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新트렌드

  • 등록일2020-07-09
  • 조회수6404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 자료발간일
    2020-07-01
  • 출처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포스트 코로나#바이오헬스
  • 첨부파일
 
포스트 코로나 시대, 바이오헬스 新트렌드
 
문초혜 연구위원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센터)
 
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원격의료 / Ⅱ. 포스트 코로나 시대,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 / Ⅲ. 시사점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19년 말 중국 후베이성 우한에서 최초 발생 이후, 전 세계로 빠르게 확산되어 ’20.3.11일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에 대해 팬데믹(Pandemic)을 선언하였다. 현재까지 코로나19 치료제로 렘데시비르 긴급승인 외 뚜렷한 치료제 및 백신 등이 개발되지 않아, 개인위생 관리 및 사회적 거리두기와 같은 예방 수칙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에 의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보편화 현상은 비대면 서비스를 빠르게 확산시켰으며, 이에 비대면 디지털 전환 기술 속도가 한층 가속화되었다. 의료산업이 포함된 바이오헬스산업에서도 비대면 서비스인 원격의료의 중요성이 재점화되었다. 과거 원격의료는 고령화사회 진입에 따른 의료 재정 악화 및 의료인력·의료시설 부족 현상을 해결하는 방안책으로 제시되었으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감염병 확산 저지를 위한 해결 수단으로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현재, 원격의료의 범위 확대에 대하여 정부기관·의료기관·시민단체 등에서 다양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으며, 정부 또한 원격의료를 제한하는 법·규제 완화를 위해 노력을 진행 중이나, 여전히 우리나라의 원격의료는 선진국 대비 다양한 환경변화가 요구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진단·치료·예방·소비자 중심의 스마트 헬스케어산업으로 패러다임 변화 속도를 가속화하였다. 스마트 헬스케어산업에서 국가 경쟁력 향상을 위해, 다양한 산업의 주체 기업 간의 파트너쉽 구축과 정부의 바이오헬스산업 지원정책 활성화 등이 요구되고 있다.


* 본고의 내용은 집필자 견해로 당행의 공식입장이 아님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