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 이슈&특집 2011년 Vol.13 [바이오클러스터(상)_2011년] 우리나라 바이오클러스터의 향후 정책과제 김현철/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책임연구원 1. 서론 클러스터는 기존 마셜의 공간적 공업단지 접근에서 벗어나 기업의 경쟁우위를 결정짓는 실천적 도구로 파악하여 개념을 제기된 것으로, 지리적으로 모여 있는 어느 특정 분야에서 서로 관련된 기업, 전문공급자, 서비스 제공자, 관련 산업의 기업 그리고 유관단체(예를 들면 대학, 표준기관, 직능단체) 들의 집적지를 말한다. 이들은 특정분야에서 서로 경쟁하면서 협력관계를 이루고 있다.(M. Porter, 1998) OECD에서 클러스터 포커스 그룹을 두면서 관련 클러스터에 대한 실증연구가 본격화되기 시작했는데, 클러스터를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생산사슬에 연계된 독립성이 강한 기업들과 지식창출기관(대학, 연구기관, 지식제공 기업), 연계조직(지식집약 사업서비스, 브로커나 컨설턴트 등), 고객의 네트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