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처보도자료
해외석학과의 초일류 글로벌공동연구 확대 지원
- 등록일2009-02-25
- 조회수6212
-
발간일
2009-02-23
-
출처
교육과학기술부
- 원문링크
-
키워드
#글로벌연구실
- 첨부파일
해외석학과의 초일류 글로벌공동연구 확대 지원
2009년도 글로벌연구실(Global Research Lab) 시행계획 공고
□ 금년에는 해외석학과의 초일류 글로벌공동연구가 더욱 확대된다. 교육과학기술부와 국제과학기술협력재단은 「선진일류국가를 향한 이명박정부의 과학기술기본계획(577 Initiative)」에서 제시한 기술 중 32개 기술분야를 대상으로 글로벌연구실을 신규 공모·지원하는 「2009년도 글로벌연구실사업 시행계획」을 2009년 2월 23일 확정·발표하였다.
○ 금년도 지원대상 기술분야는 과학기술기본계획(577 Initiative)에서 제시한 핵심기술을 대상으로, 기술의 원천성, 국제협력의 필요성 및 파급효과, 정부 연구개발재원 배분의 효율성, 세계 과학기술발전에의 기여도 등을 고려하고, 특히 저탄소 녹색성장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해 녹색기술 분야를 선정한 것으로 다음과 같다.

□ 교과부는 지난해까지 총 22개의 글로벌연구실을 선정·지원해 오고 있으며, 금년에도 추가로 5개 내외의 글로벌연구실을 신규 선정함으로써 총 27개 내외의 글로벌연구실 사업에 약 128억원의 연구비를 투입할 예정이다.
□ 「글로벌연구실」 사업은 그동안 추진해 온 국제공동연구사업과 여러 측면에서 차별화된 특징을 갖고 있다.
○ 첫째, 기존 국제공동연구사업에 비해 연구비 규모가 상대적으로 크고(연간 5억원 규모), 지원기간도 3년에서 9년의 범위 내에서 연구자가 자율적으로 정할 수 있으며, 단순 인력교류, 세미나 개최, 협력기반 구축 등 외교적 협력에서 나아가 심화단계의 과학기술적 연구성과 창출을 최대한 지향한다는 점이다.
○ 둘째, 국제협력사업의 특징을 최대한 살려 모든 연구제안서를 영문으로 제출토록 하고, 외국인 전문가를 포함시켜 평가위원을 구성하고 발표평가 자체도 영어로 진행된다. 아울러, 해외의 협력 파트너가 직접 발표평가에 참여하도록 하여 공동연구 목표, 협력 파트너간 역할 분담, 협력 파트너의 탁월성 등을 검증하고 있다. 이를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외국인 평가 전문가 풀도 확보·관리하고 있다.
○ 셋째, 연구관리의 선진화 및 연구자 부담 경감을 위해 제출서류의 분량, 평가절차 등을 선진국 수준으로 간소화하여 추진하고 있다.
□ 글로벌연구실 사업의 이러한 장점들이 국내외 연구자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아, 2006-2008년 평균과제경쟁율이 17.6대 1에 달하고, 2008년 해외매칭펀드가 1,117만불로 국내 지원액 84억원을 상회하며, 2000년도 노벨화학상 수상자인 알랜 히거 교수를 비롯한 해외석학들이 동 사업에 다수 참여하고 있으며, 이미 Science, Nature 등 학술지에 세계 수준의 논문을 게재하여, 과학기술의 국제적 연계를 통한 과학기술 혁신의 돌파구를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다.
□ 교과부는 향후 1개월여에 걸쳐 예비계획서를 접수하여 서면평가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6월 중 발표평가를 실시하여 지원과제를 최종적으로 선정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