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시장 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22-05-12
  • 조회수7830
  • 분류서비스 > 바이오서비스


[BiolNdustry No.169]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시장 현황 및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이송하, 책임연구원 김무웅

 

 

※본 보고서는 산업정보 전문업체인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서 발간한 ‘Digital Twins Outlook in Healthcare, 2019-2025(2019.9)’과 4차산업혁명위원회에서 발간한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활성화 방안 제언(2022.4)‘ 등을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

 


1. 개요

 1)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의 정의와 필요성

 2)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의 적용 범위

 


2. 시장 현황 및 전망

 


3.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의 기회와 위협

 1) 기회요인

 2) 위협요인

 

4. 산업계 주요 플레이어 동향

 

 

【요약문】

 

□ 인체를 개인의 수준에서 컴퓨터 모델링 하는 것은 기술적 한계가 있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은 헬스케어 분야에서는 유망한 분야로 주목 받지 못했으나, 센서, 사물인터넷, 인공지능, 빅데이터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최근 관심도가 높아짐

 

□ 글로벌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시장은 2019년 6억 달러(7,320억 원)에서 연평균 26.0%로 성장하여 2025년 24억 달러(2조 9,280억 원)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

 

noname01.png

글로벌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시장규모(2017-2025)

※ 출처: 프로스트앤드설리번, Digital Twins Outlook in Healthcare, 2019-2025(2019.9)

 

 

□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초기단계에서 개별 환자의 상태를 모델링 하는 것 외에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적용할 수 있는 적절한 분야를 발굴한다면 디지털 트윈 기술은 헬스케어 분야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의 적용 대상(Target)은 기기 → 프로세스 → 인구 집단 → 환자 개인의 단계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

 

□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 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규제 완화, 경제성 확보, 디지털 트윈 기술의 발전, 전문인력 양성,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가 뒷받침 되어야 함

-----------------------------------------------------------------------------------------------------------------------------------------------

 


1.개요

 


1)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의 정의와 필요성


□ 본 보고서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헬스케어 분야에 접목하는 것’을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으로 정의

   ※ 헬스케어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in healthcare)이 일반적이나, 메디컬 트윈(medical twin), 바이오-디지털 트윈(bio-digital twin) 등의 용어로 사용되기도 함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기술은 제조업과 우주과학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고려되고 있음

 

 ○ 디지털 트윈은 최초 제조 분야를 중심으로 적용되었으나, 최근 사물인터넷(IoT), 확장현실기술(XR), 인공지능(AI) 기술과 접목하여 다양한 산업·사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써 헬스케어 분야에서도 주목받고 있음(고대식과 윤수근, 2019)

 

[참고] 디지털 트윈이란?

 

-현실세계에서 수집한 다양한 정보를 가상세계에서 분석하고 최적화 방안을 도출해 이를 기반으로 현실세계를 최적화하는 지능화 융합 기술(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

 

-2003년에 미시간대학교 Michael Grieves가 박사가 제품라이프사이클관리(PLM) 관점에서 최초 도입한 개념. Grieves 박사는 디지털 트윈의 개념을 제품 수명주기 설계, 프로토타입, 시뮬레이션 및 제조 단계 최적화에 적용하는 수준에 그쳤으나, 최근에는 현장의 서비스를 혁신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활성화하는데 디지털 트윈을 활용 중(프로스트앤드설리번, 2021)

 

-디지털 트윈의 핵심 기술은 3D 모델링 구축/갱신기술, 가시화/운영기술, 보안기술, 분석기술, 연결기술 등이며 환경, 국방, 안전, 제조, 도시, 교통, 복지, 의료, 에너지, 농·축산 등의 응용서비스에 접목 가능(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

 

-디지털 트윈의 핵심기술은 가상화, 동기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연합 디지털 트윈기술로 구성되며, 모사(Mirroring) → 관제(Monitoring) → 모의(Modeling & Simulation) → 연합(Federated) → 자율(Autonomous) 단계로 발전 전망(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

 

-현실세계에서 수집한 다양한 정보를 가상세계에서 분석하고 최적화 방안을 도출해 이를 기반으로 현실세계를 최적화하는 지능화 융합 기술(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

 

-2003년에 미시간대학교 Michael Grieves가 박사가 제품라이프사이클관리(PLM) 관점에서 최초 도입한 개념. Grieves 박사는 디지털 트윈의 개념을 제품 수명주기 설계, 프로토타입, 시뮬레이션 및 제조 단계 최적화에 적용하는 수준에 그쳤으나, 최근에는 현장의 서비스를 혁신하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활성화하는데 디지털 트윈을 활용 중(프로스트앤드설리번, 2021)

 

-디지털 트윈의 핵심 기술은 3D 모델링 구축/갱신기술, 가시화/운영기술, 보안기술, 분석기술, 연결기술 등이며 환경, 국방, 안전, 제조, 도시, 교통, 복지, 의료, 에너지, 농·축산 등의 응용서비스에 접목 가능(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1)

 

-디지털 트윈의 핵심기술은 가상화, 동기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연합 디지털 트윈기술로 구성되며, 모사(Mirroring) → 관제(Monitoring) → 모의(Modeling & Simulation) → 연합(Federated) → 자율(Autonomous) 단계로 발전 전망(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1)

 

noname02.png

 [그림 1 ] 디지털 트윈 기술 발전 단계(level)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한국판 뉴딜 2.0, 초연결 신산업분야의 핵심” 「디지털 트윈 활성화 전략」(2021.9)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