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글로벌 나노정책 및 기술동향 21년 6월호] SIA,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강화
- 등록일2021-07-21
- 조회수4012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7-15
-
출처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
- 원문링크
-
키워드
#나노정책#나노기술동향#글로벌 나노정책
- 첨부파일
[글로벌 나노정책 및 기술동향 21년 5월호]
◈목차
Ⅰ. 정책 브리핑
▸ SIA,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강화" 보고서 발간(원제: Strengthening the Global Semiconductor Supply Chain in an Uncertain Era)
II. 나노분야 주요 뉴스(6월)
III. 나노 통계
▸ 나노기술 특허 동향(2011~2020)
◈본문
Ⅰ. 정책 브리핑
► SIA,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강화" 보고서 발간
□ 미국 반도체 산업 협회(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 않시는 지역별,분야별 반도체 공급망 현황과 과거 사례를 통해 반도체 공급망을 위협하는 요인들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 강화” 보고서를 발간
O 향후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할 반도체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반도체의 글로벌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연구개발 및 자본 지출1)에 약 3조 달러를 투자해야 할 것으로 전망
O 공급망 전반에 걸쳐 한 지역이 전 세계 시장을 65% 이상 점유하고 있는 분야는 50개 이상이지만 이들 각 분야와 관련된 위험 수준은 상이- 실리콘 웨이퍼,포토레지스트 및 기타 특수 화학물질과 같은 핵심 소재의 주요 공급업체 및 반도체 생산시설의 75%가 중국 및 동아시아에 집중되어 있으나,해당 지역은 높은 지진 활동과 지정학적 갈등에 노출
- 10nm 미만의 노드로 이루어진 가장 진보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은 한국(8%) 및 대만(92%)에 집중되어 있어,해당 지역에 자연재해,인프라 가동 중단,국제 갈등 등이 발생할 경우 칩 공급에 심각한 차질 발생
□ 반도체는 전자기기가 데이터를 처리, 저장,전송하는 데 필요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고도로 전문화된 부품으로 크게 로직 반도체(Logic, 매출의 42%), 메모리 반도체(Memory, 매출의 26%), 개별,아날로그 및 기타 반도체(DAO, 매출의 32%)로 분류되며 대부분의 응용분야에서 세 종류의 반도체가 모두 필요
□ 반도체는 일반적으로 전자기기 제조업체가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조달받지만 궁극적으로 반도체의 수요는 그러한 기기를 구매하는 최종 사용자가 주도하므로 지리적 관점에서 반도체 수요의 근원을 측정하는 세 가지 다른 방법이 존재하며 이에 따라 글로벌 반도체 수요 비중이 상이
O 전자기기 제조업체 본사 위치
- 미국에 본사를 둔 회사가 개발한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반도체의 경우 미국 외 국가에서 반도체가 생산되더라도 미국의 수요로 계산
O 전자기기를 제조/조립하는 업체의 위치
- 반도체가 미국 회사가 설계한 스마트폰에 들어가지만,실제로 대만 계약자에 의해 중국
본토에 위치한 공장에서 스마트폰이 제조된다면 이 반도체는 중국의 수요로 계산 O 전자기기를 구입하는 최종 사용자의 위치
- 미국 회사가 설계했지만 중국에서 조립된 스마트폰은 전 세계 소비자들에게 판매되므로 스마트폰에 들어간 반도체는 소비자가 거주하는 국가의 수요로 계산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