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INwatch
(BioIN + Issue + watch) : 바이오 이슈를 빠르게 포착하여 정보 제공미국 BIO, 항생제 개발 촉진 방안 제안
- 등록일2022-06-20
- 조회수4106
- 분류레드바이오 > 의약기술
-
발간일
2022-06-14
-
키워드
#항생제#FDA#승인#파이프라인
- 첨부파일
-
차트+
?
차트+ 도움말
BioINwatch(BioIN+Issue+Watch): 22-41
미국 BIO, 항생제 개발 촉진 방안 제안
◇ 항생제 내성의 위협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규 항생제 개발은 더딘 상황. 최근 미국 바이오혁신기구(BIO)에서 항생제 개발의 역사, 임상시험 현황 및 투자 동향 등을 분석하여 혁신적인 항생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초기 및 후기 단계 투자 강화, 규제 인센티브 및 승인 후 시장 인센티브)을 제안
▸주요 출처 : Biotechnology Innovation Organization(BIO), The State of Innovation in Antibacterial Therapeutics, 2022.2
▣ 최근 미국 바이오혁신기구(BIO)는 항생제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미국 내 항생제 개발 및 투자 현황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20세기 항생제(Antibacterial drug)의 발견과 개발은 의사가 사용할 수 있는 가장 위대한 무기 중 하나로, 이 기간 모든 항생제의 90% 이상이 발견
- 1940년대 수많은 항생제 계열이 도입된 이후로 세균 감염에 인한 사망이 큰 폭으로 감소
- 그러나 최근 들어 항생제 효과가 낮아지는 도전 상황에 직면. 특히, 코로나19 대유행은 약물 내성 박테리아 균주에 관한 관심을 야기
※ 전 세계적으로 매년 120만 명 이상이 항생제 내성 감염으로 사망하고 있으며 2050년까지 연간 1,0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
- 이미 10여 년 전부터 CDC, EMEA, WHO, IDSA, Pew 등은 감소한 항생제 효과에 대해 공공 정책 입안자들에 경고. 현재 치료 가능한 수백만 개의 감염이 항생제 효과 감소로 향후 수십 년 이내에 다시 생명을 위협할 것으로 예측
※ CDC, 2019 Antibiotic Resistance Threats Report 등
○ 항생제 내성균이 전 세계 공중보건에 심각한 위협이 될 것으로 경고하고 있으나,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신규 항생제 개발은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는 상황
- BIO에서는 새로운 항생제 개발을 촉구하기 위해 최근 항생제 개발에 대한 투자 및 임상 파이프라인 등을 분석한 보고서를 발표
- 동 보고서에서는 1910년 최초의 항생제인 Salvasaran이 출시된 이후 미국 FDA에서 승인된 모든 항생제를 분석하였으며, 최근 10년간의 투자 및 임상 단계별 개발 현황 등을 다른 치료영역(암 분야)과 비교 분석
▣ 1900년 이후 FDA 승인된 항생제는 총 164개이며, 최근 35년간 신규 타겟으로 승인된 항생제는 단 1개뿐
○ 1900년 이후 FDA 승인을 받은 직접 작용(direct-acting) 신규 화학물질에 기반한 항생제는 164개이며, 11개가 간접 작용(indirect-acting) 항생제로 승인
- 간접 작용 항생제는 기존 항생제(예 : lactamase inhibitors)의 반감기를 연장하기 위한 조합으로 작용하거나 exotoxins에 대한 항체로 작용
※ 이 분석에서 제외된 미국 이외 지역에서 승인된 28개의 직접 작용 항생제가 있음. 이 중 1개를 제외하고는 모두 미국에서 승인된 것과 동일한 접근 방식으로 작용
○ 신규 항생제 승인은 1950∼1999년 사이 연간 20건 이상의 활발한 추세를 보였으나, 2000년 이후 주춤한 상태
- 새로운 타겟으로 승인받은 항생제는 총 21건이며, 2000년 이후에는 단 1건*
* 2012년 ATP 합성효소 저해제 Bedaquiline이 결핵 감염에 대한 FDA 승인을 획득. 1987년 Mupirocin(isoleucyl-tRNA synthetase inhibitor)이 신규 표적 신약으로 승인된 이후 처음으로 승인됨
< 1900∼2019년 미국 FDA 항생제 승인 현황 >
출처 : BIO, The State of Innovation in Antibacterial Therapeutics, 2022.2
○ 직접 작용 항생제의 작용 기전은 9개 전략으로 4개 그룹으로 구분
- 첫 번째 그룹은 ① 세포벽 또는 ② 세포막의 합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사용, 승인된 항생제의 43%를 차지하는 핵심적인 접근 방식
- 두 번째 그룹은 센터럴 도그마(Central dogma : DNA의 유전정보는 RNA를 거쳐 단백질로 전달)를 목표로 ③ DNA 합성, ④ RNA 합성, ⑤ 단백질 합성을 방해
※ 이중 단백질 합성, 특히 ribosome을 타겟으로 하는 접근 방식이 가장 많음
...................(계속)
☞ 자세한 내용은 내용바로가기 또는 첨부파일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지식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