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응 정부R&D 지원 방향

  • 등록일2021-05-20
  • 조회수463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5-17
  • 출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감염병대응#정부R&D
  • 첨부파일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응 정부R&D 지원 방향


◈목차


1. 작성배경

2. 국내 감염병 예산 및 주요 R&D 사업현황

3. mRNA 백신의 상용화를 성공한 美 모더나 社 사례분석

4. 시사점


◈본문


1. 작성배경

▣ 국내 코로나19 대응 현황 및 진단,美 모더나社 사례 분석 등을 토대로 신종감염병 위기 대응을 위한 정부 R&D 지원방향을 제시

2. 국내 감염병 예산 및 주요 R&D 사업현황


ⓛ 국내 감염병 예산현황


▣ ’20년) 감염병 R&D 전체에 대한 ’20년 당초 예산은 1,738억 원(사업 기준)이었으나,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추경으로 예산이 약 2배 확대

 •1 차(72억 원)와 3차 추경(1,664억 원)으로 코로나19 대응 관련 총 1,736억 원 추가(R&D 기준,백신 구매비용 제외)


▣ 21 년) 코로나19 등 감염병 대응 예산을 전년도 본예산 대비 151.7% 대폭 확대하여 총 4,376억 원 지원 예정(국회확정 예산)감염병 전체 예산 중 코로나19 대응 관련 예산은 2,248억 원으로 약 51.4% 차지

 

1.png

 

② 코로나 19 대응 관련 주요 정부 R&D 사업현황 (붙임 1 참조)

 ▣ (세부사업) 코로나19 치료제 백신* 개발과 함께 차세대 감염병 대응 플랫폼개발,방역기술개발, 근거생성연구** 등에 ’20/’21 년 신규 사업으로 지원

* 코로나19치료제임상지원,코로나19백신임상지원,코로나19치료제•백신비임상지원
** 감염병 방역 기술개발,현장수요맞춤형 방역 물품기술개발,감염병 의료기술근거 생성 연구,감염병대응플랫폼핵심기술개발

▣(내역사업 ) ‘국가보건의료연구인프라구축’ 內 내역사업을 신설
 • 국가바이러스 및 감염병 연구소,항바이러스제약물평가실험실운영,확진자멀티오 믹스 데이터수집 및 예후예측모델개발

 

③ 코로나 백신 치료제 개발 기업에 대한 국내 임상 지원 현황[‘21.4월 기준]


▣(백신) 정부는 5개 기업에 대해 지원대상 과제의 총 연구비 464억 원 중 73.3%인 340억 원을 지원
• GX-19(제넥신),EuCoVac-19(유바이오로직스)에 대한지원 규모가 가장큼


2.png

▣ (치료제) 코로나19 치료제는 지원대상 과제 총 연구비인 1,185억 원 중 기 0.5억원(60.0%)을 정부에서 지원

• 셀트리온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주(후보물질명 CT-P59)’에 총 520억 원을 투자


3.png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