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

[24.05.27 월] 간단한 새로운 전략으로 CRISPR 유전자 편집의 안전성과 정확성 향상

  • 등록일시2024-05-27 11:14
  • 조회수442
  • 분류 BT종합
  • 출처
    SciTechDaily 외
  • 키워드
    #CRISPR 유전자 편집 #인공 코 #암 바이러스 면역요법 #바이오마커
  • 첨부파일

1. Scitechdaily

Simple New Strategy Improves Safety and Precision of CRISPR Gene Editing

간단한 새로운 전략으로 CRISPR 유전자 편집의 안전성과 정확성 향상

 

현재의 CRISPR 유전자 편집은 DNA 손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이에 과학자들은 CRISPR 유전자 편집의 안전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이 연구는 유전 질환 치료를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만드는 중요한 발전을 나타냅니다.

 

2. Medical X press

Combining human olfactory receptors with artificial organic synapses and a neural network to sniff out cancer

인간 후각 수용체와 인공 유기 시냅스 및 신경망을 결합하여 암 탐지

 

서울대학교의 연구진들은 인공 코를 만들 수 있는 장치를 개발했습니다이 장치는 공기 샘플에서 특정 단쇄 지방산을 감지할 수 있으며연구팀은 더 많은 수용체를 추가하여 연구를 확장할 계획입니다.

 

3. Eurekalert

New advances in cancer viral immunotherapy

암 바이러스 면역요법의 새로운 발전

 

연구진들은 종양 세포에서 면역원성 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종의 백시니아 바이러스를 개발했습니다이 새로운 바이러스 균주의 발견은 바이러스 면역요법 연구의 상당한 발전을 의미하며 암 환자 치료에 대한 치료 잠재력을 보여줍니다.

 

4. Phys

New study discovers tiny target on RNA to short-circuit inflammation

새로운 연구에서 염증을 단락시키는 RNA의 작은 표적 발견

 

연구진들은 CRISPR 기술을 사용하여 염증을 조절하고 관절염 및 루푸스와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했습니다발견된 새로운 펩타이드는 염증을 조절하는데 관여하며이는 향후 질병 치료에 대한 중요한 표적이 될 수 있습니다.

 

5. Medical X press

New technique detects novel biomarkers for kidney diseases with nephrotic syndrome

신증후군을 동반한 신장 질환에 대한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검출하는 새로운 기술

항네프린 자가항체는 신장 질환의 환자에서 발견될 확률이 높습니다연구진들은 이 점을 이용해 항네프린 자가항체를 검출하여 질병을 진단할 수 있는 면역침전법과 효소 결합 면역흡착 분석법(ELISA)을 결합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도입했습니다.

 

6. Medical X press

New mechanism of immune evasion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fers potential for improved treatment

편평 세포 암종에서 면역 회피의 새로운 메커니즘은 향상된 치료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연구팀은 마스터 조절 전사 인자-TP63가 종양의 면역 회피를 촉진하고 항종양 면역요법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이 연구는 편평 세포암 종양의 면역요법에 대한 새로운 치료 방법을 찾는 데에 도움을 주었습니다.

 

7. Neuroscience

Maternal Immune Response Affects Fetal Brain Development

산모의 면역 반응이 태아의 뇌 발달에 영향을 미침

 

임신 중 면역 반응은 생쥐 배아의 뇌 발달에서 유전자 조절을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연구자들은 모체의 면역 반응이 주변 뉴런에 영향을 미치는 뇌 세포인 소교세포에 의해 감지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8. Science

Does sleep really clean the brain? Maybe not, new paper argues

잠을 자면 정말 뇌가 깨끗해질까어쩌면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새로운 논문이 주장함

 

최근 연구에서 쥐의 뇌는 깨어 있는 동안 더 효율적으로 염료 분자를 제거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하지만 이 결과는 뇌에서 노폐물과 독소를 씻어내는 정화작용 속도를 늦출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9. Sciencedirect

Microfluidics Enhanced Biosensor Technology for Advancing Food Safety Monitoring

식품 안전 모니터링 발전을 위한 미세유체 강화 바이오센서 기술

 

식품 안전 관리를 위한 미세유체 강화 바이오센서 기술은 미세유체 기술의 특성을 활용하여 식품 오염물질을 감지하는데 사용됩니다이러한 기술은 식품 안전 모니터링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장치 및 기술의 개발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0. Medical X press

Possible association between tattoos and lymphoma revealed

문신이 림프종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11,905명의 참가자를 대상으로 진행된 실험에서 림프종 진단을 받은 그룹 중 문신을 한 사람들의 비율이 대조군보다 높았습니다이러한 연구 결과는 문신이 림프종 발생 위험을 약 21% 더 높게 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문신이 림프종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뜻합니다.


11. News-medical

Increased risk of erectile dysfunction with semaglutide in non-diabetic obese patients

당뇨병이 없는 비만 환자에서 세마글루타이드 사용 시 발기부전 위험 증가

 

세마글루티드는 제2형 당뇨병(T2D)과 비만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입니다연구진이 당뇨병이 없는 남성의 성기능 장애와 약물의 관련성을 연구한 결과 당뇨병이 없는 비만 환자에게 세마글루타이드 사용 시 발기부전의 위험이 증가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12. Medical X press

Genetic cause of rare childhood immune disorders discovered

희귀 소아 면역질환의 유전적 원인 발견

 

중증복합면역결핍증과 오멘 증후군은 어린이에게 감염에 대한 면역 방어력이 전혀 없이 태어나게 할 수 있는 유전 질환입니다연구진들은 이 유전 질환이 NUDCD3 유전자 돌연변이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13. Phys

Observing mammalian cells with superfast soft X-rays

초고속 소프트 X선으로 포유류 세포 관찰

 

연구팀이 살아 있는 포유류 세포를 볼 수 있는 새로운 연X선 현미경을 개발했습니다이 현미경은 연X선 자유 전자 레이저를 사용하여 초고속 조명 펄스를 방출하고 세련된 월터 거울을 사용하여 세포의 탄소 기반 구조를 촬영합니다기술은 세포 생물학의 역동적인 특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사용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14. Eurekalert

New approach to Epstein-Barr virus and resulting diseases

Epstein-Barr 바이러스 및 그에 따른 질병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

 

연구진은 Epstein-Barr 바이러스(EBV)에 감염된 세포에서의 특정 대사 경로를 억제하여 잠복 감염을 줄일 수 있음을 발견했습니다이러한 발견은 이식 후 림프종과 같은 EBV 관련 질병의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5. Scitechdaily

Alarming 500% Surge: Colorectal Cancer Rates Skyrocket Among U.S. Youths

놀라운 500% 급증미국 청소년 사이에서 대장암 비율이 급등함

 

지난 20년 동안 미국 청소년 사이에서 대장암 발병률이 눈에 띄게 증가했습니다이는 유전적 요인과 생활 방식 요인의 영향을 받아 인식 제고와 맞춤형 예방 조치의 필요성이 강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