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2021년 베트남 제약 산업 정보

  • 등록일2021-09-30
  • 조회수424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의약


2021년 베트남 제약 산업 정보


◈목차


가. 산업특성

나. 산업수급현황

다. 진출전략


◈본문

 

가. 산업 특성
 
정책 및 목표
 
베트남 정부는 2020년까지의 단기 목표로 1) 적절한 타이밍에 의약품을 100% 공급하기, 2) 내수 의약품 80% 생산으로 잡았다. 2030년까지 장기적인 목표는 의약품 생산 허브로 발돋움 하기, 백신 생산 설비 마련하기, 제약산업을 베트남의 기간 산업으로 성장시키기 등이다. 베트남은 ‘2030년을 향한 2020년 국가 제약 산업 발전전략’에 따라 1) 국가 의료보험 수급률 향상, 2) 고품질 의약품 수급 개선, 3) 지역산업 개발 등 세 가지를 주요 발전전략으로 삼고 있다. 각 발전전략의 세부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국가 의료보험 수급률 향상 및 의료보험 지출액 증가
 
베트남은 2020년까지 국가의료보험 수급자를 전체 인구의 90%, 2025년까지 95%로 향상시킬 계획이다. 2018년 기준 베트남의 의료보험 총지출액은 14억 달러로 GDP 대비 의료보험 총 지출액 비율은 5.9%에 달하며, 이 수치는 동남아시아 주변국인 말레이시아(4%), 싱가포르(4.5%), 태국(2.7%) 등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그러나 베트남의 1인당 의료보험 총지출액은 149달러로 말레이시아(453달러), 태국(271달러), 싱가포르(3,244달러)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베트남은 2025년까지 1인당 의료보험 지출액을 149달러에서 219달러까지, 약 46% 가량 증대시킬 계획이다.
 
의료보험 지출 규모 및 GDP대비 의료보험 총지출액 비율 비교(2018) (단위: US$ 십억)
  

1.png

자료: KPMG, Business Monitor International
 
2) 베트남의 국립 보건 프로그램 – 고품질의 의약품 보급사업
 
베트남 정부는 고품질의 보급형 의약품을 베트남 소비자에게 용이하게 공급하고자 각 국의 보건관련 기구와 해외 유수의 제약업체 및 대학과 연구기관 등과 협력하고 있다.
 
2.png
자료: KPMG
 
3) 지역산업 개발(의료인력 육성)
 
베트남 정부는 지역 제약산업 개발 및 의료 시스템 구축 정책의 일환으로 국제기구, 대학, 다국적 제약사와 협력을 도모하여 국내 의료진 육성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베트남은 2015년 7월 17일자로 보건부 결정서(2992/QD-BYT)에 따라 질병 예방 및 치료 인력 육성 계획을 세우고 관련 부처 및 민간기업의 협업하 각종 의료진 교육 프로그램을 추진하였다.
 

3.png

자료: KPMG
 
베트남 의약품 수입 및 관련 규정
 
2017년 5월 8일자 보건부 의약품 관리규정(54/2017/ND-CP)에 따르면 베트남 내 외국 기업의 경우 의약품의 수입은 가능하나 의약품을 현지에서 직접 유통하는 것은 불가하다. 따라서 해외 제약기업은 베트남 내수용 의약품을 유통하기 위해 현지 제약회사를 인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