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2023년 글로벌 헬스케어 전망
- 등록일2023-04-20
- 조회수9609
- 분류레드바이오 > 의료기기기술
-
발간일
2023-04-20
-
키워드
#글로벌 헬스케어#가상의료서비스#디지털 전환#건강 형평성#지속 가능성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dustry No.180] 2023년 글로벌 헬스케어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남연정, 책임연구원 김무웅
[목 차]
1. 전망 및 개요
2. 가상의료서비스
3. 디지털 전환
1) 제약분야의 디지털 전환
2) 주요 빅테크 기업의 제약분야의 디지털 전환
4. 건강형평성
5. 인력
6. 지속가능성
【요약문】
□ 코로나 대유행은 기존의 글로벌 헬스케어 시스템에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에 집중하도록 영구히 변화시켰으며, 동시에 의료인력 문
제와 건강형평성의 세계적인 격차에 조명
○ 엔데믹 시대에 접어들며, 2023년과 그 이후의 미래에 대해 의료 종사자, 정부 및 규제 기관 등이 고려해야할 사항들이 존재하며 본 보고
서에서는 주목해야할 5가지 주요 이슈에 대해 설명
- ① 가상의료서비스(Virtual health delivery): 의료 서비스 접근성 확대, 임상 결과를 개선, 비용 절감, 지속적인 관리의 효율성 향상 등을 통
해 기존의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
- ②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코로나 19는 전세계 의료의 디지털화와 원격의료의 발전을 가속화 시켰으며, 엔데믹 시대에도
여전히 원격의료 수요가 높음
- ③ 건강형평성(Health equity): 사회, 경제, 환경적인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최근 코로나19와 기후 변화로 전세계 건강 불
평등을 심화
- ④ 인력(Work force): 팬데믹은 의료 분야의 인력 문제를 악화시켰고 근본적인 변화를 초래
- ⑤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심각해지는 기후변화는 공기, 식량공급 등을 세계적인 규모로 인류에 위협이 되고 있으며, COVID-19는 폐
기물 문제를 대두 시킴
1. 전망 및 개요
□ 코로나19 대유행은 새로운 기술 및 의료전달체계*(health care delivery system)의 수용을 가속화하는 기존의 글로벌 헬스케어 시스템에서 지속가능성과 회복탄력성에 집중하도록 영구히 변화시킴
* 제한된 보건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 국민이 건강하도록 의료서비스 제공 절차와 내용을 체계화하는 제도 김영삼, 한국의 의료
전달체계 개편 방향, 2020.1
○ 의료전문가들은 코로나를 통해 원격 근무, 가상 진료, 의료 용품, 인력 및 서비스 부족에 적응하는 방법 뿐 아니라 소비자 선호도 변화
와 빠르게 진화하는 기술을 이용하고 재창조하는 법을 배움
- 이를 통해 임상에의 혁신과 새로운 의료전달체계를 계속 연구하였으며, 원격 의료 등은 펜데믹 기간동안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좋은 사례
○ 엔데믹 시대에 접어들며, 2023년과 그 이후의 미래에 대해 의료 종사자, 정부 및 규제 기관 등이 고려해야할 사항들이 존재
- ▲팬데믹 기간동안의 가상의료전달에 대한 교훈을 접근성 및 치료 개선으로 전환, ▲기술을 활용하여 환자 관리를 개선하고 의료종사자
의 비용 및 수요를 줄임, ▲탄소발자국을 줄여 환경 위협을 완화, ▲원격 근무를 더 허용하는 등 의료종사자의 부담을 완화, ▲미래의 전염
병, 자연재해 등에 대비하여 인프라, 공급망 등에 철저한 대비 필요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