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교과부, 2011 생명공학백서 발간
- 등록일2012-01-20
- 조회수7692
-
발간일
2012-01-20
-
출처
교육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생명공학백서
- 첨부파일
교과부, 2011 생명공학백서 발간
생명공학 동향·정책·산업 정보 종합 정리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이주호)는 정부의 생명공학 정책과 국내외 연구개발 및 산업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담은 ‘2011 생명공학백서’를 발간하였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한 생명공학 분야 정책과 주요 성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일반 국민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생명공학백서」를 2003년부터 격년으로 발간하고 있다.
○ 특히 2011 생명공학백서는 생명공학 원천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바이오산업 활성화에 대한 전망을 반영하여 분야별 바이오산업 현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였다.
□ 2011 생명공학백서는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Bio-vision 2016 (‘07~’16)) 추진성과 및 전망(특집), ▲생명공학의 비전(제1장), ▲세계 주요국의 생명공학 동향(제2장), ▲국가 생명공학 육성 현황(제3장), ▲분야별 연구개발 및 관련 산업 현황(제4장), ▲생명공학 관련 법·제도 현황(제5장)으로 구성하였다.
○ 특집에서는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07~’16) 제1단계(‘07~’11) 의 추진성과와 제2단계(‘12~’16)의 전망을 담고 있다.
○ 제1장은 생명공학 장기전망과 함께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출범 등 생명공학 정책 환경 변화를, 제2장은 미국·일본·유럽연합·중국의 동향을 설명하고 있다.
○ 제3장과 제4장은 정부의 생명공학분야별 육성정책과 연구개발 및 산업현황을, 제5장은 생명공학 관련 법·제도, 생명윤리 및 지식재산권 관련 내용 등을 소개해 생명공학 전반에 관한 폭넓은 이해를 돕고 있다.
□ 교육과학기술부 이주호 장관은 발간사를 통해 “본 백서가 생명공학 관련 정책입안자에게는 종합 안내지로서, 국민에게는 생명공학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유익한 분야임을 알리는 정보지로서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고 생명공학백서 발행의 취지를 설명하였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생명공학백서를 공공기관과 대학 도서관 등에 배포하고,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http://www.mest.go.kr)에서 PDF파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국민들이 보다 쉽고 편하게 백서를 열람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 제1장은 생명공학 장기전망과 함께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출범 등 생명공학 정책 환경 변화를, 제2장은 미국·일본·유럽연합·중국의 동향을 설명하고 있다.
○ 제3장과 제4장은 정부의 생명공학분야별 육성정책과 연구개발 및 산업현황을, 제5장은 생명공학 관련 법·제도, 생명윤리 및 지식재산권 관련 내용 등을 소개해 생명공학 전반에 관한 폭넓은 이해를 돕고 있다.
□ 교육과학기술부 이주호 장관은 발간사를 통해 “본 백서가 생명공학 관련 정책입안자에게는 종합 안내지로서, 국민에게는 생명공학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유익한 분야임을 알리는 정보지로서의 역할을 하기를 기대한다” 고 생명공학백서 발행의 취지를 설명하였다.
□ 교육과학기술부는 생명공학백서를 공공기관과 대학 도서관 등에 배포하고, 교육과학기술부 홈페이지(http://www.mest.go.kr)에서 PDF파일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일반 국민들이 보다 쉽고 편하게 백서를 열람 및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붙임>
2011 생명공학백서 개요
□ 발간 목적
○ 생명공학 분야의 주요 정책 및 R&D 현황, 국내외 동향과 전망 등 우리나라 생명공학 전반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종합하여 제공
○ 생명공학 분야 전반에 대한 종합적 안내서 역할 및 생명공학 관련 현황에 대한 국민 관심과 이해도 제고 역할
□ 발간 경과
○ ‘03.12월 2003 생명공학 백서 발간 [창간호]
○ ‘05.12월 2005 생명공학 백서 발간
○ ‘07.12월 2007 생명공학 백서 발간
○ ‘09.12월 2009 생명공학 백서 발간
○ ‘12. 1월 2011 생명공학 백서 발간
□ 2011 생명공학백서 특징
○ ‘09년 이후 ’11년 상반기까지의 생명공학 주요 성과 및 발자취를 종합적으로 정리·수록
- 생명공학 중점분야를 중심으로 관련 정책 추진실적, 생명공학 투자, 연구 현황 및 발전전망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
- 제2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07~’16)의 제1단계(‘07~’11) 추진성과 및 제2단계(‘12~’16) 전망을 특집으로 소개
○ 바이오산업현황, 생명공학 인프라분야 추가
- 바이오산업시장규모 확대에 따라 분야별 바이오관련 산업의 국내외 동향을 정리
- 생명공학 연구 및 산업화 단계별 인프라 현황과 지원 성과 소개
☞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1 생명공학백서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