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 능 | 검색식 예 |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 (기계 | machine)) |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TI:(나노 & 기계) |
ㅣ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된 문서 검색 | 예1) TI:(줄기세포 | 면역) |
~ | ~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TI:(황금 ~ 백금) |
(BioIN + Essay) : 바이오 정보를 심층적으로 조사하여 자료 제공
홈 > 지식IN > BioINsay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2화 “조직별 면역세포의 세포체 지도” 편 |
||||||||||||||||||||
---|---|---|---|---|---|---|---|---|---|---|---|---|---|---|---|---|---|---|---|---|
|
||||||||||||||||||||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2화 “조직별 면역세포의 세포체 지도” 편] 바이오로 열어가는 2035 미래사회- 제2화 “암보다 독감이 더 무서운 세상”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지난 1월에 발표한 '2019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클릭)' 에 대해서 10화의 소설을 연재하고자 합니다. 바이오 미래유망기술을 공감하고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국가생명정보기술원’ 연구원들의 동료의식은 남다르기로 유명하다. 업무량이 상상을 초월하다 보니 함께 고생하던 동료들 사이에선 친가족 이상으로 서로 돕고 아끼는 문화가 있었다. 인공지능이 발전하면서 과거엔 몇 년을 차근차근 연구해야 했던 일을 불과 몇 달 사이에 해치울 수 있게 되면서 도리어 업무량은 점점 더 많아져 갔다. 연구소 내에서 ‘기술지원단’을 총괄하고 있는 나형욱 단장도 일벌레로 유명했다. 그는 요 며칠 사이 입이 석 자는 튀어나왔다. 최근 건강검진에서 췌장암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당분간 수시로 병원을 찾아야 할 걸 생각하니 나 단장은 계속 짜증이 났다.
그의 말에 현은 어쩔 수 없이 입을 다물었다. ![]()
나 단장은 인류가 암을 정복하는데 큰 획을 그은 일등 공신으로 꼽혔다. 불과 10여년 전 만 해도 노년 이후 자연사를 제외하면 사망률 부동의 1위는 암이었다. 그러나 인체의 면역기능을 이용해 부작용 없이 암을 공격하는 ‘면역항암제’가 보편화 되면서 암은 차츰 인간의 통제 속으로 들어오기 시작했다. 나 단장은 그 단초를 제공한 인물이었다. 사람의 몸속엔 각종 장기, 피부, 혈관 등 수없이 많은 조직이 얽히고 설켜 있다. 그는 전 세계 의학, 생명과학 연구진이 달려들어도 성공하지 못했던, 각 인체 조직에 따라 최적의 항암 효과를 낼 수 있는 세포체 구조를 찾아낼 수 있는 ‘세포체 지도’를 완성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한 인물이었다. 자기 말대로 나 단장은 머리가 그리 좋은 편이 아니었다. 그러나 우직함만큼은 남달랐다. 그는 몇 년이고 포기하지 않고 매달리면서 조금씩 실험 데이터를 계속해서 쌓아 올렸다. 그가 만든 ‘인체 조직별 세포체 지도’는 누구든지 맞춤형 항암제를 개발할 때 반드시 참고해야 하는 ‘바이블’이 됐다. 각종 특효 항암제가 봇물 터지듯 시장에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 것도 그 무렵부터다.
현은 한숨을 몰아쉬면서 일단 강 단장의 방에서 물러 나왔다. 어떻게 해서든 저 고집불통 두목님을 며칠이라도 쉬도록 하고 싶었는데, 도저히 말이 통하지 않으니 속이 시커멓게 타들어 갔다. 그는 방문 앞을 나서기가 무섭게 스마트 안경을 누르며 동료이자 연인인 권하선 연구원에게 전화를 걸었다.
현은 2시간 정도 후, 단장실을 다시 찾아가 문을 두드렸다.
단장이 공항으로 출발한 날, 하선은 어이가 없다는 듯이 현에게 말했다. ![]()
현은 음흉해 보이는 표정으로 빙긋 웃었다. ![]()
삽화 : 조진호(NC문화재단) 감수 : 김태돈(한국생명공학연구원) 기획 및 편집 : 김무웅, 남연정(한국생명공학연구원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다음 이야기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9화 “플라스틱 분해 인공미생물” 편(클릭)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8화 “식물공장형 그린백신” 편(클릭)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7화 “미토콘드리아 유전체편집을 통한 대사조절기술” 편(클릭)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6화 “암 오가노이드 연계 면역세포 치료기술” 편(클릭)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5화 “광의학 치료기술” 편(클릭)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4화 “역(逆)노화성 운동모방 약물” 편(클릭)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3화 "자기조직화 다세포 구조" 편(클릭) - 지난 이야기 2019 바이오미래유망기술의 이야기 - 제1화 “DNA기록기· 분자레코딩 기술” 편(클릭)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
친구에게 이 자료를 추천하기
국내뉴스 | GC녹십자웰빙 "암악액질 신약 세포실험서 근육위축 억제" | 2021-03-09 |
국내뉴스 | 혈액검사를 통해 전이성 전립선암 진단 가능 | 2021-03-08 |
국내뉴스 | 구조 전환 DNA 기반 '맞춤형' 당칩으로 암 진단으로 빠르게 | 2021-03-05 |
국내뉴스 | 반도체 한계·난치 췌장암 극복...과학난제 해결에 도전한다 | 2021-03-05 |
국내뉴스 | NK면역세포 및 셀뱅킹, 암극복의 새로운 전략 | 2021-03-04 |
국내뉴스 | 암세포가 면역세포 공격 피하는 원리 밝혔다. | 2021-03-02 |
부처별정책 | 한국인 사망원인 1위 암 질환, K-의료 빅데이터로 극복한다. | 2021-02-26 |
국내뉴스 | 한국인 맞춤형 암 치료 위한 'K-Cancer 통합 빅데이터' 나온다 | 2021-02-26 |
국내뉴스 | 난소암 가족력 관련 새로운 위험인자 국내 연구진이 규명 | 2021-02-26 |
국내뉴스 | 한독, 담도암 환자 대상 'ABL001' 국내 임상 2상 진행 | 2021-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