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25.07.09.수] 유전적 돌연변이의 난소암 면역치료 후 생존율 예측
- 등록일시2025-07-09 09:41
- 조회수370
- 분류 BT종합
-
출처
Nature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돌연변이 #파킨슨 치매 #세포 집단 #정신건강 #암모니아
- 첨부파일
[25.07.09] 국외뉴스 현황
*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Nature
Genetic mutation predicts survival after immunotherapy for ovarian cancer
유전적 돌연변이의 난소암 면역치료 후 생존율 예측
PPP2R1A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있는 난소 투명세포암 환자는 면역관문억제 치료 후 생존율이 유의미하게 향상된다. 이 돌연변이는 기존 항암화학요법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면역치료에서는 예후 향상과 면역반응 증가와 관련되어 있다. PPP2R1A 돌연변이는 면역치료 효과를 예측하는 바이오마커로서 향후 임상시험 설계와 희귀암 치료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다.
2. SciTechDaily
Cough Syrup Slows Brain Damage in Parkinson’s Dementia, Study Finds
기침약이 파킨슨 치매에서 뇌 손상을 늦춘다는 연구 결과
기침약 성분인 암브록솔이 파킨슨병성 치매 환자의 뇌세포 손상을 늦추고 기억력 및 정신 증상을 안정화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임상시험 결과, 특히 GBA1 고위험 유전자 변이를 가진 환자에게서 인지 기능이 향상되는 등 신경보호 효과가 나타났다. 암브록솔은 기존에 호흡기 질환 치료제로 안전성이 입증된 약물로, 향후 치매 치료의 유망한 후보로 주목받고 있다.
3. BioRxiv
A new approach for high-content traction force microscopy to characterize large cell ensembles
대규모 세포 집단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한 고내용량 견인력 현미경의 새로운 접근법
세포 견인력 측정은 다양한 생물학적 현상 이해에 핵심이며, 이를 위해 Demons 알고리즘을 적용해 기존 TFM의 정확도와 속도를 개선하였다. 이 방법은 흐릿한 이미지에도 강인하며, 다양한 조건에서 세포를 기계적 특성에 따라 실시간으로 군집화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4. Neuroscience
Mental Health Benefits of Exercise Depend on Context
운동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이점은 상황에 따라 달라진다
운동이 정신 건강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단순한 운동량보다 운동의 맥락에 크게 좌우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었다. 자발적이고 즐거운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여가 활동은 기분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며, 사회적 상호작용, 장소, 목적 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개인의 선호와 상황에 맞춘 맞춤형 운동 처방이 정신 건강 증진에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5. Phys.org
Targeting MXenes for sustainable ammonia production
지속가능한 암모니아 생산을 위해 MXene 소재를 표적으로 활용
연구진은 질소 원자를 포함한 MXene 나노소재가 전기화학적 조건에서 암모니아 합성에 적합한 지속가능한 촉매 후보임을 밝혀냈다. 특히 질화 타이타늄 기반 MXene은 라만 분광법을 통해 격자 내 질소 반응성을 분석함으로써, 재료의 원자 수준 촉매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기여하였다. 이 연구는 저비용 고효율 암모니아 생산 기술 개발과 신재생에너지 촉매 응용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6. Medical news
Vanderbilt and Parse Biosciences team up to develop antibody treatments for measles
밴더빌트대학과 파스 바이오사이언스의 홍역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력
밴더빌트대와 Parse Biosciences는 **MMR(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에 대응하기 위한 단클론 항체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연구진은 10만 개 이상의 형질세포를 단일세포 수준에서 분석해 강력한 중화 항체 유전자를 빠르게 찾아내고자 한다. 이 연구는 미접종자 및 면역 취약자 보호를 위한 치료 전략 개발과 백신 설계 개선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다.
7. BioRxiv
TRIM28 regulates pre-mRNA splicing via phosphorylation and SUMOylation networks
TRIM28 단백질은 인산화와 SUMO화 네트워크를 통해 전사체 전구체의 스플라이싱을 조절한다
TRIM28은 인산화 상태에 따라 스플라이싱 단백질 USP39와 상호작용하며, 비인산화 상태에서는 USP39의 SUMOylation을 유도한다. 이러한 변형은 USP39의 spliceosome 내 기능을 강화하며, TRIM28 결손 시 대체 스플라이싱 패턴에 광범위한 변화가 나타난다. 본 연구는 TRIM28을 매개로 한 신호 전달과 스플라이싱 조절 간의 연결 고리를 밝혀냈다.
8. Neuroscience
Later-Born Neurons Mature Faster to Keep Networks in Balance
나중에 생성된 뉴런은 신경망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더 빠르게 성숙한다
발달 후기에 생성된 억제성 뉴런은 빠르게 성숙하여 신경망 내에서 균형 있게 통합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속 성숙은 DNA 접근성을 조절하는 크로마틴 재구성에 의해 유전자 수준에서 조절된다. 발달 타이밍의 이상은 자폐증이나 간질과 같은 신경발달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9. Medical news
Artificial intelligence enhances radiologists’ accuracy in breast cancer detection
인공지능은 유방암 진단에서 영상의학 전문의의 정확도를 높여준다
AI 보조 시스템은 영상의학 전문의가 유방촬영영상을 판독할 때 암 병변에 더 집중하도록 유도하여 진단 정확도를 높여준다. 시선추적 결과, AI의 의심 점수가 높을수록 전문의는 의심 부위를 더 오래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경향을 보였다. AI는 시각적 단서 역할을 하며 판독 효율성과 정확도를 동시에 향상시키지만, 전문가의 비판적 해석 능력이 여전히 중요하다.
10. Plos.Biology
Nutrient connectivity via seabirds enhances dynamic measures of coral reef ecosystem function
바다새를 통한 영양분 연결이 산호초 생태계 기능의 동적 지표를 향상시킨다
바다새가 공급하는 질소 기반 영양분은 산호초의 조류 1차 생산성을 높여, 초식 어류의 생장과 개체군 증가로 이어진다. 이는 초식 어류가 조류의 피복도를 억제하는 상향 및 하향 조절 메커니즘을 통해 산호초 생태계의 기능을 강화한다. 정적 지표보다 생산성 같은 동적 지표가 생태계 내 영양 순환 경로를 더 잘 설명하며, 침입종 제거와 영양 연결성 복원이 생태계 보전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1. Phys.org
How plants manage light: New insights into nature's oxygen-making machinery
식물이 빛을 조절하는 방식: 자연의 산소 생성 메커니즘에 대한 새로운 통찰
버클리랩 연구진은 식물의 광합성 복합체 PSII가 빛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수집하면서도 과잉 흡수를 회피하는 유연한 메커니즘을 갖고 있음을 밝혀냈다. 에너지는 반응 중심으로 바로 이동하지 않고 일시적으로 분산되며, 이 방황 단계'를 통해 광스트레스를 방지하고 최적의 시점에 반응이 유도된다. 이 원리는 인공 광합성 시스템과 작물 생산성 향상 기술에 응용될 수 있는 중요한 설계 기반을 제공한다.
12. Neuroscience
The Brain Weaves Time Into Memories With Unique Neural Bookmarks
뇌는 고유한 신경 ‘책갈피’를 이용해 시간 정보를 기억 속에 엮는다
뇌의 측두엽 내측 부위인 외측 내후각피질(LEC)은 중요한 사건이 발생할 때 신경 활동에 ‘점프’를 만들어, 기억의 시작과 끝을 구분하는 신경 책갈피를 형성한다. 이러한 책갈피는 연속적인 감각 정보를 개별적인 기억 단위로 정리해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조화된 경험으로 저장되게 한다. 해당 기능은 알츠하이머병 초기 손상 부위와 일치하며, 기억 장애의 조기 진단과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13. Medical news
Study reveals altered gut microbiota profiles in elderly patients with acute hepatitis E
급성 E형 간염을 앓고 있는 고령 환자에서 장내 미생물 군집이 변화한다
급성 E형 간염(AHE) 고령 환자는 건강한 고령자에 비해 Firmicutes, Lactobacillales, Bacilli가 증가된 장내 미생물 구성을 보인다. 자연회복되지 않은 AHE 환자군에서는 Bacteroides fragilis가 유의미하게 풍부하여, 예후 예측의 바이오마커로 제시된다. 향후 연구는 장내 미생물 변화와 HEV 감염 간 인과관계 규명을 위한 장기적 추적이 필요하다.
14. GEN
Cheaper Sequencing Means More Single Cells
염기서열 분석 비용이 저렴해지면 더 많은 단일세포 분석이 가능해진다
단일세포 유전체학이 대형화되고 염기서열 분석 비용이 낮아지면서 AI와 CRISPR 등 다양한 기술이 결합되는 전환점이 도래했다. Ultima Genomics CEO는 세포 생물학은 물리학처럼 단순한 원리로 설명하기 어려운 복잡계를 다루기 때문에, 방대한 단일세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AI 활용이 필수라고 강조한다.
15. Phys.org
Nanobody neutralizes deadly Nipah and Hendra viruses in lab tests
나노항체가 실험실 테스트에서 치명적인 니파 바이러스와 헨드라 바이러스를 중화시킨다
호주 연구진은 나노항체 DS90이 니파 및 헨드라 바이러스의 세포 침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을 밝혀냈다. DS90은 기존 항체보다 작고 안정성이 높아, 감염을 막는 데 유리하며 유전자 변이 억제 효과도 확인되었다. 이 연구는 향후 치명적 인수공통바이러스의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며, 팬데믹 대비 전략의 기반이 될 수 있다.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이전글
- [25.07.08.화] 긍정적인 감정은 기억력을 향상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