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BioINdustry

(BioIN + Industry) : 바이오 산업별 시장현황 및 전망정보 제공

글로벌 RNA 치료제 성장 기회 및 시장 전망

  • 등록일2025-09-24
  • 조회수11717
  • 분류생명 > 생명과학,  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발간일
    2025-09-24
  • 키워드
    #RNA 치료제 시장#siRNA 치료제#mRNA 치료제#ASO 치료제#기타 RNA 치료제
  • 첨부파일


글로벌 RNA 치료제 성장 기회 및 시장 전망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연구원 김민정


※ 본 보고서는 프로스트앤드설리번에서 발간한 보고서 ‘Growth Opportunities in RNA Therapeutics(2025.7)’ 및 관련 온라인 공개자료 등을 참고하여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재구성한 것입니다.


◈ 목차


요약문 ]


1. RNA 치료제 개요


2. RNA 치료제 임상시험 분석 

1) siRNA 치료제 임상 현황

2) ASO 치료제 임상 현황

3) mRNA 치료제 임상 현황

4) 그 외 RNA 치료제(압타머 등) 임상현황


3. 글로벌 RNA 치료제 산업 전망


4. RNA 치료제 산업 핵심전략

1) 시장 성장동인/저해요인

2) 성장 기회 및 전략



◈본문

요약문 ]


 인체 내 질병 원인과 연관된 RNA 분자를 직간접적으로 조절하여 치료하는 RNA 치료제는 기존 약물보다 표적 범위가 넓고 안전성이 높아 개발 활성화 추세

 

 COVID-19 팬데믹 당시 mRNA 백신 개발 성공이 RNA 치료제 분야의 연구개발 촉진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다양한 RNA 플랫폼 기술 등장으로 향후 기술개발 및 산업 성장이 기대

※ mRNA, siRNA, ASO 기반 치료제 개발연구는 허가 사례 창출에 따른 효과·안전성 입증이 축적되고 있어 임상 2~3상까지 진입하였으며그 외 압타머, miRNA, cirRNA 등 신규 RNA 치료 기술도 초기 임상 단계에 진입하는 등 새로운 시도가 활발히 추진 중

 

 특히기존 유전질환에 집중되어 있던 RNA 치료 타겟이 암대사/심혈관 질환 등 만성질환으로 확대되면서 향후 시장 성장 및 블록버스터급 의약품 증가 전망

※ 글로벌 RNA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8년까지 180억 6,5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의약품은 백신 대비 시장 규모가 작으나 연평균 성장률(’23~‘28) 16%로 급격한 성장 전망

 

글로벌 RNA 치료제 종류별/단계별 임상 현황

(2022-2025**‘25.3까지

글로벌 RNA 치료제 시장 현황 및 전망

(2021-2028)

 

 글로벌 RNA 치료제 종류별/단계별 임상 현황

 글로벌 RNA 치료제 시장 현황 및 전망  (2021-2028)


※ 출처 : (임상)Frost&Sullivan, Growth Opportunities in RNA Therapeutics(2025.7), (시장)KISTI, ASTI MARKET INSIGHT 2024-228, /원출처 : Markets&Markets(2023),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재가공


→︎ 글로벌 RNA 치료제 연구개발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한 성장 기회 및 전략 제안

① 다양한 질환군을 대상으로 한 RNA 치료제 전달 기술개발에 투자 확대 등 집중

② 현재 siRNA, ASO 기반 치료제를 넘어 새로운 유형의 RNA 치료제 개발 활성화

 유전질환 외 다양한 질환 타겟의 RNA 치료제 적응증 확장을 위한 협력·인수 활성화




1. RNA 치료제 개요


 ‘RNA 치료제(RNA therapeutics)’?


 단백질이 아닌 핵산(RNA) 자체를 약물로 활용하는 치료제, 인체 내 질병의 원인과 연관된 RNA 분자*를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조절하여 치료 효과 발현

* messenger RNA(mRNA), antisense RNA, SiRNA, miRNA, SaRNA 

 

- 인체에 안정성이 확보된 방식으로, DNA 유전자 정보의 변형 없이 세포 내 단백질 양이나 활성을 조절 가능(유전자-단백질 사이 RNA 역할을 활용)

 

- RNA 치료제는 서열 기반의 설계로 특정 유전자나 단백질만 정밀하게 표적할 수 있으며 기존 저분자 화합물이나 단백질 약물로는 ‘undruggable’했던 표적도 가능

 또한 표적 서열만 알면 비교적 단시간 내 후보물질 설계가 가능(ex. COVID-19 mRNA 백신 사례)

 

- 반면, RNA는 불안정하고 체내 효소에 쉽게 분해되어 투여·전달의 한계가 아직 존재

 LNP, GalNAc 등의 안정화·전달체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간 조직 외 전달 기술은 아직 미흡


 유전질환감염병을 포함한 광범위한 질병을 치료할 수 있는 잠재력으로 인해 주목받고 있으며특히 COVID-19 팬데믹이 연구개발 촉진에 중요한 역할

 

- mRNA 기술을 사용한 COVID-19 백신 개발은 RNA 치료제에 대한 높은 관심을 아끌며 신속한 개발 가능성에 대한 잠재력 증명

 

초기에는 희귀 유전질환에 집중되어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최근에는 암심혈관 질환감염병자가면역질환 등 만성질환으로 적용 질환 범위가 확대 추세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