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국외 언론사에 보도된 관련 뉴스와 기사를 담고 있습니다.[25.08.14.목]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RNA 기반 센서의 자동화 조립
- 등록일시2025-08-14 09:22
- 조회수150
- 분류 BT종합
-
출처
BioRxiv 외
- 원문링크
-
키워드
#RNA #대마초 #호르몬 #체중 감량 #백신
- 첨부파일
[25.08.14] 국외뉴스 현황
* 해당 번역은 자동 구글번역을 이용하였습니다.
1. BioRxiv
Automated Assembly of Programmable RNA-Based Sensors
프로그래밍이 가능한 RNA 기반 센서의 자동화 조립
프로그래밍 가능한 RNA 센서는 저비용 진단, 내인성 RNA 검출, 다중 입력 유전 회로 등에 활용되어 왔다. 연구팀은 액체 취급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플라스미드 조립 파이프라인을 개발하여 고속·대량 제작이 가능하게 했다. 이 플랫폼으로 144개의 리보레귤레이터 플라스미드를 제작하고 박테리아 및 무세포 발현 시스템에서 기능을 확인했다.
2. Bioengineer
Impact of Prenatal Cannabis Exposure on Newborns
임신 중 대마초 노출이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
최근 임신 중 대마초 사용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THC 농도도 과거 평균 5%에서 약 30%로 급격히 높아져 신생아와 영아 건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THC는 태반 장벽을 쉽게 통과해 태아의 뇌 발달과 시냅스 형성에 중요한 내인성 칸나비노이드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고, 태아 조직에 축적될 수 있다.
3. Sciencealert
Targeting a Single Hormone Could Help Treat 40% of IBS-D Cases
하나의 호르몬을 표적하면 설사형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의 40%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구진은 담즙산이 대장에 비정상적으로 도달할 때 분비되는 호르몬 INSL5가 설사형 과민성대장증후군(IBS-D) 사례의 약 40%에서 주요 원인일 수 있음을 밝혔다. INSL5는 담즙산을 배출하려는 보호 반응이지만, 지속적으로 활성화되면 심한 설사를 유발하며, 항구토제 온단세트론이 이를 억제해 증상을 완화할 가능성이 제시됐다.
4. Medical news
Study supports pre-surgery use of GLP-1 RAs for weight reduction
수술 전 체중 감량을 위한 GLP-1 수용체 작용제 사용 지지
연구진은 수술 전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A) 투여가 최대 6개월간 16.7kg의 체중 감소를 유도하며, 비만으로 인한 수술 합병증 위험을 낮출 잠재력이 있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현행 안전성 우려 중심의 지침을 재검토하고, 다양한 수술 분야에서의 비용효과성과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대규모 무작위 임상시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5. Jama
The CDC No Longer Recommends COVID-19 Shots During Pregnancy-Now What?
CDC가 임신 중 코로나19 백신 접종을 권고하지 않는다 - 이제 어떻게 해야 할까
미 보건복지부 장관 로버트 F. 케네디 주니어는 건강한 아동과 임산부에 대한 코로나19 백신을 CDC 권장 예방접종 일정에서 제외한다고 발표했다. 일부 전문가들은 임산부 대상 백신의 안전성·효과성 검증 부족, 비효율적 접종 방식, 제약사의 상업적 이익 우선 등을 비판하며, 대안으로 피내 접종·마스크 착용·접촉 차단 등을 제안했다.
6. BioRxiv
When Cells Rebel: a comparative genomics investigation into marsupial cancer susceptibility
세포가 반란을 일으킬 때: 유대류의 암 감수성에 대한 비교 유전체학 연구
연구진은 암 발생률이 높은 유대류인 코와리와 비교 대상으로 동부줄무늬반디쿠트를 포함한 총 11종 유대류의 유전체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코와리를 포함한 다수의 다슈리드류와 반디쿠트·빌비에서 종양유전자 계열인 Ras 유전자의 대규모 확장이 확인됐으며, 이 유전자는 주로 생식기관과 난황낭에서 발현됐다.
7. GEN
Oxygenated Implant Sustains Insulin Cells in Rats, No Immunosuppression
면역억제 없이 쥐에서 산소 공급 이식체로 인슐린 분비 세포 유지
코넬대 연구팀은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전기화학식 장치를 결합한 BEAM 시스템을 개발해, 면역억제제 없이도 고밀도로 이식한 인슐린 분비 세포를 장기간 생존·기능하게 했다. 이 장치는 저산소 환경에서도 쥐의 당뇨를 최대 3개월간 정상화시켰으며, 산소 공급 중단 시 즉시 혈당이 상승해 지속적 산소 공급의 중요성이 확인됐다.
8. Bioengineer
Dietary Antioxidants Linked to Breast Cancer Risk
식이 항산화제가 유방암 위험과 연관되어 있다
스웨덴 National March Cohort 연구는 24,950명의 여성을 약 20년간 추적해 식이 비효소적 항산화능(NEAC)과 유방암 위험 간의 연관성을 조사했다. 연구진은 96문항 식품섭취빈도조사로 총 섭취량·과일·채소 유래·곡물 유래 NEAC를 구분해 분석하며, 개별 영양소가 아닌 식단 전체의 항산화 능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했다.
9. BioRxiv
Preventing unintentional bat captures in canopy traps used for insect surveys
곤충 조사를 위해 사용하는 수관 함정에서 박쥐 포획 방지
연구진은 참나무 수관에 설치한 비행 차단 함정과 다중 깔때기 함정이 박쥐를 의도치 않게 포획하는 영향을 조사하고, 함정 개선 효과를 평가했다. 수집통 위에 13mm 망을 추가하면 박쥐 포획이 현저히 감소했으며, 곤충 종 풍부도나 평균 체중에는 큰 영향이 없었으나 일부 딱정벌레 과의 개체 수는 줄었다. 수관 곤충 조사에 사용되는 함정을 개선해 박쥐의 불필요한 피해 방지를 권고한다.
10. Medical news
Nudibranchs (sea slugs) emerge as a promising source of cancer drugs
갯민숭달팽이(누디브랜치)가 유망한 항암제 원천으로 떠오르고 있다
연구진은 전 세계 약 4,700종의 갯민숭달팽이(누디브랜치)가 스스로 합성하거나 먹이로부터 축적·변형한 독성 및 생리활성 물질에서 강력한 항종양 잠재력을 확인했다. 이들 화합물은 DNA 손상 유도, 산화·소포체 스트레스, ROS 생성, 세포주기 정지, 아폽토시스 유도 등 다양한 기전을 통해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사멸시키며, 일부는 항염·항기생충·항균 활성도 보인다.
11. Sciencealert
'World's Oldest Baby' May Not Be a Record For Long, Says Expert
‘세계에서 가장 나이 많은 아기’ 기록이 오래가지 않을 수도 있다
미국에서 30년 이상 냉동 보관된 배아로 아기가 태어나 세계 기록을 세웠으며 이는 장기 배아 보관과 기증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배아 기증은 가족·유전적 관계·법적 규제 등 복잡한 윤리적·사회적 문제를 수반하며, 특히 수십 년의 시간차가 관계 형성에 새로운 변수를 만든다. 냉동 배아 기술과 국제 생식 보조 산업의 발전으로 이러한 사례는 앞으로도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12. Medical news
Study finds two-way link between gut bacteria and insomnia
장내 세균과 불면증 사이에 양방향 연관성
멘델 무작위분석을 통해 특정 장내 세균 그룹이 불면증 위험을 높이거나 낮추며, 불면증 자체도 장내 세균의 풍부도에 큰 변화를 일으킨다는 양방향 연관성이 확인됐다. 이 결과는 장내 미생물과 불면증 간의 인과적 연관성을 뒷받침하며, 향후 프로바이오틱스·프리바이오틱스·분변 미생물 이식 등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불면증 치료 가능성을 시사한다.
13. Sciencealert
Australian Parrots Perform 30 Dance Moves, With 17 New to Science
호주 앵무새들이 30가지 춤 동작을 수행하며, 이 중 17가지는 과학에 처음 보고된 것이다
연구진은 호주 와가와가 동물원의 3종을 포함한 앵무새들이 음악, 팟캐스트, 무음 환경에서도 최대 30가지의 춤 동작을 선보이며, 이 중 17가지는 과학에 처음 보고된 것임을 확인했다. 각 개체는 다양한 동작을 조합해 자신만의 춤 스타일을 표현했다. 이러한 춤 행동은 구애 행동의 잔재일 가능성이 있으며, 음악 감상이 사육 앵무새의 인지·정서적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14. Bioengineer
Gene Editing Enables cDNA Therapy for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유전자 편집이 만성 육아종성 질환을 위한 cDNA 치료를 가능하게 한다
연구진은 CRISPR-Cas9 기반의 고정밀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해 CGD(만성 육아종성 질환) 원인 유전자인 CYBA와 CYBB에 기능성 cDNA를 거의 전면적으로 삽입하는 전략을 개발했다. 이 방법은 환자의 조혈줄기·전구세포에서 결함 부위를 교체해 정상적인 유전자 조절을 유지함으로써 과도하거나 비정상적인 발현 위험을 줄였다.
15. BioRxiv
Function aligns with geometry in locally connected neuronal networks
국소적으로 연결된 신경망에서 기능이 기하학적 구조와 일치한다
연구진은 유충 제브라피시의 칼슘 이미징과 수치 시뮬레이션을 통해, 국소적으로 연결된 신경망에서 기능적 연결성 구배가 기하학적 고유모드와 밀접하게 일치함을 확인했다. 단일 뉴런 재구성을 통해 측정한 수상돌기 범위와 일치하는 파장까지 기하 고유모드와 기능 구배가 맞아떨어지며, 이는 단거리 해부학적 연결성이 뇌 활동의 기하 구조 형성에 중요함을 보여준다.