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 능 | 검색식 예 |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 (기계 | machine)) |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TI:(나노 & 기계) |
ㅣ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된 문서 검색 | 예1) TI:(줄기세포 | 면역) |
~ | ~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TI:(황금 ~ 백금) |
(BioIN + Professional) : 전문가의 시각에서 집필한 보고서 제공
홈 > 지식IN > BioINpro
바이오 USA의 주요 하이라이트와 글로벌 신약개발 및 미국 맞춤의료 동향 |
||||||||||||||||||||||||||||||||||||||
---|---|---|---|---|---|---|---|---|---|---|---|---|---|---|---|---|---|---|---|---|---|---|---|---|---|---|---|---|---|---|---|---|---|---|---|---|---|---|
|
||||||||||||||||||||||||||||||||||||||
![]() 1. 개요 바이오텍과 신약개발 분야에서 가장 커다란 행사로 알려져 있으며, 매년 초여름 미국에서 개최되는 바이오 USA의 공식이름은 바이오 인터네셔널 컨벤션 (BIO International Convention)으로 행사의 계획과 진행은 Bio의 내부조직인 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이 주최하였다. 참가자는 65개국에서 17,307명으로, 참가 현황을 살펴보면 8,400개 이상의 회사와 315개의 비영리 단체 (학교와 연구소)가 참가하여 1,800여개의 부스를 설치하였고, 400여개의 세션을 통해 250여개 회사 참가자들의 발표와 더불어 800명이 넘는 연자들이 아래에 소개된 다양한 주제를 중심으로 4일간의 공식 행사기간 동안 발표 및 토론이 이뤄졌다.
매년 참석하고 있는 한국은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한국바이오협회가 KOTRA와 공동으로 주관하여 한국관을 설치하였고, 제약-바이오기업37개사가 한국의 신약사업 및 바이오 기업의 면모들 돋보였다. 글로벌 제약사를 대상으로 기술협력 및 수출 상담을 진행한 활동상은 신문 지상과 웹을 통해 소개된 내용을 참고 바란다.
장소는 2만 명에 가까운 참가자의 행사 규모에 적합한 필라델피아의 컨벤션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제한된 공식일정 기간 내에 대규모 참가자들의 다양한 관심 분야를 반영하기 위해 모든 세션들이 동시 다발적인 방식으로 구성되어 진행 되었다. 발표 방식은 강의보다는 세션의 주제에 따른 핵심 논점을 중심으로 초대된 패널리스트의 토론 방식으로 이뤄졌다. 동시 다발적으로 진행된 일정과 토론형식의 비정형화된 내용으로 인해, 모든 일정의 참여가 불가능하여 컨퍼런스의 내용을 섭렵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는 것이 참가자들의 일반적인 의견이었으며, 이에 본 리포트가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별도의 주제로 BIO USA기간 중 발표된 신생 제약업체의 트렌드를 포함하였고, 2018년 FDA신약 인증의 42%를 차지한 맞춤형 유전자 치료제를 계기로 미국의 맞춤의학의 동향을 살펴보았으며, 맞춤의료 실현을 위해 디지털 헬스케어시스템으로 전환하고 있는 미국의 현황, 맞춤의료 관련 정책·규제 개선 상황을 소개하였다. 결론 부분에는 한국의 생명공학 기초 인프라 구축 및 산업화 전략을 통한 미래 경쟁력 기반 확보를 위해 반영할 수 있는 시사점과 정부의 역할에 대해 조명하였다.
2. 세션 별 주제와 하이라이트
세션의 구성은 아래의 표1과 같이 18개의 주제별로 이뤄졌으며 각 세션의 주제별 상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다
표1. 세션의 구성과 각세션의 핵심 내용
1) Biofuels and Renewable Chemical
*바이오 USA의 키노트에서 언급된 새로운 관심의 주제로 포함
- 바이오매스 (biomass) 기반의 화학물 분리 및 정제 기술의 장벽: 20세기의 상당한 기간 동안 화학물질의 정제·농축 기술의 완성도를 이루기 위해 많은 노력이 투자되었다. 천연가스의 의존도를 점차 줄여나가기 위한 목적으로 도입한 바이오매스 (biomass)를 활용한 재생 가능한 에너지 생산의 실용화 기술 개발부분에서 정제과정 중에 요구되는 고열량·고에너지의 요구도가 장벽이 되고 있다. 낮은 에너지, 낮은 온도에서 가능한 분리·정제 기술에 중점을 두어 에너지 및 경비의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나 빠른 진전이 어려운 상황임.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한 토론
- Nutrition and Wellness from Industrial Biotech Innovation: 재활용 에너지 산업을 통해 기대되는 새로운 자연화학 물질을 기반으로
...................(계속)
* 로그인 하셔야 자세한 정보를 모두 보실 수 있습니다. |
친구에게 이 자료를 추천하기
산업동향 | [보건산업브리프 Vol.322]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보험 적용과 비즈니스 모델 동향 | 2021-02-22 |
국내뉴스 | 디지털 헬스케어, 수가 시스템 정립 필요하다 | 2021-01-29 |
산업동향 | [글로벌ICT이슈] 디지털 헬스케어의 성장과 온라인 피트니스 | 2020-12-30 |
기술동향 | 언택트(Untact) 시대와 디지털 헬스케어 | 2020-11-30 |
행사/교육 | 글로벌 신약개발 기업 육성을 위한 국가 정책 및 민간투자 방향 | 2020-10-29 |
국내뉴스 | 글로벌 신약개발, 끊임없는 탐구와 점검 필요한 이유는? | 2020-10-20 |
정책동향 | '팬데믹에 대응하기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혁신' 등 - Future Horizon + : 2020. 제3호/제4호 (제46호) | 2020-09-07 |
기술동향 |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동향 | 2020-08-12 |
국내뉴스 | `디지털 헬스케어` 외치는 한국‥그리고 필요한 '한 방' | 2020-08-11 |
부처별정책 | 디지털 헬스케어를 차세대 유망 서비스 수출산업으로 육성! | 2020-07-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