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연구 보고서

바이오소재 활용기술 (바이오 플라스틱 중심으로)

바이오소재 활용기술 (바이오 플라스틱 중심으로)

  • 발행일 2012-04-30
  • 출처 기술동향2012-5(총서 180권)
  • 담당자 김민정 ( 042-879-8371 / bestkmj@kribb.re.kr )
  • 조회수 17920
  • 키워드
    #바이오소재 #바이오 플라스틱
  • 첨부파일

개요

1.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연구 개요

  가.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1) 바이오 플라스틱 정의 및 특징

􀂆 바이오 플라스틱은 탄소중립(Carbon neutral)형 식물유래 자원(biomass) 등 재생 가능한 물질을 포함하는 원료를 이용하여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공정을 거쳐 생산되는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Bio-based plastics)과 생분해성 플라스틱(biodegradable plastics)을 포함하고 있음
○ 이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친환경 소재로서 친환경 플라스틱, 그린 플라스틱, 환경 배려 플라스틱, 유기농 플라스틱 등으로도 불림

- 바이오 플라스틱은 기존 난분해성 플라스틱 소재와는 다르게 일정한 조건에서의 수분, 자연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조류, 곰팡이와 같은 미생물이나 분해효소등의 작용으로 분해가 가능함
- 일반 플라스틱 제품과 동일하게 사용하며 사용 후 폐기물을 땅속에 매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소 시에도 발생열량이 낮아 다이옥신 등의 유해물질이 방출되지 않음

 

○ 바이오 플라스틱의 소재 및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생분해가능 여부와 기반 원료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세 그룹으로 나뉠 수 있음
- 바이오 베이스 원료의 플라스틱이나 생분해성을 띄지 않는 Bio-PE, Bio-PP, Bio-PVC, Bio-PET, Bio-Nylon 등과 같은 바이오 플라스틱 그룹
- PLA, PHA, TPS, CDA, CTA, AP(Aliphatic polyester) 등이 속하는 바이오 베이스 원료로 만들어지는 생분해성 플라스틱 그룹

- PBAT, PBS, PCL, PES, PVA 등의 석유계 수지를 원료로 생산되며 생분해성을띄는 플라스틱 그룹

.....................계속

 

목차

1.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연구 개요

가.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1) 바이오 플라스틱 정의 및 특징

2) 환경변화 및 연구 필요성

3) 바이오 플라스틱 소재 및 기술분류

4) 바이오 플라스틱 활용분야

 

2. 3P(특허, 논문, 산업) 분석

가. 특허 분석

1) 해외특허로 살펴본 바이오 플라스틱 연구 분야 세계동향

2) 해외에 출원된 특허로 살펴본 바이오 플라스틱 연구 분야 국내동향

나. 논문분석

1) 논문으로 살펴본 바이오 플라스틱 연구 분야 세계동향

2) 논문으로 살펴본 바이오 플라스틱 연구 분야 국내동향

다. 관련 시장 및 산업동향 분석

1) 해외 산업동향

2) 국내 산업동향

 

3. 기술개발 동향

  가. 세계동향

    1) 주요국 연구 및 정책동향

    2) 바이오플라스틱 관련 규정

    3) 바이오 플라스틱 연구개발 동향

    4) 해외 산업체 동향

  나. 국내동향

    1) 국내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 정책동향

    2) 정부투자 분석

    3) 국내 주요 연구자 및 연구 성과

 

4. 국내 경쟁력 현황 및 시사점

  가. 국내 경쟁력 현황

  나. SWOT 분석

  다. 시사점 및 발전방향

 

5. 참고문헌

별첨 1.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 특허분석

별첨 2.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 논문분석
별첨 3. 바이오 플라스틱 관련 주요 피인용 특허·논문 리스트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