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

2022년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전망 및 도전 과제

  • 등록일2022-06-21
  • 조회수10769
  • 분류생명 > 보건의료학


[BiolNdustry No.170] 2022년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전망 및 도전 과제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책임연구원 김무웅




※본 보고서는 ‘딜로이트(Deloitte)’에서 발간한 ‘2022 Global Health Care Outlook(2022)‘, ’프로스트앤설리반‘에서 발간한 ’Global Pharmaceuticals Outlook, 2022‘ 등을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목차]


1.개요


2. 팬데믹 이후 시장환경 변화


3. 주요 이슈별 현황 및 도전과제

 1) 건강 형평성(Health equity)

 2)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3) 정신건강과 웰빙(Mental health & well-being)

 4) 디지털 전환과 의료서비스 제공 모델 융합(Digital transformation and health care delivery model convergence)

 5) 의학의 미래(Future of medical science)

 6) 공중보건의 재구상(Public health reimagined)



[요약문]


□ 코로나19 팬더믹으로 2022년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은 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


 ○ 프로스트앤설리반 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은 약 2조 2,844억 달러∼2조 3,022억 달러로, 전년 대비 5.3%(보수적 전망)∼6.1%(낙관적 전망) 성장을 예상

   - 2년 전 낙관전 성장률(2019∼2020년) 보다 2배 가까이 높은 수치로, 코로나19 팬데믹은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 요인이 된 것으로 파악

    ※ 2020년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은 약 1조 9,526억 달러∼2조 12달러로, 전년 대비 성장률은 0.6%(보수적 전망)∼3.1%(낙관적 전망) 예상

(출처 : 프로스트앤설리반, 2020. 7;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BioINdustry No.153, 2020년 포스트-팬데믹(Post-pandemic)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현황 및 전망, 2020.10)


[그림 1] 2022년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전망


2022년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전망


¶ Aspirational(낙관적 전망), Conservative(보수적 전망)

출처 : 프로스트앤설리반, Global Pharmaceuticals Outlook, 2022; Global Medical Devices Outlook, 2022; Global Digital Health Outlook, 2022; Next-generation Diagnostics Outlook, 2022; Global Medical Imaging and Informatics Outlook, 2022, 2022.3 /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구성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격변기를 맞이한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의 미래를 형성하는 6가지 핵심 이슈를 선정하여 현황 및 도전과제를 제시


[표 1] 글로벌 헬스케어 산업 6대 이슈


구분

주요내용

건강 형평성

(Health equity)

코로나19 영향이 소외된 저소득층에 불균형적인 영향을 미치며열악한 건강을 초래한다는 연구결과가 잇따르면서 건강 형평성이 주목받음

건강 형평성을 개선하기 위해 국가 및 지역세계 수준에서 새로운 차원의 참여와 협업이 필요하며편견(나이인종성별 등)을 타파하기 위한 노력 필요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21세기 공중보건의 가장 큰 위협은 기후변화로이는 인간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의료 인프라에 부담을 줌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높은 의료서비스의 탈탄소화를 위한 의료시스템 개선 및 의료 인력의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 제공기후변화의 영향에 대비하기 위한 인프라공급망인력에 대한 대비책 마련도 필요

정신건강과 웰빙

(Mental health & well-being)

최근 코로나19, 기후 및 정치적 위기는 전세계인의 정신건강 문제(우울증불안 및 외상 후 스트레스 등)를 악화시킴그러나 정신질환이 다른 질병과 동일하다는 인식 부족이 커다란 장애물로 작용

정신건강 관리에 대한 투자 확대가 시급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솔루션 개발이 활발한 추세로품질 및 안전성디지털 정신건강 표준 마련 등 규제기관의 역할 필요

디지털 전환과 의료서비스 제공 모델 융합

(Digital transformation and health care delivery model convergence)

팬데믹에 따른 경기 침체와 의료시스템 비용 증가는 의료 인력인프라 및 의료서비스 제공 모델을 변경하여 품질 및 접근성 목표를 충족하면서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필수인 상황

이에 대한 솔루션으로 5G, 클라우드 컴퓨팅가상현실/증강현실 등 디지털 기술과 의료서비스의 융합으로원격진료실시간 건강 모니터링 및 행동 변화 유도PaaS(Platform as a Service)/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SaaS(Software as a Service) 도입 필요

의학의 미래

(Future of medical science)

디지털의료나노의학유전체학마이크로바이옴/대사체학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등의 발전으로 다양한 질병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식이 변화

의학의 미래는 데이터 확보/분석이 핵심적으로딥러닝행동연구가상치료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의료서비스를 개인화하고 실시간으로 치료 개입이 가능케 하며 행동 넛지를 제공할 것으로 전망

공중보건의 재구상

(Public health reimagined)

코로나19 팬더믹으로 국가의 공중보건 시스템에 대한 취약성이 드러났으며,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비상사태는 다차원적인 방식을 통해 효과적으로 감지하고 대응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침

동시에 팬더믹은 공중보건의 미래를 재구상하는 촉매제 역할을 하였으며공중보건 시스템의 고유한 도전과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디지털화를 촉진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