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로 여는 농업의 미래, 스마트농업 ◈목차 1. 들어가며 · 스마트농업 배경 · 스마트농업 개념 2. 스마트농업 환경분석 · 동인 (Drivers) · 제약 (Restraints) · 기회 (Opportunities) · 도전 (Challenges) 3. 스마트농업 시장분석 · 스마트농업 시장 · 농업 애널리틱스 시장 · 가치사슬(Value Chain) 분석 · 국내외 기업 동향 4. 스마트농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 선결과제 · 공공부문의 역할 ◈본문 1. 들어가며 스마트농업 배경 ● (스마트농업 부상) 4차 산업혁명과 함께 농작업의 무인화/지능화로 노동력, 지식, 경험 등을 데이터가 대신하는 스마트농업이 부상하고 있음 - 1차 산업인 농업에 4차 산업의 첨단기술을 연계하여 디지털 혁신 초기 단계에서 농업의 가능성을 확대하여 미래 농업 경쟁력을 확보하고, 부가가치 제고를 위한 산업혁신으로 주목하고 있음 ● (리스크 대응) 스마트농업은 한정된 토지, 자원, 인력으로 식량 수요를 충족하고, 식량안보 위기, 기후변화 등 리스크 대응을 위해 필수적임 - 미-중 패권경쟁, 소재·부품·장비 및 요소수 등 국가간 무역분쟁 등 우리나라를 둘러싼 국제 정세 변화로 인해 국가 안보 차원에서 식량 자주권 확보의 중요성이 증가함 스마트농업 개념 ● (정의) 종자개발, 생산, 관리, 가공 유통, 소비 등 농업 밸류체인 전반에 첨단기술을 접목시켜 농업의 스마트화를 도모함 - 기존 농업 방식과 달리 IoT, 로봇, 드론, AI 등의 기술을 이용하여 농산물을 원격 모니터링하고,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통해 노동력과 자원을 최적화하고 생산 효율성을 높임 - 인공지능(AI), 클라우드 기반 기계학습, 위성 이미지, GPS 장치 및 고급 분석 기술 등을 적용하여 날씨, 수분, 식물 건강 및 토양 상태, 병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