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동향
중국, 반려동물의 입맛을 잡아라 : 펫푸드 시장 트렌드
- 등록일2021-11-22
- 조회수4069
- 분류산업동향 > 종합 > 종합
-
자료발간일
2021-11-17
-
출처
KOTRA 해외시장뉴스
- 원문링크
-
키워드
#펫푸드#반려동물#인격화#처방사료
중국, 반려동물의 입맛을 잡아라 : 펫푸드 시장 트렌드
2021-11-17 중국 광저우무역관 이윤식
- 중국 펫 푸드시장 빠르게 성장 중 -
- 소비자의 반려동물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로 펫푸드 고급화 및 다양화 추세 -
◈목차
반려동물 식품시장 현황
트렌드 1. 천연, 무첨가 식품 선호
트렌드 2. 처방사료, 맞춤형 사료 선호
트렌드 3. ‘인격화’, 다원화, 재미요소 가미
경쟁동향
1. 사료
2. 간식
3. 건강보조식품
유통채널
시사점
◈본문
반려동물 식품시장 현황
2020년 중국 반려동물 산업 규모는 2,988억 위안으로 전년대비 18.5% 증가하는 등 빠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Pethadoop이 발표한 “2020년 반려용품산업 백서(2020宠物行业白皮书)”에 따르면 2020년 중국 전국 도심의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은 전년대비 174만 명 증가한 6294만 명이다. 이는 특히 싱글족의 증가 및 고령화에 따라 반려동물을 기르는 인구가 증가했고 반려동물에 대한 소비와 투자가 증가한데 기인한다. 이들이 기르고 있는 반려동물은 총 1억84만 마리에 달했으며, 개와 고양이가 가장 많아 각각 51%, 46%의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사료, 간식 등 식품소비가 53.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는데 2020년 기준 중국은 미국(38%)에 이은 글로벌 2위의 반려동물 식품소비시장으로 6.9%의 비중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유로모니터). 또한 i-Research가 발간한 “2020년 중국 반려동물 소비시장보고(2020年中国宠物消费市场报告)”에 따르면, 반려동물 1마리당 연간 소비액은 2017년 4,348위안에서 2020년 6,653위안으로 증가했고, 이는 2019년 소비액(5,561위안) 대비해서도 19.6% 증가한 금액이다.
자료: Euromonitor, 쳰잔산업연구원, Pethadoop, i-Research(艾瑞咨询)
반려동물 식품시장은 크게 메인사료, 간식, 건강보조식품으로 구분할 수 있다. 메인사료는 반려동물들의 주식으로 일상적으로 먹는 사료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나 최근 다양한 식품들이 개발되며 비중이 다소 낮아지고 있다. 특히 사료 외 기타 영양분을 보충하기 위해 간식을 주거나 간식을 이용해 반려동물들과 교감을 시도하는 주인들이 증가하면서 시장 내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다.
< 고양이용 간식(왼쪽부터 츄르, 육포, 푸딩) >
자료: T-MALL
아울러 최근 건강보조식품이 반려동물의 발육과 성장을 돕거나 치료보조용으로 활용되며 각광받고 있다. 반려동물의 털·고관절·위장건강 보조, 비타민의 수요가 많으며 터우바오연구원(头豹研究院, leadleo.com)은 70% 이상의 소비자는 고관절, 60% 이상의 소비자는 위장건강 및 비타민 보조식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