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및 주요국 경제동향과 전망
- 등록일2021-09-07
- 조회수4595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09-06
-
출처
KOTRA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경제동향#주요국경제동향#경제전망
- 첨부파일
코로나19로 인한 글로벌 및 주요국 경제동향과 전망
◈목차
1. 세계 경제 동향과 전망
2. 한국 경제 동향과 전망
3. 주요 국가/지역별 시장여건 및 수출실적
◈본문
1. 세계 경제 동향과 전망
O (경제성장)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영향이 지속되나, 세계 경제 회복 모멘텀은 유지
O (교역) 델타 변이 확산, 물류 차질 등의 리스크가 상존하는 가운데, 상반기 세계교역성장률 실적(WTO)은 전년대비 29.1%로 빠른 회복세
O(유가) 수요 회복지연과 연내 테이퍼링 가능성에 따른 강달러 전망 으로 8.19일 65.35달러까지 하락 후 8월 말 71.19달러로 반등(두바이유)
- OPEC+, 매월 일평균 40만배럴 증산 계획 유지 결정(9.1일)
- 금년에는 일일 90만 배럴의 공급부족이 예상되나, 내년부터는 일일 250만 배럴의 공급과잉이 발생할 것으로 추정
* 8월 말 기준 WTI(배럴당 68.50달러,전월 대비 -7.4%), 두바이유(71.19달러,
-2.9%),브렌트유(72.99달러,-4.4%)
O (금리) 10년물 美국채 금리는 경기 회복세 약화에 대한 우려 등으로 하락 후 연준의 테이퍼링 가능성 확대로 소폭 반등
- 7월 美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에서 다수 위원들은 연내 테이퍼링이 가능하다는 의견을 제시
- 연준 파월 의장이 연내 테이퍼링 시행에도 금리 인상은 서두르지
않겠다고 강조하면서 테이퍼링 탠트럼(금융발작) 우려 다소 완화 O (증시) 세계주가는 상승기조를 이어가는 가운데 상승폭은 축소. 중국
증시는 정부의 기업규제로 하락
O (환율)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달러화 강세 기조는 유지되고 있으나, 백신접종 진전과 조기 테이퍼링 기대감 약화로 약세 조정 요인 병존
* (원/달러 환율) 경상수지 훅자 유지에도 불구,하반기 경기전망 불투명 및 외국인 주식 투자 순매도세로 ’20년 9월 이후 최초로 1,170원/달러 수준 돌파
* (엔/달러 환율) 일본 경기회복 둔화 우려에도 불구하고 수출호조세 유지 및 안전자산 선호 등으로 보합세 유지
- 美인플레이션이 타 주요국 대비 높으며, 달러화 상승이 과도하다는 시각*도 존재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