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부처보도자료

최근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대폭 향상

  • 등록일2009-02-11
  • 조회수9881
  • 발간일
    2009-02-11
  • 출처
    교육과학기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연구개발사업
  • 첨부파일

 

최근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대폭 향상

 -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 결과 발표 -

 

□ 교육과학기술부(장관 안병만)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원장 이준승)은 오늘 2006년도와 2007년도에 산출된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 이번 분석은 그동안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분석이 주로 개별사업 단위로 이루어져온 데 비하여, 연간 약 10조원이 투입되고 있는 국가연구개발사업 전체를 대상으로 종합적 분석을 처음 시도하였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 이번 분석 결과에 따르면,


○ 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아 수행한 연구개발사업의 성과 중 2007년에 발표된 SCI 논문(23,205건)이 우리나라 전체 SCI 논문(25,494건)의 90% 이상을 차지하여, 정부의 R&D 투자가 우리나라의 과학 발전을 견인하는 주요 동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 또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중 국내특허 출원도 2006년 7,672건에서 2007년 12,255건으로 대폭 증가하여, 국가 R&D 투자가 새로운 기술 확보에도 기여도를 높여 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이러한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가 양적으로 크게 늘어난 것은 국가 R&D 투자 증가와 더불어, R&D사업에 대한 성과 중심의 평가가 강화된 것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이번 분석 결과를 보면,

 ○ SCI 논문(’07)의 경우, (구)과학기술부와 (구)교육인적자원부의 지원을 받은 과제에서 약 70%, 대학에서 수행한 기초연구 과제에서 43.8%에 달하는 많은 수의 SCI 논문이 산출되었고,
- 물리학, 화학 등 기초과학 분야에서 피인용도가 높은 논문이 많이 발표된 것으로 나타났다.

※ 학문분야별 표준화 순위보정지수 ‘표준화 순위보정지수’는 학문분야별로 편차를 보이는 SCI Impact factor(SCI IF) 활용의 한계점을 개선하기 위해 분야별로 SCI IF를 보정한 지표로써, 100에 가까울수록 동일 분야 내에서 SCI Impact Factor Ranking이 높음을 의미(’07) : 물리학 74.9, 화학 73.2 (정부R&D 평균 : 63.9)

 

※ SCI 논문 질적 수준 (’07, 표준화 순위보정지수)
- 포항공대 72.9, KAIST 70.5 / 천문연구원 79.8, 표준과학연구원 69.8

 

○ 국내특허 출원(’07)의 경우에는, (구)산업자원부와 (구)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은 과제에서 약

60%, 기업 및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 수행한 개발연구 과제에서 50% 정도에 이르는 다수 특허 출원이 이루어졌으며,
- IT 분야(정보, 통신, 전기전자)와 기계 분야에서 50% 이상의 특허가 출원된 것으로 나타났다.

 

※ 국내특허 출원 (’07)
- 서울대 282건, KAIST 228건 / 전자통신연구원 2,356건, 기계연구원 238건

 

○ 공동연구 유형에 따른 성과를 보면,
- 기초연구 성격 과제는 대학과 협력연구를, 실용화 목적의 과제는 기업과 공동연구를 수행할 때 높은 성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SCI 논문(’07) : 학·학 13.2%, 산·학 9.4%, 학·해외기관 8.8% 등
국내특허 출원(’07) : 산·학 22.5%, 산·연 17.6%, 산·학·연 13.2% 등
- 또한, 대학이 해외 연구기관과 공동 연구를 수행하는 국제공동연구에서 질적으로 높은 수준의 논문이 산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대학과 해외기관간 공동연구 표준화 순위보정지수(’07) : 70.2 (단독연구: 66.0)

 

○ 이번 분석결과는
- 우수한 다수의 논문 성과 산출을 위해 기초연구 분야에서는 대학을 중심으로 창의적 과제에 대한 개인·소규모 지원을 확대하고,
- 사업목적(학문연구, 사업화 등)을 감안한 연구수행주체(대학, 연구소, 기업) 간의 공동연구를 유도하며,
- 국제공동연구 사업에 대한 지원을 확충하고,
- 사업별 특성을 반영한 평가 및 질적 연구성과 관리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시사점을 주고 있다.

 

 

< 자료문의 >

☎ 02-2100-6682, 교과부 연구성과관리과장 송기민, 사무관 이병수
☎ 02-589-2841 KISTEP 조사분석실장 오동훈, 부연구위원 김용정, 연구원 안혜린

 

 

 

☞ 자세한 내용은 보도자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붙임> 보도자료외... 

 1. 2008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주요성과 분석 결과(요약)   

 2. 2008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성과 분석 보고서(요약)   

 3. 최근(‘99~’07) 정부의 연구개발사업(R&D) 투자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