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정책동향

[제196호 과학기술&ICT 동향] 코로나19 관련 연구동향 국제비교 분석 등 ~

  • 등록일2021-08-23
  • 조회수439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08-20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코로나19#연구동향#DARPA#미국#일본
  • 첨부파일


[제196호 과학기술&ICT 동향]


◈목차


1. 이슈 분석

 

   스마트 물류 최근 동향과 시사점
 
2. 주요 동향
  1) 과학기술 
    미국, 수소 내연기관이 탄소 중립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국, DARPA 모델의 광범위한 적용에 대한 우려 제기 
    미국, 탄소 제거 기술에 대한 과대평가의 문제점 분석  
    미국, 태양에너지 정책 현황 및 기술보급 촉진 방안 분석
    일본, 대학펀드 설립을 위한 관련 법 개정 국회 논의 
    일본, 코로나19 관련 연구동향 국제비교 분석 
    중국, 원자력 안보 기술 발전전략 발표
    EU,  탄소국경조정제도가 경제와 탄소배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
  2) ICT 
    한, 데이터 경제·사회로 진입 위해 속도감 있는 정책 추진
    한, 5G 단독모드(SA) 상용서비스 제공국 대열에 합류 
    자율주행차 기술개발 위한 국내 정부·업계 행보 활기 
    미·중, 개인정보 보호·국가 안보 이유로 데이터 패권 경쟁 심화
    세계 주요 통신업계, 5G·6G 시장 우위 확보 위한 공략 속도
 
3. 단신 동향 
  1) 해외 
  2) 국내 
 
4. 주요 통계


◈본문


Ⅰ 스마트 물류 최근 동향과 시사점1)

 


1 개요

▣ 국내 물류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은 무역 규모 및 의존도에 비해 열세 

 ○ 한국 경제는 무역규모 세계 9위(’20년 기준), 무역 의존도(GDP vs 수출입 규모) 63.51% (’19년 기준, G20 국가 중 2위)로써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

※ 주요 경쟁국 무역의존도 : 독일 70.82%, 미국 19.34%, 일본 28.08% (한국경제, ’20.10월)
- 반면, 한국의 글로벌 물류 성과 지수(Logistic Performance Index)는 23위 (’18년 기준)로 경쟁력은 취약
- 주된 원인은 통관, 인프라, 국제 선적, 물류의 질과 역량, 물류 추적 및 이력, 정시성 등이고 특히 화물 해외 운송 부분이 취약

< 주요 국가별 LPI(Logistics Performance Index) 지수 순위(’19 기준) >

1.png


▣ 국내 연간 물동량 대비 컨테이너 항만의 인프라 수준은 글로벌 대비 열세

 ○ 해운은 국내 수출입 물동량을 90%이상 담당하고, 세계 7위의 컨테이너 실적을 보유하고 있으나 항만의 인프라 수준(무인화, 친환경 등)은 중국 및 싱가포르에 비해 미흡
 

2.png


▣ 물류 전반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서는 스마트 물류의 도입은 필수

 ○ 스마트 물류는 운송, 보관, 하역, 포장, 시설, 장비 및 물류시스템 등 물류의 전 분야에 걸쳐 ICT 기술, 센서, 정보통신 및 제어기술을 접목함으로써 물류 운영의 효율화와 물류비용의 절감을 목표로 하는 시스템

- 도로, 철도 등 운송 인프라가 경제의 혈관이라면, 물류는 혈액에 해당하고 국가경제의 근간 중에 하나
- 스마트 물류의 지향점은 Data, Network, AI 등 관련 기술을 활용하여 유통및 물류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은 최소화하고, 물류의 신뢰성은 최대화하는 운송 시스템

 ○ 본 보고서는 스마트 물류의 DNA(Data-Network-AI) 기술 관점에서의 활용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정부 및 산업계가 대비해야 할 방안을 제안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