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술동향

2020년 국내 내성결핵균의 유전형 특성 분석

  • 등록일2021-12-21
  • 조회수4282
  • 분류기술동향
  • 자료발간일
    2021-12-16
  • 출처
    질병관리청
  • 원문링크
  • 키워드
    #결핵#유전형#다제내성#약제감수성
  • 첨부파일
    • pdf [역학관리보고서]+2020년+국내+내성결핵균의+유전형+특성+분석.... (다운로드 152회) 다운로드 바로보기


2020년 국내 내성결핵균의 유전형 특성 분석


◈목차


초 록
들어가는 말
몸 말
맺는 말



◈본문


초 록
결핵은 결핵균을 원인으로 하여 공기로 전파되는 감염병으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결핵의 발생률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다제내성 결핵(MDR/RR-TB)은 약제 선택이 제한됨에 따라 치료 기간이 길고 치료 성공률이 낮아 결핵 퇴치를 위한 중요한 장애물 중의 하나다.
 
결핵균의 병원체 특성은 인구집단, 지역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2020년 집단시설 결핵역학조사를 통해 수집한 다제내성 결핵균 87주를 대상으로 병원체의 역학 정보와 분자역학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다제내성과 약제감수성 결핵환자의 역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및 소속기관에 따른 분포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다제내성 및 약제감수성 결핵환자 중 외국인 국적을 가진 환자의 비율이 다제내성 결핵(13.1%)에서 약제감수성 결핵(5.6%)보다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결핵균 계통을 확인하기 위해 SITVIT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해 Spoligotyping을 분석한 결과, 국내 다제내성 결핵균은 East-Asian (Beijing)과 EuroAmerican 2개 계통으로 구분되었다. East-Asian (Beijing) 계통은 wgMLST 분석법을 통해 3개 그룹으로 세분화되어, Euro-American 계통과 함께 총 4개의 서로 다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추가적으로, wgSNPs 분석법을 적용해 국내 유행현황을 분석한 결과 2개 사례를 제외하고는 동일한 유전형을 가진 결핵균의 대규모 유행은 없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다제내성 결핵을 대상으로 결핵균 유전형정보 구축을 적극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감염원 추적 등의 유전체 분석정보는 결핵 집단발생의 관리를 위해 지속적으로 제공하고자 한다.
 
주요 검색어 : 결핵, 유전형 분석, 전장유전체염기서열분석
 
들어가는 말 
결핵은 Mycobacterium tuberculosis complex (MTBC)에 감염되어 유발되는 감염병으로, 전 세계적으로 연간 약 천만 명의 신환자가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결핵균의 전파는 매개체 없이 공기감염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며, 감염 후 평생에 걸쳐 감염인의 약 5∼10%가 활동성 결핵으로 이환되므로 질병 전파의 확산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 
 
국내의 경우 해마다 20,000여 명 이상의 신규환자가 보고되고 있어 결핵 관리를 위한 적극적인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다제내성 결핵(MDR/RR-TB)은 결핵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항결핵약제인 Isoniazid (INH)와 Rifampicin (RIF)에 내성을 가지거나, RIF 단독내성을 가지고 있는 결핵을 의미한다. 
 
다제내성 결핵은 치료 기간이 20개월 정도로 길고, 치료 성공률이 감수성 결핵에 비해 낮아 결핵 예방관리에 있어 가장 큰 장애물 중의 하나이다. 내성결핵의 발생은 부적절한 약제 복용, 부적절한 처방 등으로 인한 획득 내성과 처음부터 다제내성 결핵균에 감염되어 발생하는 초회 내성으로 구분된다. 
 
그러므로 내성 결핵의 퇴치를 위해서는 약제감수성 결핵에 대한 적절한 처방 및 관리를 통해 획득 내성 없이 성공적으로 치료가 되어야 하고, 초회 내성 결핵 방지를 위해서도 신속한 다제내성 결핵의 진단과 치료, 격리 및 관리를 통해 내성 결핵의 전파를 방지하여야 한다. 다제내성 결핵 환자의 접촉자가 잠복 결핵 양성일 경우, 잠복 결핵 치료가 어려운 문제점 또한 존재한다. 
 
결핵균의 병원체 특성은 인구집단, 지역 등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므로, 다제내성 결핵의 예방, 관리를 위해서는 결핵의 전파현황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