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산업동향

日 플라스틱 관련 신규 법 제정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재료 사라진다

  • 등록일2022-06-10
  • 조회수3441
  • 분류산업동향 > 제품 > 바이오환경

日 플라스틱 관련 신규 법 제정으로 일회용 플라스틱 재료 사라진다


◈목차

플라스틱자원환경순환법 개요

법 시행에 따른 기업별 대응

편의점, 유료화는 피하는 중

바이오매스 플라스틱의 도입

시사점

 


◈본문


│플라스틱자원환경순환법 시행에 따른 기업의 대응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은 바이오매스 소재로 변환 추세


플라스틱자원환경순환법 개요


2022년 4월 1일부터 일본에서는 플라스틱자원환경순환법이 시행됨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을 환경친화적인 제품으로 바꾸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번 법률이 시행되기 전에 대기업 카페 및 슈퍼마켓 체인점에서는 종이 빨대 도입 및 비닐 봉투 유료화 등 환경을 고려한 정책을 도입해왔다. 이번에 법이 시행되면서 일반소비자는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이 유료화 되거나 철폐되는 것을 예상했다. 그러나 시행 후 1개월이 지난 지금도 소비자들은 큰 변화를 느끼지 못하는 상황인데, 많은 기업들이 보이지 않는 노력과 함께 ‘환경을 고려한 일회용 제품’을 도입했기 때문이다. 탈플라스틱 법이라고도 불리는 이 법안은, 대상 기업과 제품에 대해 플라스틱 외 소재를 사용한 제품으로 변경하거나 플라스틱 제품을 유료화하는 것을 요구하고 있다.


주*: 해당 법률에 관련된 내용은 아래 표 또는 별도 기사 참고(일본 소비자, 탈 플라스틱 사회를 위해 ‘먹을 수 있는 식기’에 주목)


<플라스틱에 관한 자원순환 촉진 등에 관한 법률>

<플라스틱에 관한 자원순환 촉진 등에 관한 법률>

[자료: Business Insider Japan, kotra 나고야 무역관 정리]


법 시행에 따른 기업별 대응


ㅇ 편의점(세븐일레븐)


주식회사 세븐일레븐 재팬은 식물성(바이오매스) 소재를 30% 배합한 스푼과 포크 등 환경친화적인 커틀러리를 4월 1일(금)부터 순차적으로 전국에 도입했다. 세븐일레븐에서는 지금까지 선행적으로 오키나와현 내의 전 점포에 바이오매스 소재를 30% 배합한 커틀러리를 도입해왔다. 이번 법률을 시행으로 고객에게 커틀러리류의 필요·불요 의사확인을 강화함과 동시에 오키나와현에 도입 중인 커틀러리를 전국 점포에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통해 화학 소재 플라스틱을 30% 삭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4월 1일부터 수도권 약 500개 점포에 도입을 개시하고 이번 여름까지 전국에 확대할 예정이라고 한다.


<식물(바이오매스) 소재 30% 함유한 스푼 및 포>

<식물성(바이오매스) 소재 30% 함유한 스푼 및 포크>

[자료: 세븐일레븐 재팬]


편의점, 유료화는 피하는 중


인터넷 상에는 편의점 스푼과 포크의 유료화에 관련된 소문도 퍼지고 있으나, 각 편의점에서 유료화는 피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각 편의점의 일회용 스푼, 포크 제품 취급 현황>

세븐일레븐

 - 식물성 소재 30% 배합 스푼 및 포크 수도권 500개 점포에 도입

 - 올해 여름까지 전국 도입 예정

패밀리마트 

 - 스푼, 포크의 쥐는 부분에 구멍을 뚫은 제품이나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품을 각 점포에 선택적 도입

 - 구멍이 뚫려 있는 제품으로 경량화를 꾀하며 연간 약 87톤의 플라스틱 감소효과가 기대됨.

 - 생분해성 제품 또는 바이오매스 5% 배합 제품은 각 점포에 선택적 도입

로손

 -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스푼, 포크를 도입. 스푼은 목제도 선택 가능 

 - 2022년 상반기 중에 전 점포에 도입하는 것이 목표

 - 연간 약 67톤의 플라스틱 사용량 감소 예상


ㅇ 음식점(교자전문점 “GYOZA OHSHO” )


4월 1일부터 전국 731개의 점포에서 테이크아웃 스푼과 렌게(수저의 일종)를 1개당 5엔에 판매한다. 또한 빨대를 종이제품으로 교체하고 있다. 무료로 제공되던 것이 유료가 되면서 소비가 감소할 수 있다는 위험도 있으나 유료화는 지구환경보전의 관점에서 이해해주기를 소비자에게 요구하고 있다. 이 체인점에서는 이미 3년 전부터 스푼 소재 일부를 식물성 소재를 사용하는 등의 노력이 행해지고 있다.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관련정보

자료 추천하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메일 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