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보고서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개요
2017년 BioINpro 모음집
BioINpro는 생명공학 주요 분야별 주제를 가지고 전문가의 시각에서 작성된 리포트로서, 2017년 한 해 동안 발간되었던 자료를 모아 총서로 발간 하였습니다.
2017년 BioINpro 모음집을 통해서 생명공학전문가, 관련 기업, 그리고 정부 생명공학 정책입안자들의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며, 앞으로도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심층 리포트를 제공 예정이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목차
1.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연구동향
가.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질환치료 기술 혁명
나.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동향
2. 4차 산업혁명과 바이오(상)
가. 4차 산업혁명 시대 인공지능 정책 소고
나. 4차 산업혁명의 미래 뇌-인터페이스(BMI) 연구동향
다. 4차 산업혁명과 바이오
3. 4차 산업혁명과 바이오(하)
가. 3D프린팅 기술 및 생체의료분야 응용 최신동향 : 바이오 중심으로
나. 약물전달체 마이크로 나노로봇 연구동향
4. 2017바이오 미래유망기술(상)
가. 단일세포 유전체 분석기술 연구동향
나. 유전체 교정을 통한 질병치료기술 (Genome editing-based gene/cell herapy)
다. 생체 내 직접교차분화기술 연구동향
라. 모바일 인공지능 진단기술 최신 동향
5. 2017바이오 미래유망기술(하)
가. 순환 종양세포 DNA 탐지기술
나. 연속식 혈당측정기술
다. 바이오인포매틱스를 기반한 감염병예측기술
6. 바이오 산업생태계(상)
가. 바이오 엑셀러레이터 동향
나. 바이오벤처기업 IPO 동향
7. 바이오 산업생태계(하)
가. 바이오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제언
나. 바이오 인큐베이터 동향
8. 치매 연구동향(상) : 예측·진단 및 치료제
가. 치매 진단연구
나. 치매 치료제 개발 연구동향
다. 의료빅데이터 기반 치매 예측 및 조기진단기술
9. 치매 연구동향(하) : 정책⋅기초연구⋅전임상 중심
가. 치매치료제 마우스 실험 연구동향
나. 알츠하이머병 병인기전 연구
다. 국내외 치매 연구개발 정책동향
10. 바이오인프라(상) : 바이오 제도⋅규제 중심으로
가. 유전자교정 기술과 생명윤리법
나. 규제 샌드박스(Regulatory Sandbox)와 생명공학
11. 제3차 생명공학육성기본계획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정책 제언
가. 생명공학 발전의 도약과 희망을 위한 정책 제언
나. 생명과학 분야 정책 제언
다. 레드바이오 분야 정책 제언
라. 그린바이오 분야 정책 제언
마. 화이트바이오 분야 정책 제언
바. 산업화(융합신산업) 분야 정책 제언
사. 규제/인문 분야 정책 제언
12. 빅데이터⋅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연구동향
가. 빅데이터 및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신약개발 연구 동향
나. 인공지능을 이용한 신약개발 동향 및 활용사례
13. 바이오인프라(하) : 생명연구자원
가. 생명연구자원의 공유촉진을 위한 연구성과물 기탁등록 활성화
가. 생명연구자원의 산업적 활용촉진 및 자원산업 기반조성 활성화
가. 생명연구자원의 정보관리시스템 고도화 및 연계 강화
14. 2017년 바이오미래포럼을 통해 바라본 주요이슈
가. 바이오경제 시대의 도래와 대응
나. 바이오경제 강국 진입을 위한 우리의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