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25.07.02.수] Healx와 SCI Ventures의 AI 기반 신약 개발을 통해 마비 치료법을 발견하기 위한 협력
- 등록일시2025-07-02 09:59
- 조회수29
- 분류 BT종합
-
출처
Gen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신약 #미생물 #적응 #약물 #해산물
- 첨부파일
[25.07.02] 국외뉴스 현황
*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GEN
Healx and SCI Ventures Partner to Uncover Cures for Paralysis with AI-Driven Drug Discovery
Healx와 SCI Ventures의 AI 기반 신약 개발을 통해 마비 치료법을 발견하기 위한 협력
Healx와 SCI Ventures는 AI를 활용해 만성 척수손상 치료제를 빠르게 발굴하고 임상 적용을 앞당기기 위해 협력했다. 이 파트너십은 신경계 질환 전반으로 확장 가능하며, 마비 극복과 중추신경계 치료의 돌파구를 마련하고자 한다.
2. Sciencealert
Microbe 'Flavors' Tell Octopuses Which Babies Deserve Their Care
미생물의 '향기‘가 문어에게 어떤 새끼들이 돌봄을 받을 자격이 있는지를 알려준다
문어는 팔의 감각수용기를 통해 표면에 있는 미생물의 화학 신호를 감지하여 먹잇감과 알의 상태를 판단한다. 연구팀은 약 300종의 박테리아 중 일부가 문어의 수용기를 활성화시켜 '부적합한 알'을 식별하게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미생물이 동물의 행동과 생리까지 결정짓는 보편적인 생물학적 원리를 보여준다.
3. Bioengineer
Plants Prefer Friendly Environments Over Adaptation, Study Finds
식물은 환경에 적응하는 것보다 우호적인 환경을 더 선호한다
UC 데이비스 연구팀은 주얼플라워가 새로운 기후에도 계절적 생육 시기를 크게 바꾸지 않았음을 밝혀, 식물이 진화보다 기존 생태 틀을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함을 시사했다. 이들은 2,000점의 식물표본을 통해 과거 지역 기후와 적응 패턴을 분석했다.
4. GEN
Myosin-Targeting Drug Sensitizes Glioblastoma to Treatment in Mice
미오신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이 생쥐에서 교모세포종 치료에 대한 민감성을 높인다
MT-125는 비근육성 미오신 II를 억제해 교모세포종의 침습성과 치료 저항성을 낮추며 생쥐 모델에서 생존 기간을 두 배로 연장시켰다. 이 약물은 방사선 및 키나아제 억제제와의 병용 시 시너지 효과를 보였고, 기존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던 종양도 민감하게 만들었다. MT-125는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분열과 산화 스트레스 조절을 교란시키며, 향후 다른 난치성 종양에도 적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5. Bioengineer
Global Seafood Trade: Nutrients and Nutritional Affordability
세계 해산물 무역: 영양소와 영양의 경제적 접근성
해산물 무역은 단백질과 오메가-3 등 필수 영양소의 국제적 흐름을 통해 각국의 영양 접근성과 불균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연구팀은 수출입 해산물에 포함된 영양소의 실제 이동량을 정량화해, 기존 무역량 중심 분석을 영양 기반 평가로 전환했다. 이 결과는 일부 국가는 수출로 인해 자국민의 영양 보장을 해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식량 안보 정책의 재고를 촉구한다
6. Phys.org
Ancient DNA provides a new means to explore ancient diets
고대 DNA는 고대 식단을 탐구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을 제공한다
연구팀은 로마 시대 어젓 공장의 소금절임 항아리에서 나온 물고기 뼈에서 고대 DNA를 추출해 손상된 유물을 분자 수준에서 식별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 발효와 분쇄로 DNA가 손상된 환경에서도 유전정보를 통해 종을 식별할 수 있으며, 로마 시대 정어리는 현재와 유전적으로 유사함이 확인됐다. 이 연구는 고고학적 어류 유물 분석에 있어 고대 DNA 활용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로 평가된다.
7. SciTechDaily
Rainforest Deaths Are Surging and Scientists Just Found the Shocking Cause
열대우림 파괴가 심각해지고 있는 가운데, 과학자들이 밝혀낸 근본적인 이유
열대우림 나무들의 집단 고사는 가뭄과 고온 외에도 번개와 강풍을 동반한 대류성 폭풍이 주요 원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폭풍은 열대림의 탄소 저장 능력과 생물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기존 기후 모델에서도 간과되어 왔다. 과학자들은 드론, 번개 추적기 등을 활용해 나무 고사의 진짜 원인을 정밀하게 추적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한 산림 복원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8. Bioengineer
Mapping Brain Iron in Parkinson’s with RBD
RBD를 동반한 파킨슨병 환자의 뇌 내 철분 분포 지도화
연구진은 파킨슨병과 렘수면행동장애(RBD)를 동반한 환자의 뇌에서 철분 축적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해 자성 민감도 매핑 기법을 도입했다. 이 방법은 기존 MRI보다 민감하고 구체적으로 뇌 내 철분 분포를 시각화할 수 있어, 질병 진행과의 연관성을 더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이번 성과는 파킨슨병의 병태생리 이해를 심화시키고, 향후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도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진전을 의미한다.
9. Phys.org
Manipulation of light at the nanoscale helps advance biosensing
나노미터 수준에서 빛을 조작하는 것이 바이오센싱의 발전에 도움을 준다
일리노이대 연구팀은 공작 깃털 구조에서 영감을 얻어 나노광학 기술과 금 나노입자를 결합한 바이오센서를 개발해, 형광 신호를 최대 200배까지 증폭시키는 데 성공했다. 새롭게 도입한 극저온 자기 조립체는 빛의 전기·자기 성분을 모두 활용해 극미량 바이오마커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했다. 이 기술은 암, 바이러스 등 질병의 조기 진단을 위한 고감도 현장 진단 플랫폼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10. Phys.org
Pair of malaria parasite proteins could lead to targeted therapies
말라리아 기생충 단백질 두 종류가 표적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수 있다
UC 리버사이드 연구팀은 말라리아 원충 Plasmodium falciparum의 아피코플라스트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RAP 단백질 두 종류(PfRAP03, PfRAP08)를 밝혀냈다. 이 단백질들이 rRNA와 tRNA에 각각 결합해 단백질 합성을 조절하며, 제거 시 기생충이 사멸하는 것으로 확인돼 표적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제시됐다.
11. Bioengineer
De Novo Bone Metastasis in Breast Cancer
유방암에서의 원발성 골 전이
파키스탄 연구진은 유방암 진단 시점부터 뼈 전이를 보이는 de novo 골전이 환자군을 분석해, 해당 집단의 종양 생물학적 특성과 생존율 차이를 규명했다. 2,565명의 환자 데이터를 기반으로 통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bone-only 전이는 예후가 나쁘고 진행성 종양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비서구권 집단의 유방암 전이 양상을 반영해 맞춤형 치료 전략과 위험도 평가의 필요성을 강조한다.
12. GEN
Electrical Stimulation of Prefrontal Cortex Boosts Math Performance
전전두엽에 전기 자극을 주면 수학 수행 능력이 향상된다
서리대 연구팀은 전전두엽(dlPFC)에 무작위 전기 자극)을 가하면 수학 학습 능력이 향상되며, 특히 해당 뇌 영역과 두정엽 간 연결성이 약한 사람에게 효과가 크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는 GABA 수치, 뇌 연결성, 신경가소성이 학습 능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보여주며, 생물학적 불리함을 가진 학습자에게 맞춤형 두뇌 자극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3. Neuroscience
Aging Brain May Adapt to Decode Tricky Social Cues
노화된 뇌는 까다로운 사회적 단서를 해석하기 위해 적응할 수 있다
연구팀은 나이든 사람이 복잡한 표정을 이해할 때 청색반점(LC)의 활동이 증가하며, 특히 정서적으로 회복력 있는 노인일수록 LC에서 실행 기능 관련 피질로 가는 경로가 더 강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는 LC 경로가 나이에 따라 적응해 사회적 단서 해석과 감정 조절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4. Phys.org
Scientists target 'molecular machine' in war against antimicrobial resistance
과학자들이 항균제 내성과의 싸움에서 분자 기계를 표적으로 삼았다
연구진은 세균이 감염을 일으키는 데 필수적인 '분자 기계' 편모를 항생제의 새로운 표적으로 삼아, 이를 약화시켜 저항성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감염력을 억제하는 전략을 제시했다. 크라이오 전자현미경을 활용해 편모의 원자 수준 구조를 시각화하고 조립 과정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약물 설계에 활용할 수 있는 핵심 부위를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항균제 내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법의 가능성을 열었으며, 향후 10년 내 임상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15. Bioengineer
Genetic Diversity of RSV in Guangzhou Children Revealed
광저우 어린이들에서 RSV의 유전적 다양성이 밝혀졌다
광저우 연구팀은 지역사회 획득 폐렴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들을 대상으로 RSV 유전체를 분석해, 지금까지 보고되지 않았던 높은 수준의 유전적 다양성을 밝혀냈다. 다양한 RSV 유전자형이 동시에 유행하거나 한 환자 내에 공존하는 경우도 확인돼, 바이러스의 재조합과 적응, 전파 방식에 대한 새로운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발견은 RSV 백신 개발과 감염병 대응 전략에 중요한 전환점을 제공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