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

글로벌 바이오 산업 현황 및 전망

  • 등록일2024-05-20
  • 조회수6015
  • 분류종합 > 종합

 

 

[BioINdustry No.191] 글로벌 바이오 산업 현황 및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김미희, 책임기술원 양준혁


※ 본 보고서는 ‘Global Biotechnology Market Summary’(MarketLine, ‘23.9) 등을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임




◈ 목차

  • 1.시장현황 및 전망

  • (1)전체 시장

  • (2)응용분야별 시장

  • (3)지역별 시장

  • 2.산업구조 분석

  • 3.주요기업




◈본문


【요약문】


□ ’22년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은 922.2 십억 달러 규모

○ ’17년~’22년까지 CAGR 13.1% 수준으로 성장을 지속, ’22년에는 922.2 십억 달러를 형성

   - 지역별로 북미가 44.3%, 응용분야별로는 의료/헬스케어가 65.7%를 차지


○ 향후 5년간 CAGR 10.7%로 성장하여 ’27년에는 1조 535 십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그림 1>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 규모(’22~’27)



□ 바이오 산업구조(5 Forces*)는 중간 정도이나 신규 진입자는 약세

     * 공급자의 교섭력, 구매자의 교섭력, 경쟁의 정도, 대체재의 위협, 신규 진입자

○ 공급자는 특허 확보로 그 기업의 가치가 좌우되며, 구매자의 선택권은 이를 보유하고 있는 몇몇 기업들의 제품 및 서비스에 제한되었지만 최근 제네릭 의약품 등의 증가로 선택의 폭이 넓어짐

○ 특허 이슈로 신규 기업은 시장 진입의 장벽이 존재


  

1. 시장현황 및 전망


1) 전체 시장

□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은 ’22년 922.2 십억 달러(’22년 기준) 규모

○ ’17년 499.3 십억 달러에서 연평균 13.1%씩 성장하였으며 특히 ’21년은 전년도 대비 35.7% 수준으로 급격히 성장하는 양상을 보임

      ※ (최근 6년간 CAGR 추이) (’18) 10.1, (’19) 5.8, (’20) 3.7, (’21) 35.7, (’22) 12.7


<그림 1>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 규모(’17~’22)

    

출처 : Gloabal Biotechnology Market Summary (Marketline, ‘23.9) 재가공


○ 첨단 기술 분야(유전자 편집, 유전자 치료, 단백질 분해 등)의 비즈니스의 혁신은 바이오 산업 시장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작용

   - 첨단 바이오 기술 분야에 대해 기업들은 대학 및 연구기관과 협력하는 대규모 R&D 투자를 진행

   - 베링거인겔하임이 개소한 생물학적제제 개발센터(BDC)는 3억 5,000만 유로(4억 1,390만 달러)의 R&D 자금을 유치


○ 정부의 바이오 지원 정책 강화도 바이오 산업을 촉진

   - 미국은 자국의 바이오 제조를 발전시키기 위한 범정부 차원의 전략을 담은 "지속가능하고 안전하며 안전한 미국 바이오경제를 위한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혁신 발전"이라는 제목의 행정명령(E.O.)을 발표



[참고] 주요국의 바이오 관련 정책

  ■ (미국) ▲국가 바이오기술 및 바이오제조 행정명령(‘22.9), ▲미국 바이오 기술 및 바이오 제조를 위한 담대한 목표(’23.3) 등

  ■ (EU) ▲ Horizen Europe(‘21~), ▲ EU 생명공학 및 바이오제조 촉진에 관한 커뮤니케이션’(‘24.3) 등

  ■ (중국) ‘14차 5개년 바이오 경제 발전 계획‘(22.5)



□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은 ’27년 1,535 십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

○ 첨단 바이오 기술의 상업화 확대, 정부의 지원 등으로 CAGR 10.7% 수준의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표 1>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 예상규모(’22~‘27)


출처 : Gloabal Biotechnology Market Summary(Marketline, ‘23.9) 재가공


○ 만성 질환에 대한 임상 치료제에 대한 수요 증가도 시장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

   - 주요 기업들은 암, 당뇨병, 노화 관련 질환들에 대한 의약품 파이프라인을 개발하고 상업화 중

     ※ (예) 성인 중증 원형 탈모증 환자 치료를 위해 올루미언트(바리시티닙) 경구용 정제를 승인(’22.6)


○ 기업 간 글로벌 협력도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


2) 응용분야별 시장

□ 의료/헬스케어 분야가 65.7%(605.9 십억 달러)로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

○ 질병 발생 및 바이오 서비스 관심 증가, 바이오 정보 솔루션의 사용 확대 등으로 의료/헬스케어 분야 시장이 성장

○ 농·식품 11.5%(106.3 십억 달러), 환경·산업공정 8.4%(77.9 십억 달러), 서비스 제공 8.3%(77.5십억 달러), 기술서비스 5.9%(54.4 십억 달러) 순으로 규모를 보임


<그림 2> 글로벌 바이오 산업 응용 분야별 규모 현황(’22년 기준)


 


구분

금액

(십억 달러)

비율(%)

의료/헬스케어

(Medical/Healthcare)

605.9

65.7

서비스 제공*

(Service Provider)

77.5

8.3

·식품

(Food & Agriculture)

106.3

11.5

기술 서비스**

(Technology Service)

54.4

5.9

환경·산업공정

(Environemnt & Industrial Processing)

77.9

8.4

합계

922.2

100



* Bioprocessing, chemicals, CRO, CMO 

** Bioinformatics, functional genomics, high-throught screening 

※ 출처 Gloabal Biotechnology Market Summary (Marketline, ‘23.9) 재가공


○ 각 응용분야들은 시장 규모가 증가하여 성장할 것으로 전망



<표 2> 응용분야별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 예상규모(’23~‘27)

 

단위 십억 달러


구분

2023

2024

2025

2026

2027

의료/헬스케어

651.2

741.6

827.5

893.7

975.3

서비스 제공

(Service Provider)

88.9

99.6

112.3

125.3

142.7

·식품

122.0

139.1

158.4

175.9

201.1

기술 서비스

(Technology Service)

60.9

68.5

77.2

85.2

96.1

환경·산업공정

85.2

92.9

101.3

110.0

120.1

합계

1,008.3

1,141.6

1,276.8

1,390.2

1,535.2



출처 : Gloabal Biotechnology Market Summary(MarketLine, ‘23.9) 재가공



3) 지역별 시장

□ 북미 지역은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의 44.3%(408.3 십억 달러)를 차지

○ 그 다음으로 유럽 27.71%(249.9십억 달러), 아시아-태평양 24.7%(227.7십억 달러) 순의 점유율을 보이며 이 세 지역이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의 95%이상을 차지


<그림 3> 글로벌 바이오 산업 지역별 규모 현황(’22년 기준)>



구분

금액

(십억 달러)

비율(%)

북아메리카

408.3

44.3%

유럽

249.9

27.1%

아시아-태평양

227.7

24.7%

남아메리카

23.6

2.6%

중동

10.5

1.1%

기타

2.2

0.2%

합계

920.2

100


















    출처 : Gloabal Biotechnology Market Summary(MarketLine, ‘23.9)


① 미국

□ 미국은 글로벌 바이오 산업 시장 점유율은 42.9%(395.3 십억 달러)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 ’22년 기준 미국의 바이오 시장은 395.3 십억 달러를 형성

   - 첨단제품 도입, 바이오 산업에 대한 막대한 투자, 새롭고 혁신적인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등이 시장 성장 요인으로 작용

   - 보스턴, 샌디에이고, 샌프란시스코, 북부 버지니아, 롤리-더럼(Raleigh-Durham) 등 주요 바이오텍의 허브 등이 구축되어 있음


○ 응용분야별로는 의료/헬스케어가 70.3%(277.8 십억달러)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 ’27년까지 CAGR 13.5% 수준으로 성장하여 744.5 십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기술의 발전, 만성질환(암, 당뇨병, 관절염 등)에 대한 치료 수요 증가로 바이오 산업 시장은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


② 유럽

□ 유럽의 점유율은 27.1%(249.9 십억 달러)로 미국 다음으로 글로벌 전체 시장에서 두 번째로 큰 시장을 차지

○ 응용분야별로는 의료/헬스케어가 70.5%(176.1 십억달러)으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 독일, 이탈리아, 영국 등이 유럽의 주요 시장을 구성하고 있으며 모두 성숙기에 진입

   - 글로벌 빅파마와 바이오테크 스타트업이 활동하고 있어 경쟁이 치열

   - 노바티스, 바이엘, 아스트라제네카와 같은 빅파마들은 막대한 매출을 바탕으로 R&D에 투자를 진행


○ 영국은 유럽 시장의 54.9%를 점유하며 가장 많은 시장을 차지

   - 바이오 분야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 첨단제품의 소개, 투자, 최신의 혁신적인 상품에 대한 요구 증가 등이 성장 요소로 작용

   - 영국 정부는 생명공학 분야를 위한 펀드를 조성하고, 합성생물학 등에서 연구 혁신을 지원


○ 독일의 바이오 산업은 R&D에 집중하고, 많은 기업들이 대규모 투자를 형성

   - 대학과 연구기관의 강력한 네트워크가 존재하며 민간부문과 협력하여 생명공학 기술의 발전과 발견을 위해 노력

     예) 베링거링겔하임은 생물학적제제 개발 센터(BDC)를 개소하여 독일 내 단일 투자로는 최대 규모인 4억 1,390만 달러의 R&D 자금을 유치


□ ’27년까지 CAGR 7.2% 수준으로 성장하여 353.6 십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유전자 편집, 유전자 치료, 단백질 분해와 같은 첨단 기술과 중요한 치료 분야 기업들이 새로운 표적과 접근 방식을 분석하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


③ APAC

□ APAC 점유율은 24.7%(227.7 십억 달러)로 글로벌 시장에서 세 번째로 큰 시장을 형성

○ 응용분야별로는 의료/헬스케어 분야가 54.6%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

○ 중국은 CAGR 11.8% 수준으로 성장하여 612억 달러를 형성

   - 제14차 5개년 계획을 통해 바이오테크 부문을 발전시키기 위한 의약품 허가 절차의 간소화 등 입법 및 규제 개혁을 추진하여 바이오 산업 시장의 발전을 장려

   - 바이오 산업의 R&D를 촉진하고,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기 위한 세금혜택 및 규정을 발표(’23.8)


○ 일본은 CAGR 15.4% 수준으로 성장하여 300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

   - 일본 정부는 바이오 분야의 세금 면제, R&D 자금 지원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생명공학 분야의 확대를 적극 장려

   - 미국과의 파트너십 강화, 신약개발 벤처 생태계 지원 등의 정부 이니셔티브를 발표

   - 고령 인구 증가, 선진화된 의료 시스템의 수요 증가는 바이오 산업 발전을 견인


□ 향후 암, 당뇨병, 연령 관련 황반변성 등 만성 질환에 대한 임상 치료제에 대한 수요 증가도 시장 성장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

- 주요 기업들은 당뇨병, 파킨슨병 및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신경계 질환, 여러 유형의 암, 심혈관 질환에 대한 파이프라인 의약품을 연구 및 개발

  예) ’22년 12월, 일본 정부는 BMS의 CAR-T 치료제인 브리얀지가 조혈모세포 이식 여부와 관계없이 재발성 또는 불응성 거대 B세포 림프종(LBCL)의 2차 치료제로 사용하도록 승인

- 생명공학 기술 발전을 위한 협력도 시장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예상

예) ’23년 7월 한국의 에임드바이오와 중국의 진퀀텀헬스케어는 뇌암 치료를 위한 항체-약물 접합체(ADC)를 개발하기 위해 제휴


2. 산업구조 분석(5 Forces Model)


□ (구매자의 협상력) 민간보험 회사, 정부, 의료서비스 제공자 등

○ 의료분야에서의 수요가 가장 많지만 농업 분야도 규모가 증가하고 있음

○ 제네릭의 증가로 구매의 선택권이 넓어지면서 구매력이 증가

   - ’22년 미국 전체 처방의 91%가 제네릭의약품, 32,000개 이상의 제네릭 의약품이 FDA 승인을 받을 것으로 예상

       ※ 미 FDA는 제네렉 의약품의 개발을 장려하고 경쟁을 촉진하는 의약품 경쟁 실행 계획을 도입(’17년)


□ (공급자의 협상력) R&D 기업, 시약 및 장비 제조 기업, 소프트웨어 퍼블리셔 등

○ IP 보유 여부가 기업의 가치를 좌우

○ 글로벌 소프트웨어 시장은 향후 5년간 70.5% 수준으로 성장하여 ’27년에는 2,006.9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


□ (신규 진입자의 위협) 스타트업, 신규 바이오텍 등

○ IP 확보, 매출 발생까지의 긴 소요기간과 높은 고정비용 발생, 자금조달의 어려움 등으로 신규 진입의 장벽이 존재

   - 바이오 스타트업들은 벤처투자 및 기술 라이센싱을, 기존의 바이오파마는 바이오텍을 인수함으로써 신약 파이프라인 및 IP를 확장

○ 주요국의 정부들은 바이오 R&D 결과물의 사업화를 위한 민간부문의 참여를 독려하는 등 이니셔티브를 추진

   - 독일은 대학의 연구결과를 R&D 기관 및 중소기업 등과 협력하여 특허 출원 등을 지원


□ (대체재의 위협) 특허 만료 후 더 저렴한 대체 약물 및 화학물질이 등장

○ 농업 분야는 종자를 비롯한 유전자 변형 제품이 증가하고 있으나 소비자가 GM 제품을 소비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존재


□ (경쟁의 정도) 미국, 유럽 등 주요국들의 바이오 산업 시장은 경쟁이 칠열

○ 암젠, 머크, 로슈 등 빅파마 및 수많은 바잉테크 스타트업, 중소기업 등이 존재

○ 특정 치료 영역을 타겟팅하여 제품을 차별화하기 위한 고비용·고위험 R&D 강화 등 끊임없이 경쟁이 증가


<그림 4> 글로벌 바이오 산업 구조 현황(’22년 기준)



출처 : Gloabal Biotechnology Market Summary(MarketLine, ‘23.9)




[참고] 산업구조 분석 모형(5 Forces Model)

  ■ 5 forces model은 1979년 미국 하버드대 경영대학 교수 마이클 포터(Michael Porter)가 발표한 산업구조분석 기법

   - 다섯 가지 경쟁요인*을 통해 특정 산업분야의 현황과 미래를 분석하며, 기업의 경영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

     * ① 구매자의 협상력, ② 공급자의 협상력신규 기업의 진입 위협, ③ 대체재의 위협, ④ 기존 기업간의 경쟁 정도, ⑤ 신규 진입자



3. 주요 기업 및 동향

□ Johnson & Johnson (미국)

○ 의약품 및 의료 기기 개발, 제조 및 판매 기업

   - 면역학, 종양학, 신경과학, 전염병 및 백신, 폐질환, 폐 고혈압, 심혈관 등에 대한 치료제를 개발


○ 자회사로 바이오 솔루션 R&D 기업인 얀센 바이오테크를 운영하며 적극적인 R&D 투자를 추진(’22년 R&D 투자액 146억 달러)

   - 미국, 스위스, 일본, 중국 등에 R&D 시설을 운영하며 시장입지 강화와 함께 파이프라인을 강화 중


□ Novartis (스위스)

○ 처방약 및 일반 의약품 개발, 제조, 마케팅 주력 기업

   - 암, 심혈관 질환, 피부 질환, 신경 질환, 안과 및 호흡기 질환, 면역 질환, 감염 등의 치료를 위한 의약품을 제공


○ 노바티스 바이오메디컬 연구소(NIBR)를 통해 다양한 연구 및 개발 활동을 진행

   - 아시아 태평양, 유럽, 미주, 중동 및 아프리카에 걸쳐 사업을 운영하며 ’22년 핵심 R&D 프로젝트 예산은 ’21년 대비 10% 증가한 100억 달러 규모

   - 알닐람, 보이저 테라퓨틱스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siRNA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분야 등에 대한 연구개발을 진행


□ Bayer (독일)

○ 제약 및 화학 제품 개발 기업

   - 처방 및 비처방 의료 제품, 및 종자/식물 등 농업 제품 주력 기업


○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통해 바이오 스타트업에 투자(’22년 기준 35개)

     ※ 국내의 경우 Grants4Apps Korea(‘17~’19년)를 통해 플라즈맵, 올리브헬스케어, 인핸드플러스 등이 선정됨


○ 적극적인 R&D 투자 활동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IP 포트폴리오를 강화 중

   - 전 세계 R&D 시설에서 약 7,800명의 과학자를 고용, 항암제, 의료용 스킨케어 제품 등을 개발하며 특허 출원 및 등록을 진행 중


□ Bio-NTech (독일)

○ 암, 감염병 등 면역 치료제 개발 전문 기업

   - mRNA 치료제, 세포 유전자 치료제, 항체 및 저분자 면역조절제를 개발

     ※ 비소세포폐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난소암, 췌장암, 삼중음성유방암 등


□ Takeda (일본)

○ 다양한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OTC) 및 의약외품 연구개발 및 제조 판매 기업

   - 중추신경계, 종양학, 위장 및 백신 치료 분야에서 백신과 혈장 유래 치료제를 개발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