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동향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03호] UAM 산업동향과 시사점 등~
- 등록일2021-12-03
- 조회수4074
- 분류정책동향 > 기타 > 기타
-
자료발간일
2021-11-26
-
출처
글로벌 과학기술정책정보 서비스
- 원문링크
-
키워드
#UAM #탄소#첨단
- 첨부파일
[과학기술&ICT 정책·기술 동향 203호]
◈목차
1. 이슈 분석
2. 주요 동향
3. 단신 동향
4. 주요 통계
◈본문
Ⅰ. UAM 산업 동향과 시사점
1. UAM 개념 및 필요성
가. 개념 및 특성
(개념) 도심 항공 모빌리티(UAM : Urban Air Mobility)는 도시 권역을 수직이착륙 (eVTOL)*하는 개인용 비행체(PAV)**로 이동하는 공중 교통 체계를 의미
- 개인용 비행체(PAV)의 개발, 제조, 판매, 인프라 구축, 서비스, 유지・보수・운영 등 도심 항공 이동수단과 관련한 사업을 포괄하는 개념
* 수직이착륙(Electric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 공중에서 정지하거나 활주로 없이 뜨고 내릴 수 있고, 수직으로 이착륙하는 비행체를 의미
** 개인용 비행체(Personal Air Vehicle)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003년 일반인이 운전면허만으로 운전할 수 있는 PAV 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면서 처음 등장한 개념
< UAM 범위 개념도 >
출처 : 한화시스템, UAM 사업, 미래를 바꾼다(2021.3.19.) 참조
(특성) 미래 교통수단, 친환경, 첨단기술 집약 등 3가지 특성으로 요약
- (미래형 교통수단) 별도 활주로가 필요가 없고, 최소한의 수직이착륙 공간만 확보되면 운용이 가능해 향후 도로 혼잡을 줄여줄 3차원 미래형 도시 교통수단* * 도로, 철도, 개인교통수단과 연계한(Seamless) 교통서비스(MaaS : Mobility as a Service)로 스마트도시의 중요한 교통축으로 자리 잡을 전망
- (친환경) 전기동력을 사용해 탄소 배출이 없고, 저소음으로 도심에서 운항이 가능한 친환경 교통수단
- (첨단기술 융합) 소재, 배터리, 제어(정보통신), 항법 등 하드웨어(HW)와 소프트 웨어(SW) 모두에서 매우 높은 수준의 첨단 기술이 집약
나. 필요성
대도시권 인구집중 및 지상교통망 혼잡 해결 필요
- 글로벌 경쟁시대에 대도시권은 산업・금융기반이 집약된 국가경쟁력의 핵심이자 중추로 기능하며 인구 집중도가 심화
※ UN은 전 세계 도시화율(도시거주인구비중)이 ’18년 55.3% → ’35년 62.5%에 이를 전망
※ 인구 1천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메가시티는 ’10년 25개 → ’35년 48개로 증가 예측
- 한국의 도시거주인구비중도 2019년 91%로 이미 포화 수준이고, 2020년 서울인구는 991만명으로 전 세계 인구가 많은 도시 중 34위권
※ 한국 도시화율(국토부) : (’00) 87.8% → (’05) 89.1% → (’10) 89.6%) → (’19) 91.1%
※ 도시별 인구수(만명, ’18년 기준, UN) : (1위) 도쿄 3,747, (2위) 델리 2,851, (3위) 상하이 2,558, (4위) 상파울로 2,156, (5위) 멕시코시티 2,158, (34위) 서울 996
- 도시 집중화 현상으로 도시 거주자들의 이동속도가 급격히 저하되고 물류 및 운송비용도 지속적으로 증가
※ ’20년 세계 주요 도시들의 도심 내 평균 주행속도는 30km 미만 교통체증으로 시간 낭비와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막대(특히, 미국은 교통 혼잡으로 인해 매년 97시간, GDP 2~4% 낭비)(McKinsey&Bellflight, ’19)
※ 한국의 교통혼잡 비용은 ’00년 29.9조원 → ’10년 43.8조원 → ’17년 59.6조원 규모로 GDP의 3%에 달함(한국건설기술연구원, ’21)
국가 정책적으로 친환경 도심 항공 교통 수단 확보 필요
- 세계 전체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의 25%를 교통수단이 차지하고 도로교통의 탄소 집약도(Carbon Intensity)*가 일반산업에 비해 높음
*전세계탄소집약도(gCO2//MJ,’18기준):(일반산업)51.8%,(도로교통)67.9%(IFA,’18)
- 자동차 운전자들의 CO2 배출량은 2000년 이후 40% 이상 늘어났고, 세계 각국의 탄소배출 감축목표* 상향에 따라 친환경 교통수단 도입을 적극 고려하여 추진 중 * 주요국 2030년 탄소감축(’10년 대비) : (미국) -49%, (EU) -46%, (영국) -58%, (일본) -42%, (한국) -18%
첨단 기술발달로 도심 항공 모빌리티 실현가능성이 급속히 증대
- 주요국가 및 글로벌 기업이 첨단기술로 개발되고 있는 eVTOL이 도심형 항공교통수단으로 부상
※ 과거 개념 구상 및 제품 설계 수준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주요 스타트업들이 연달아 시험비행 성공, 글로벌 기업 및 스타트업의 투자 확대로 사업화 가능성 증대
※ 첨단 기술가시화 : 전기동력, 분산전기추진, 수직이착륙(활주로 미필요), 틸트로터(안정성 확보), 저소음(60dB 이하), 배출가스 제로, 배터리효율 개선, 통신(5G), AI(항공관제, 자율 비행) 등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지식
- BioINwatch 기후변화 대응기술로 미생물 패러다임 확산 2025-07-08
- BioINpro [KRIBB 워킹그룹] 생물학적 CCU 기술 개요 및 주요 동향 2023-07-03
- BioINwatch 탄소나노튜브와 머신러닝을 활용한 혈액검사로 난소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디지털바이오기술 2022-11-03
- BioINwatch MP(microbial protein) 20% 대체로 산림 벌채 및 CO2 배출 50% 감소 효과 2022-05-10
- BioINwatch 이산화탄소를 식량자원으로 전환하는 무세포 기반의 인공합성회로 개발 2021-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