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

[24.11.26 화] 과학자들이 단 두 개의 지질만으로 '최소한의 세포막'을 만들어내다

  • 등록일시2024-11-26 10:56
  • 조회수335
  • 분류 BT종합
  • 출처
    Phys 외
  • 키워드
    #과학자 #지질 #세포막 #최소한
  • 첨부파일

 


[24.11.26] 국외뉴스 현황

 

 

1. Phys

Exploring life at its simplest: Scientists create a 'minimal cell membrane' with just two lipids

과학자들이 단 두 개의 지질만으로 '최소한의 세포막'을 만들어내다

 

지질은 세포 주위의 막을 형성하여 외부로부터 세포를 보호합니다자연에는 지질의 엄청난 다양성이 있으며각 유기체는 고유한 조합을 가지고 있습니다하지만 세포가 생존하기 위한 최소 지질 요구 사항은 무엇일까요연구자들은 최소한의 적응성 있는 막을 가진 세포를 만들어 지질 복잡성이 어떻게 진화했는지합성 생명체를 위해 어떻게 조작할 수 있는지 연구할 수 있는 독특한 플랫폼을 제공했습니다.

 

2. GEN

Repair Proteins Collaborate in “Hubs” to Repair DNA Damage

복구 단백질은 DNA 손상을 복구하기 위해 "허브"에서 협력한다

 

DNA 손상 복구는 세포 생존과 게놈 안정성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Hubrecht Institute 연구는 복구 단백질이 "허브"에서 협력해 손상을 복구하는 방식을 밝혔습니다단일 세포 분석을 통해 DNA 손상 부위에서 단백질들이 조직적으로 작용하는 메커니즘을 확인했습니다.

 

3. ScienceDaily

Hunger hormone leptin can direct neural development in a leptin receptor -independent manner

배고픔 호르몬인 렙틴은 렙틴 수용체와 무관하게 신경 발달을 지시할 수 있다

 

밴더빌트 대학교 의대 기초과학부 연구원들이 시상하부 신경 회로의 활동 의존적 발달에 대한 첫 번째 사례를 발견했습니다이전 연구에서 호르몬 렙틴이 렙틴 수용체를 통해 배고픔 신경 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신경 회로 발달을 촉진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렙틴 수용체를 발현하지 않는 특정 신경 세포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활동에 민감합니다.


4. Medical X press

Researchers identify a novel genetic cause of mitochondrial DNA depletion syndrome

연구원들은 미토콘드리아 DNA 고갈 증후군의 새로운 유전적 원인을 식별했다

 

미토콘드리아 DNA 고갈 증후군(MTDPS)은 미토콘드리아 DNA(mtDNA)의 현저한 감소를 특징으로 하는 희귀 유전적 질환입니다이 질환은 근육 약화피로신경학적 문제를 포함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특히 간뇌 MTDPS의 경우 간과 뇌에 영향을 미칩니다가장 흔한 유형의 대사 장애 중 일부를 나타내는 미토콘드리아 질환은 여러 장기 시스템의 기능 부전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5. NeuroScience

New Platform Overcomes Blood-Brain Barrier for Drug Delivery

새로운 플랫폼약물 전달을 위한 혈액-뇌 장벽 극복

 

연구자들은 혈액-뇌 장벽의 과제를 극복하여 뇌에 큰 치료 분자를 전달하는 획기적인 시스템을 개발했습니다혁신적인 혈액-뇌 장벽 교차 접합체(BCC) 플랫폼은 γ-secretase-매개 트랜스사이토시스라는 생물학적 과정을 활용하여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 및 단백질과 같은 약물을 정맥 주사를 통해 중추 신경계로 안전하게 운반합니다.

 

6. Scitechdaily

NASA Uncovers RNA Twist That Could Redefine Life’s Origin Story

NASA, 생명의 기원 이야기를 재정의할 수 있는 RNA 트위스트 발견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생명 구조에 중요한 분자의 키랄성은 이전에 생각했던 것처럼 초기 지구에서는 고정되어 있지 않았을 수 있으며이는 생명의 기원이 더 다재다능하고 적응력이 강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UCLA 연구원들의 새로운 논문과나사(NASA)'의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는 생명의 신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합니다.

 

7. Phys

New mechanism in bacterial DNA enzyme opens pathways for antibiotic development

박테리아 DNA 효소의 새로운 메커니즘이 항생제 개발 경로를 열어

 

더럼 대학교야기에우로니아 대학교(폴란드및 존 이네스 센터의 연구자들은 필수적인 박테리아 효소이자 주요 항생제 표적인 DNA 자이라제를 이해하는 데 획기적인 진전을 이루었습니다박테리아에는 존재하지만 인간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이 효소는 박테리아 생존에 필요한 과정인 DNA 초나선화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8. Scitechdaily

DNA’s Hidden Complexity: New Research Challenges Long-Held Beliefs About Gene Switches

DNA의 숨겨진 복잡성새로운 연구유전자 스위치에 대한 오랜 믿음에 도전

 

본 대학과 뮌헨 LMU 연구는 인핸서가 독립적으로 작동한다는 기존 가정을 뒤집으며게놈 조절 시퀀스가 얽혀 있는 복잡한 구조임을 밝혔습니다초파리 실험을 통해 인핸서 돌연변이가 특정 유전자 활동뿐만 아니라 진화적 변화에 더 광범위한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9. ScienceDaily

Self-assembling proteins can be used for higher performance, more sustainable skincare products

자가조립 단백질은 더 높은 성능과 지속 가능한 스킨케어 제품에 사용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지속 가능하고 고성능 개인용 스킨케어 제품(PSCP)의 잠재적인 성분으로 새로운 단백질 기반 젤을 만들었습니다. Q5라는 이름의 이 단백질 기반 소재는 PSCP의 유동학적(또는 흐름 관련특성을 변형하여 인간 피부의 약산성 조건에서 더 안정적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이 혁신은 또한 더 친환경적인 스킨케어 제품의 생성을 간소화하여 윤리적으로 공급된 성분에 대한 시장 수요를 충족하는 동시에 효능과 내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10. Phys

Keeping a cell's nucleolus compact may be key to fighting aging

세포의 핵소체를 컴팩트하게 유지하는 것이 노화와 싸우는 데 중요할 수 있다

 

Weill Cornell Medicine 연구원에 따르면세포 젊음의 비결은 세포핵 내부의 응축된 구조인 핵소체를 작게 유지하는 데 달려 있을 수 있습니다이 발견은 빵과 맥주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세포 수준에서는 놀랍게도 인간과 유사한 모델 유기체인 효모에서 밝혀졌습니다.

 

11. News-Medical

Study reveals the secret to cellular youth may lie in nucleolus size

연구에 따르면 세포 젊음의 비결은 핵소체 크기에 있을 수 있다고 한다

 

연구원에 따르면세포 젊음의 비결은 세포핵 내부의 응축된 구조인 핵소체를 작게 유지하는 데 달려 있을 수 있습니다이 발견은 빵과 맥주를 만드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세포 수준에서는 놀랍게도 인간과 유사한 모델 유기체인 효모에서 밝혀졌습니다이 연구는 인간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새로운 장수 치료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또한 세포가 죽기 전에 얼마나 남았는지 보여주는 사망 타이머도 확립합니다.


12. ScienceDaily

Innovative approach maps gene activity in the living human brain

혁신적인 접근 방식으로 살아있는 인간 뇌의 유전자 활동을 매핑한다

 

아일랜드 FutureNeuro 연구 센터와 국제 팀은 침습적 샘플 없이 살아있는 인간 뇌의 유전자 활동을 분석하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이는 간질 등 신경계 질환 연구와 치료를 혁신할 수 있으며뇌의 전기적 활동과 유전자 데이터를 통합해 수술 정확도를 높이고알츠하이머병 등에도 활용될 전망입니다.

 

13. Nature

Redefining PD1 as a guardian of stem-like T cells

줄기세포 유사 세포의 수호자로서 PD1 재정의

 

TCF1+PD1+ 줄기 유사 세포(T SL 세포)는 자가 재생 및 효과기 세포 보충 능력으로 항종양 면역 반응에서 중요합니다. Hor 등은 종양 배수 림프절(tDLN)에서 SLAMF6+ TSL 세포를 정의하며이는 PD1 신호와 cDC1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유지됨을 확인했습니다. PD1 신호 억제는 SLAMF6– 세포 확장을 촉진하며연구는 항-PD1 치료의 세밀한 조정을 제안합니다.

 

14. NeuroScience

Dopamine and Serotonin Work in Opposition for Effective Learning

도파민과 세로토닌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반대 역할을 한다

 

도파민과 세로토닌의 상호작용은 보상 추구와 충동 제어 사이의 균형을 만들어 행동을 형성합니다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두 시스템 모두 반대 방향으로 작동하지만 효과적인 학습에 필수적입니다광유전학과 혁신적인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자들은 도파민이 보상의 가속기 역할을 하는 반면 세로토닌은 브레이크 역할을 하여 충동적인 행동을 조절하고 장기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15. Medical X press

Cells use backup mechanism to recognize potential invaders when usual RNA editing process fails, study finds

연구에 따르면 세포는 일반적인 RNA 편집 프로세스가 실패할 때 잠재적인 침입자를 인식하기 위해 백업 메커니즘을 사용한다

 

우리 세포는 잠재적인 침입자를 위협으로 인식할 수 있어야 하는데이는 신체의 선천 면역 체계의 핵심 기능입니다때때로 이 과정이 실패하여 신체가 자체 세포에 반응하여 자가염증성 질환을 유발합니다새로운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RNA 편집 과정이 꺼질 때 세포가 사용하는 중요한 대체 메커니즘을 확인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