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아프리카 돼지열병(ASF)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 등록일2019-05-15
- 조회수9843
- 분류레드바이오 > 보건・간호기술
-
발간일
2019-05-14
-
키워드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발생 현황#연구개발#정부 R&D 과제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19-34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개요 및 연구개발 현황
◇ 국내에서 아직까지 발생한 적이 없는 아프리카 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은 감염성이 매우 높고, 급성형에 감염되면 치사율이 100%에 달해 양돈산업에 엄청난 피해를 주는 질병. 주로 아프리카와 유럽에서 발생해 왔으나, 최근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등 아시아 지역으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국내유입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
▸주요 출처 : 농림축산검역본부(http://www.qia.go.kr),; 월간 한돈, 아프리카돼지열병의 위험성 및 유입방지대책, 2016.12월호,;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
■ 아프리카 돼지열병(ASF, African Swine Fever) 개요
○ 아프리카 돼지열병은 바이러스성 출혈 돼지 전염병으로 고열, 청색증, 림프절과 내장의 출혈 등을 증상으로 하며 치사율이 100%에 달함
- 사람이나 다른 동물은 감염되지 않고 돼지과(Suidae)에 속하는 동물에만 감염되는데, 사육돼지와 유럽과 아메리카 대륙의 야생 멧돼지가 자연 숙주로 역할
- 아프리카 지역의 야생돼지인 혹멧돼지(warthog), 숲돼지(giant forest hog) 또는 bushpig는 감염되어도 임상증상이 없어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의 보균숙주로 역할
- 돼지 외 유일하게 Ornithodoros spp.에 속하는 물렁 진드기(soft tick)가 이 바이러스를 보균하고 있다가 돼지나 야생 멧돼지를 물어서 질병을 전파하는 매개체로 작용
○ 아프리카 돼지열병은 오랫동안 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하던 질병이었지만 최근 발생지역이 확대되면서 전 세계를 위협하는 전염병으로 새롭게 부상
- 1921년 아프리카의 케냐에서 처음 발견된 질병으로 대부분 사하라 남부 아프리카 지역의 풍토병으로 존재하였으나,
- 2007년 조지아 공화국 한 항구의 선박에서 나온 잔반을 통해 유럽으로 유입, 동유럽과 중앙유럽을 거처 러시아까지 빠르게 확산
- 2018년 8월 아시아 지역으로는 중국에서 처음으로 ASF 발생, 최근까지 몽골(‘19.1), 베트남(’19.2), 캄보디아(‘19.4), 홍콩(’19.5)까지 급속히 확산
※ 우리나라는 아직까지 발생한 적이 없으나, 주변국의 확산 추세에 따라 국내유입 위험이 증가. ASF를 가축전염병예방법상 제1종 법정전염병으로 지정하여 관리 중
■ 원인체 및 임상증상
○ 원인체인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ASFV, African swine fever virus)는 아스피바이러스(Asfivirus) 속에 속하는 약 200nm 정도의 DNA 바이러스
- ASFV는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총 23개의 유전형(genotype)으로 구분
○ ASFV는 매우 강한 환경 저항성 보유
- 숙주인 돼지가 죽은 후에도 혈액과 조직에서 계속해서 생존. 혈액의 경우 냉장에서 18개월 이상, 햄과 같은 식육제품에서도 6개월 이상 감염력 유지
- 산과 열에도 강함(56℃에서 최소 1시간 이상 노출하여야만 감염력을 잃음)
○ ASFV는 전염력이 강하며 모든 연령의 돼지가 다 감염될 수 있고, 감염된 바이러스의 병원성, 감염량 및 감염경로에 따라 임상증상이 다양하게 나타나나 대개는 심급성형 또는 급성형으로 발생
- 심급성형 : 별다른 증상 없이 감염 1∼4일 후 죽음
- 급성형 : 감염 후 6∼13일 내 거의 100% 가축 돼지가 죽음
- 아급성형 : 감염 후 15∼45일 후 치사율은 30∼70%
- 만성형 : 증상이 다앙하며 병증이 약함
■ 발생 현황
○ 아프리카 돼지열병이 발생하면 세계동물보건기구(OIE, 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에 발생 사실을 즉시 보고해야 하며, 돼지와 관련된 국제교역도 즉시 중단
※ OIE는 동물건강정보시스템(WAHIS, World Anim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을 통해 100여 가지 질병에 대한 정보(발생 현황, 진단 및 예방법 등)를 제공
- 2019년 4월 26∼5월 9일 사이 OIE에 보고된 아프리카 돼지열병은 12개국에서 총 1,322건의 지속적인 발생과 157건의 신규 발생이 보고
※ 유럽 8개국(벨기에, 헝가리, 라트비아, 몰도바,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및 우크라이나), 아시아 3개국(캄보디아, 중국, 베트남), 아프리카 1개국(남아프리카공화국)
- ASF 발생으로 인한 손실(폐사 및 살처분) 중 53%는 아시아 지역에서 발생. 동 기간 모든 동물 손실은 캄보디아에서 발생. 유럽의 경우 우크라이나에서 대부분(622건 중 601건) 발생
< 2019년 상반기(1~6월) 아프리카 돼지열병 발생국 분포 현황 >
출처: World Organisation for Animal Health(OIE), World Animal Health Information Database
< 2019년 4월 26~ 5월 9일, 아프리카 돼지열병의 아시아지역 발생현황 및 손실현황 >
출처 : OIE, African Swine Fever(ASF) Report N° 16: April 26 – May 09, 2019
○ 주변국의 잇단 발병으로 국내에서도 농림축산식품부를 중심으로 아프리카 돼지열병의 국내 유입 차단 및 방역 관리를 강화
- 발생국(특히 중국)과의 지리적 및 인적・물적 교류로 볼 때 유입 가능성이 매우 높음
※ 최근 중국인 여행객이 휴대한 돼지고기 가공품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유전자가 검출된 바 있음, 2018.4.25.)
■ 국내외 연구개발 동향
○ (논문 발표)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 관련 논문*은 전세계적으로 5,304편이며, 이중 한국인 저자가 포함된 논문은 70건(1.3%)으로 조사
* 검색 DB : Scopus, 검색 범위 : 제목, 초록, 또는 키워드, 키워드 : ASF or "African Swine Fever" or ASFV or "African Swine Fever virus"
-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 관련 논문은 1930년대 초부터 논문이 발표. 이후 연간 20∼60건의 논문이 지속적으로 발표되다가 1990년 이후 논문 발표 건수가 다소 증가하여 100건 이상의 논문이 발표되고 있음
<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 관련 논문 연도별 발표현황 >
- 미국이 1,348편으로 가장 많고, 유럽 지역의 발생으로 유럽 국가(스페인,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논문 발표 활발
○ (특허 출원) 아프리카 돼지열병 바이러스 관련 특허*는 284건이며, 2000년대 들어 관련특허의 출원과 등록이 활발
* 검색 DB : Wisdomain, 검색 범위 : 제목, 초록, 또는 키워드, 검색 키워드 : "African Swine Fever" or ASFV or "African Swine Fever virus", 특허 도메인 : 미국, 일본, 유럽, 중국, 한국
- 진단, 백신 및 치료제 개발에 관한 특허가 대부분인 가운데 국내기관에서 출원한 특허는 신규 진단용 조성물, 항체 검출 등 진단 방법이 주를 이룸
<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 특허 연도별 출원 및 등록 현황 >
○ (국내 연구개발) 정부 R&D사업으로는 현재까지 23개 과제에 15.2억원이 투자되었으며, 국공립연구소와 대학을 중심으로 과제 추진
- 농림축산식품부의 농림축산검역본부를 중심으로 동식물의 전염병 모니터링 및 감시, 신속 진단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서울대학교 및 강원대학교에서도 일부 과제를 추진
※ 주요 해외전염병의 국내유입 여부를 감시하고, 국내 부재 증명을 목표로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해외전염병의 국내검색’ 과제는 2005년부터 계속과제로 추진 중
< 아프리카 돼지열병 관련 국내 연구개발 과제 현황(단위 : 백만원) >
연도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합계 |
과제건수 | 1 | 3 | 4 | 4 | 2 | 7 | 4 | 2 | 23 |
연구비 | 83 | 148.9 | 304 | 291.3 | 105.8 | 208 | 239.7 | 139.5 | 1,520 |
* 검색 DB : NTIS(https://www.ntis.go.kr), 검색 년도 : 2012∼2019년, 검색 키워드 : 아프리카돼지열병, 검색 범위 : 한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