구성 및 제조 규모의 확대

약간 높음(3.5)

정부 차원의 관심

대체로 높음(4.5)

정부의 영향

출처 프로스트앤설리번, ‘Emerging Opportunities in Synthetic Biology Platforms’. 2019.3. 재구성


1. 개 요 


□ 합성생물학은 인공생명체의 제작 및 합성하는 학문을 말함


 

▶ (합성생물학의 정의) 기존 생명체를 모방하거나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인공 생명체를 제작 및 합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학문(美, 국가생명윤리연구위원회. 2010)

 


○ 합성생물학(Synthetic biology, 또는 synbio)은 생명과학, 생명공학, 화학, 생물정보학을 융합하여 얻어지는 생물학의 공학

- 합성생물학은 미래 혁신·기술에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으로 발전되고 있는 연구 분야이며, 잠재적인 전체 경제·사회에 가장 유익한 영향을 끼칠 분야로 기대됨

- 합성생물학은 생물학과 생물체에 공학적 원리를 전수하여 생물계의 설계와 창조에 대한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도입하는 기술

○ 스마트 테라퓨틱스 분야가 2018년 한해 약 13억 달러의 가장 높은 수익률과 23.1%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그 뒤로 재생에너지가 두각을 보이고 있음

- 다음 [그림 2]은 합성생물학의 스마트 테라퓨틱스, 재생에너지, 농업, 생명보안, 환경, 마이크로/나노기술 등 세부 분야에 따른 성장률과 수익률을 보여줌


[그림 2] 합성생물학의 응용기술별 수익 (글로벌, 2018)

합성생물학의 응용기술별 수익.png

출처 프로스트앤설리번, ‘Emerging Opportunities in Synthetic Biology Platforms’. 2019.3. 재구성

 


 

대표적인 합성생물학의 사례[2]

 

 

 

■ 최근 합성생물학은 빅데이터인공지능자동화 로봇 등의 기술과의 융합으로 기존 바이오 프로세스 개발의 속도와 규모를 크게 향상시키며 4차 산업혁명의 첨병 역할을 하고 있음
■ 미국의 스타트업 기업인 모더나(Moderna)는 mRNA 백신 설계와 합성에 디지털화(Digitization) 기술을 결합코로나19 백신을 세계 두 번째로 개발함
■ 또한대표적인 자동화 기반 합성생물학 전문기업인 Ginkgo Bioworks는 2020년 4월 모더나와 파트너쉽을 맺고 mRNA 생산 최적화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20.11 미국 정부로부터 1.2조원을 지원받음
*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디지털바이오 현황 및 향후 전망’, BioINpro, 2021.3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