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2021년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8개 주요 차트
- 등록일2022-01-04
- 조회수4568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발간일
2021-12-31
-
키워드
#코로나19#백신#covid-19#vaccines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1-92
2021년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8개 주요 차트
◇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역사에 기록될 정도로 최단 기간에 백신 개발에 성공. 최근 Nature에서는 2021년 전 세계적으로 큰 영향을 미친 코로나19 백신에 대한 8개 차트를 제시
▸주요 출처 : Nature News, How COVID vaccines shaped 2021 in eight powerful charts, 2021.12.16
▣ 전 세계 44억 명 이상 접종이 완료된 코로나19 백신은 2021년 과학 및 연구 분야에서 가장 돋보이는 성과로 평가
○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 등 8대* 주요 코로나19 백신은 2020년 중반까지 100억 회분, 2021년에는 85억 회분이 생산
* 옥스퍼드대-아스트라제네카, CoronaVac, 화이자-바이오엔텍, 시노팜, 모더나, 존슨앤존슨. 스푸트닉 V, Bharat Biotech
< ① 코로나19 백신 주요 제조사의 생산량 비교(2021.12.14 기준) >
출처 : Nature News, How COVID vaccines shaped 2021 in eight powerful charts, 2021.12.16.
▣ 역사상 기록적인 최단 기간의 백신 개발 속도를 주목받았으며, 23종의 백신이 이미 전 세계적으로 사용 승인을 획득
○ 대부분의 백신은 수년에서 수십 년의 개발 기간이 걸렸으나, 코로나19 백신은 1년 이내 개발
※ 신속한 코로나19 백신 개발 및 배포로 미국과 유럽에서만 최소 750,000명의 생명을 구한 것으로 추정
< ② 감염병 백신개발 속도(2021.12.14 기준) >
출처 : Nature News, How COVID vaccines shaped 2021 in eight powerful charts, 2021.12.16.
▣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백신의 놀라운 성공에도 불구하고 백신이 전 세계적으로 공평하게 배분되지 못한 점도 언급
○ 평균적으로 고소득 국가에서는 해당 인구의 83%가 한 번 이상 주사를 맞았지만 저소득 국가에서는 21%로 하락
- 고소득 국가에서 수요가 감소하기 시작하면 저소득 국가에 공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었지만 현재 고소득 국가에서 부스터를 위해 백신을 관리하면서 저소득 국가에로의 백신 배분이 어려운 상황
- 격차는 국가 간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 내에서도 존재하는데, 미국의 한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편부모 또는 장애가 있는 사람들이 많은 지역에서 접종율이 더 낮다는 사실을 발견
< ③ 국가별 백신 접종 비교(2021.11.29 기준) >
출처 : Nature News, How COVID vaccines shaped 2021 in eight powerful charts, 2021.12.16.
▣ 2021년은 ‘백신의 해’이면서 또한 ‘변이의 해’라고 할 만큼 코로나19 바이러스의 다양한 변이가 발견
○ 과학자들은 2020년 말과 2021년 초에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알파, 베타 및 감마 3가지의 '우려 변이'를 확인(단, 오미크론은 아직 반영되지 않음)
- 코로나19 바이러스는 이전의 다른 바이러스 계통보다 변이가 더 빨리 퍼지는 것으로 파악되며, 과학자들은 이러한 변이가 백신의 효과를 약화시킬 수도 있다고 우려
- 이러한 도전에도 불구하고 많은 데이터를 통해 백신은 중증도 진행을 막는데 잘 작동하고 있다고 백신의 중요성을 강조
< ➃ 바이러스 변이에 대한 백신별 효과(2021.11.25 기준) >
출처 : Nature News, How COVID vaccines shaped 2021 in eight powerful charts, 2021.12.16
▣ 그러나 백신 접종을 빨리 시작한 국가에서 델타 등 우려 변이 바이러스 발생에 대해 면역약화(Waning immunity) 현상이 발생
○ 백신 접종을 빠르게 시작한 이스라엘, 미국 및 영국과 같은 국가에서는 백신 접종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능이 저하되는 징후가 보고
- 11월 말에 우려 변이로 지정되어 빠르게 확산 중인 오미크론은 2번의 백신을 접종받은 경우에도 백신 보호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조사
※ 남아프리카, 독일, 스웨덴의 팀과 Pfizer-BioNTech의 공동연구 예비결과,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 기존의 코로나19 백신이 제공하는 보호가 약해지나, 부스터 접종이 백신 효과를 70% 이상 회복시키는 것으로 파악
관련논문 : medRxiv, Reduced Neutralization of SARS-CoV-2 Omicron Variant by Vaccine Sera and Monoclonal Antibodies, 2021.12.7
< ➄ 시간 경과에 따른 주요 백신별 효과(2021.11.25 기준) >
출처 : Nature News, How COVID vaccines shaped 2021 in eight powerful charts, 2021.12.16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승인된 23개 백신 외에 300개 이상의 백신이 개발 진행 중으로, 이 중 40개가 임상 3상에 돌입
○ 세계 인구의 절반에 조금 못 미치는 사람들이 여전히 코로나19 백신의 첫 번째 접종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에서 전 세계 연구자들은 300개 이상의 새로운 백신을 개발 중
- 이중 약 200개는 아직 실험실 및 동물 실험 단계이며, 40개가 임상 3상 시험을 진행 중
< ⑥ 현재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단계별 현황(2021.12.1 기준) >
출처 : Nature News, How COVID vaccines shaped 2021 in eight powerful charts, 2021.12.16.
▣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대응 외에도 어린이에 대한 백신 접종이 현재 확산세를 통제하는데 관건일 것으로 전망
○ 2021년 전염성이 높은 델타 변이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어린이 감염 사례가 급격히 증가
- 10월 말 이후 모든 연령대의 코로나19 확진 사례 중 어린이가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 미국 FDA는 5∼11세 어린이 약 2,800만 명을 대상으로 화이자-바이오엔텍의 백신을 승인
※ 11월 초 이후 500만 명 이상의 어린이들이 백신 접종을 받았고, 변이 발생 유무에 따른 시나리오 모델링 연구에 따르면 어린이 백신 접종의 이점이 분명함을 확인
- 어린이에 대한 광범위한 예방 접종은 해당 연령대의 중증 사례를 제한하고 바이러스의 확산을 통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
< ⑦ 백신 접종에 따른 어린이의 백신 효과 비교 >
출처 : Nature News, How COVID vaccines shaped 2021 in eight powerful charts, 2021.12.16.
▣ 2021년 발표된 백신 관련 전체 논문의 절반을 차지할 정도로 과학자들은 지난 1년 동안 코로나19 백신 관련 연구 논문을 매우 많이 발표
○ Nature에 따르면 코로나19 또는 SARS-CoV-2를 언급하는 백신에 관한 논문은 지난해 초부터 최소 15,000건이 발표되었으며, 그 중 11,000건 이상이 2021년에 발표
< ⑧ 코로나19 백신 개발 관련 논문 증가 현황(2021.11.24 기준) >
출처 : Nature News, How COVID vaccines shaped 2021 in eight powerful charts, 2021.12.16.
▣ 과학자들은 백신이 인류의 생명을 구하고 일상적인 삶을 회복시켜 활력을 불어넣는 데 도움이 될 것임을 강조
○ 또한 2022년과 그 이후 오미크론과 같은 새로운 변이 바이러스 발생 등 코로나19 팬데믹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3가지 과제가 남아있다고 언급
- ① 저소득 국가에 얼마나 빨리 백신을 제공하고, ② 면역이 약화되는 인구에 부스터를 투여하고, ③ 어린이에게 백신을 접종하는지에 달려 있음을 시사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