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25.07.29.화] 뇌가 스스로를 청소하도록 돕고 알츠하이머병과 싸우는 데 관여하는 수용체 발견
- 등록일시2025-07-29 09:22
- 조회수176
- 분류 BT종합
-
출처
ScienceDaily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알츠하이머 #비만 #생명 #치실 #진화
- 첨부파일
[25.07.29] 국외뉴스 현황
*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ScienceDaily
Scientists discover the receptor that helps your brain clean itself-and fight Alzheimer’s
뇌가 스스로를 청소하도록 돕고 알츠하이머병과 싸우는 데 관여하는 수용체 발견
UCSF 연구진은 뇌의 면역세포인 미세아교세포가 ADGRG1 수용체를 통해 알츠하이머 유발 독성 단백질을 제거할 수 있음을 밝혀냈다. 이 수용체가 없으면 뇌에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가 빠르게 쌓여 기억력 저하와 뇌 손상을 유발한다. ADGRG1은 약물 표적이 가능한 수용체군에 속해 향후 치료제 개발 가능성을 제시한다.
2. Bioengineer
Obesity’s Impact on Pancreatic Surgery Outcomes Compared
비만이 췌장 수술 결과에 미치는 영향 비교 분석
췌장암 수술 중 가장 복잡한 위플 수술(PD)은 비만 환자에게서 수술 난이도와 합병증 위험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최근 국제비만학회지에 발표된 메타분석은 비만 여부에 따른 개복(OPD), 로봇(RPD), 복강경(LPD) 수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만 환자에게도 최소침습 수술이 안전성과 회복 측면에서 일정한 이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 SciTechDaily
Solving a Primordial Puzzle: Scientists Recreate a Key Step in Life’s Origin
태초의 수수께끼를 해결하다: 과학자들이 생명의 기원에서 핵심적인 단계를 재현했다
UC 샌디에이고 연구팀은 생명의 기원을 이해하기 위해 대사 기능을 갖춘 인공 세포막을 무생물 물질만으로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 이 시스템은 화학 연료를 이용해 인지질막을 형성하고, 연료가 없으면 다시 분해되는 대사 순환을 구현하였다. 이번 연구는 생명 최소 단위의 조건을 규명하고 향후 인공세포 기반 응용기술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4. Medical news
Dental floss may offer a novel vaccine delivery method
치실이 새로운 백신 전달 방식이 될 수 있다
텍사스텍대 등 공동 연구진은 치실을 활용해 잇몸-치아 경계 조직으로 백신을 전달하면 점막 면역을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음을 동물 실험을 통해 입증하였다. 이 방식은 기존 구강 백신보다 점막 항체 반응이 우수하며, 주사나 비강 접종 대비 안전성과 접근성이 높다. 연구진은 치실 픽을 활용한 방식이 실용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향후 임상 적용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후속 연구를 계획하고 있다.
5. Phys.org
Research on glasswing butterflies remaps butterflies' evolutionary tree
유리날개나비에 대한 연구가 나비의 진화 계통도를 새롭게 그리다
국제 공동 연구진은 중남미 유리날개나비의 유전체를 분석해 진화 계통도를 재구성하고,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6종의 신종을 밝혀냈다. 이 나비들은 서로 다른 페로몬을 통해 짝을 구별하며, 염색체 재배열로 인해 빠른 종 분화를 일으키는 특성을 갖는다. 이번 연구는 생물 다양성 보전, 기후 변화 적응, 농업 및 해충 관리 연구에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6. SciTechDaily
545-Million-Year-Old Footprints Rewrite the Origin Story of Complex Life
5억 4,500만 년 된 발자국이 복잡한 생명체의 기원 이야기를 다시 쓰다
연구진은 5억 4,500만 년 전의 흔적 화석을 분석해, 복잡한 운동성과 감각 능력을 가진 생물이 캄브리아기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밝혀냈다. 이는 캄브리아기 대폭발이 단기간의 급격한 진화가 아니라, 더 이른 시기부터 점진적으로 진행된 사건일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번 연구는 고대 생물의 형태와 행동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통해 동물 다양성의 기원을 재정의한다.
7. Bioengineer
Virion Movement in Sialoglycan-Cleaving Respiratory Viruses
시아로당을 절단하는 호흡기 바이러스에서의 비리온 이동
시아로당을 절단하는 호흡기 바이러스는 효소 작용을 통해 점액 환경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키며 스스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운동성은 바이러스가 점액 장벽을 통과해 표적 세포에 더 빠르게 도달하고 전파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 이번 연구는 항바이러스제 및 백신 설계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바이러스-숙주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킨다.
8. Medical news
New computer program mimics cell behavior for faster medical discoveries
새로운 컴퓨터 프로그램이 세포 행동을 모방해 더 빠른 의학적 발견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진은 다양한 세포 행동 데이터를 수학적으로 분석해 실제 생물학적 세포처럼 작동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PhysiCell’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유전자 및 환경 요인에 따른 세포 반응, 약물 효과 등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어 향후 ‘디지털 트윈’ 기반 정밀의료 도구로 활용될 전망이다. 해당 기술은 암, 뇌 발달 등 복잡한 생체 과정을 더 빠르고 비용 효율적으로 연구할 수 있게 한다.
9. GEN
Antimicrobial Resistance Strategies May Be Informed by Bacteria’s Kiwa Phage Defense System
박테리아의 Kiwa 파지 방어 시스템이 항균제 내성 대응 전략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영국 사우샘프턴대 연구진은 박테리아가 파지 감염을 방어하는 'Kiwa' 시스템을 고해상도 영상 분석으로 규명하였다. Kiwa는 파지가 세포막에 붙는 순간을 감지해 복제와 전사를 막는 단백질 복합체를 형성하며, 다른 방어 시스템인 RecBCD와 함께 작동할 때 감염 저항력이 강화된다. 이번 연구는 박테리아의 방어 메커니즘을 이해해 항생제 내성 대응을 위한 파지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10. Bioengineer
Ingestible Capsules Enable Microbe-Based Therapeutic Control
경구용 캡슐이 미생물 기반 치료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연구진은 장내 염증을 감지하고 치료 단백질을 분비하는 유전자 조작 박테리아를 스마트폰과 연동된 경구용 캡슐에 통합하는 바이오-전자 복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이 캡슐은 박테리아의 생체 발광 신호를 감지해 외부로 전송하고, 스마트폰 명령에 따라 LED로 치료를 유도하는 양방향 통신 기반 치료 플랫폼을 구현한다.
11. Neuroscience
How Cool Touch Travels From Skin to Brain
차가운 촉감이 피부에서 뇌로 어떻게 전달되는가
미국 미시간대 연구팀은 피부에서 뇌까지 무해한 차가운 온도를 전달하는 전용 신경 회로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였다. 이 회로는 피부의 온도 수용체에서 시작해 척수 내 인터뉴런을 거쳐 뇌까지 신호를 증폭 전달하며, 통증성 냉감과는 구별되는 경로이다. 이번 발견은 항암 치료 후 냉감 통증과 같은 질환 치료를 위한 정밀한 감각 조절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다.
12. BioRxiv
Illusory tilt does not induce optostatic torsion
착시로 인한 기울기는 시각정위성 안구 회전을 유발하지 않는다
연구진은 카페 월 착시를 이용해 시각적 기울기 착각이 실제 안구 회전(OST)을 유발하는지 실험하였으나, 착시 자극은 유의미한 OST를 발생시키지 않았다. 반면, 실제로 기울어진 풍경 이미지나 비착시 기울기 자극은 유의한 정도의 OST를 유도하였다. 이 결과는 우리가 느끼는 기울기 지각과 이를 기반으로 한 안구 운동 사이에 기능적 분리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13. Phys.org
New insights could help phages defeat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새로운 통찰이 파지가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를 물리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사우샘프턴대 연구진은 박테리아가 파지 바이러스를 방어하는 'Kiwa'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였다. Kiwa는 파지 감염을 감지해 DNA 침입을 차단하지만, 일부 파지는 'Gam'이라는 단백질을 이용해 이 방어를 교란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이번 발견은 항생제 내성 박테리아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적인 파지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14. Medical news
Brain’s blood vessels and immune cells play key role in Alzheimer’s and stroke
뇌의 혈관과 면역세포가 알츠하이머병과 뇌졸중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
UC 샌프란시스코와 글래드스톤 연구소의 공동 연구진은 알츠하이머와 뇌졸중 관련 유전적 위험 요인이 뇌의 혈관세포 및 면역세포에서 주로 작동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신기술인 MultiVINE-seq를 활용해 뇌의 '수호자 세포들'의 유전자 활성과 조절 영역을 정밀하게 분석하였고, 질환마다 상이한 세포 기전이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15. Bioengineer
Bariatric Surgery’s Impact on Circulating S100A9
비만 대사 수술이 혈중 S100A9에 미치는 영향
국제비만학회지에 발표된 연구는 비만대사수술(BS)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S100A9의 혈중 및 혈소판 내 수치를 감소시킴으로써 심혈관계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음을 밝혔다. S100A9는 비만으로 인한 만성 염증과 혈관 손상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분자로, 수술 후 감소는 면역대사적 경로의 변화를 시사한다. 이는 비만 관련 심혈관 질환 치료에 있어 염증조절 기반의 새로운 치료 전략 가능성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