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목차 1. 개요 2. 총괄 현황 3. 투자 포트폴리오 분석 4. 포트폴리오 심층분석 5. 요약 및 정리 ◈본문 1. 개요 ▶ 2012년 3월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생명복지전문위원회는 '신약개발 R&D 투자효율화 방안'을 통해 정부 R&D 투자 전략성 및 효율성 제고를 위한 투자포트폴리오 상세분석과 관리의 필요성을 제기○ 신약개발의 단계, 의약품 종류, 대상 질환을 기준으로 정부 R&D 투자포트폴리오를 분석 ▶ 투자효율화 방안과 동일한 기준을 적용하여 2020년 신약개발 정부 R&D 투자 현황 및 포트폴리오를 분석○ 국가연구개발사업 조사·분석 통계(NTIS)를 기준으로 투자 추이(2011년~2020년), 투자 포트폴리오(2020년)를 분석○ 신약개발 단계: 타겟발굴 및 검증, 후보물질도출 및 최적화, 비임상, 임상1~3상, 인프라 및 기타 ○ 의약품 종류: 합성신약, 바이오신약, 한약(생약제제), 개량신약(합성), 바이오베터, 바이오시밀러 ○ 질환: 혈관질환, 호흡기질환, 종양질환(혈액암 포함), 근골격계질환, 면역계질환, 감염증, 정신질환, 퇴행성뇌질환, 내분비질환, 소화기계질환, 비만, 희귀질환(기타)*, 기타 *타 질환에 포함되지 않는 희귀질환 ▶ 신약개발의 범주에 해당하는 총 1,370개 과제를 선별하여 분류○ 정부 R&D 사업(세부·내역사업) 중 신약개발을 목표로 하는 R&D 사업 연구과제*의 과제명, 연구 목표, 연구내용 등을 토대로 신약개발 정부 R&D 과제를 선별 *생명의료분야 예산심의대상 사업 중 의약 분야에 관련되는 과제 대상○ 선별된 R&D 과제들을 제시된 기준(신약개발 단계, 의약품 종류, 대상 질환)에 따라 분류○ 기초 및 기전연구는 개별 연구자 수준에서 수행하여 신약개발로 직접 연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분석 대상에서 제외 *각 부처의 투자계획과 상이할 수 있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